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론 제6판

거시경제론 제6판 (35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운찬 鄭雲燦 김영식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론 / 정운찬 ; 김영식.
판사항
제6판
발행사항
서울 :   율곡출판사 ,   2003.  
형태사항
xxiii, 681p. : 삽도,도판 ; 27 cm.
ISBN
8985177966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acroeconomics.
비통제주제어
거시경제,,
000 00673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827802
005 20100806011441
007 ta
008 030902s2003 ulkaf 001a kor
020 ▼a 8985177966 ▼g 93320 : ▼c \2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49150 ▼l 111249151 ▼l 111269264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3a
100 1 ▼a 정운찬 ▼g 鄭雲燦 ▼0 AUTH(211009)126586
245 1 0 ▼a 거시경제론 / ▼d 정운찬 ; ▼e 김영식.
250 ▼a 제6판
260 ▼a 서울 : ▼b 율곡출판사 , ▼c 2003.
300 ▼a xxiii, 681p. : ▼b 삽도,도판 ; ▼c 27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Macroeconomics.
653 ▼a 거시경제
700 1 ▼a 김영식 ▼0 AUTH(211009)112104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2491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2692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2491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3068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210987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511779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2491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2692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2491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113068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210987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3a 등록번호 1511779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Ⅰ.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1.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3
  1. 거시경제학의 특징 = 5
  2. 국민경제의 순환과 국민소득 = 8
   2.1 소득순환모형 = 8
   2.2 국민총생산과 국민소득 = 12
  3. 거시경제의 단기적 측면 : 경기변동 = 14
   3.1 국내총생산의 경기변동추이 = 15
   3.2 경기변동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사실 = 17
  4. 거시경제의 장기적 측면 : 경제성장 = 26
   4.1 경제성장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사실 = 27
   4.2 경제성장의 요인 = 29
  5. 거시경제학의 접근방법 = 32
  6. 이 책의 구성 = 34
  요약 = 37
  연습문제 = 38
 2. 최근의 거시경제현상과 거시경제학 = 41
  1. 경제위기 = 42
   1.1 산업·금융부문의 구조적 부실 = 44
   1.2 외채누적과 취약한 외채구조 = 45
  2. 신경제론 : 고성장·저물가는 지속가능한가? = 47
   2.1 신경제 비판론자들의 견해 = 49
   2.2 신경제론자들의 반박 = 50
  3. 소비, 소득 및 자산시장동향 = 51
  4. 자연실업률은 안정적인가? = 55
  5. 디플레이션 = 57
  6. 원유가격상승 = 60
  7. 변동환율과 인플레이션 타게팅 = 62
  8. 구조조정과 공적자금 = 66
  요약 = 68
Ⅱ. 거시경제의 직관적 모형
 3. 거시경제의 수요측면(Ⅰ) = 75
  1. 케인즈의 소득-지출모형 = 77
   1.1 몇 가지 가정 = 77
   1.2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과정 = 81
   1.3 디플레이션갭과 인플레이션갭 = 82
   1.4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 84
  2. 생산물시장의 균형 : IS곡선 = 90
   2.1 투자함수 = 90
   2.2 IS곡선의 도출 = 91
   2.3 IS곡선의 기울기와 이동 = 93
  3. 화폐시장의 균형 : LM곡선 = 97
   3.1 화폐수요함수 = 97
   3.2 LM곡선의 도출 = 100
   3.3 LM곡선의 기울기와 이동 = 102
  4. IS-LM모형과 거시경제정책 = 105
   4.1 정부지출 = 106
   4.2 균형재정승수 = 108
   4.3 재정정책과 화폐금융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109
  5. IS-LM모형의 한계 = 112
  보론 : 왈라스 법칙과 세이의 법칙 = 114
  요약 = 115
  연습문제 = 116
 4. 거시경제의 수요측면(Ⅱ) = 119
  1. 국제수지와 환율 = 121
   1.1 국제수지 = 121
   1.2 환율과 환율제도 = 124
   1.3 환율결정이론 = 128
  2. 개방경제의 대내균형 : IS-LM 균형 = 138
   2.1 개방경제의 IS곡선 = 139
   2.2 개방경제의 LM곡선 = 142
  3. 대내균형과 국제수지균형 : IS-LM-BP 균형 = 144
   3.1 국제수지균형 : BP곡선 = 144
   3.2 IS-LM-BP 균형 = 147
  4.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 153
   4.1 변동환율제도 = 154
   4.2 고정환율제도 = 156
   4.3 환율제도와 거시경제정책의 유효성 = 164
   4.4 거시경제정책의 효율적 조합 = 166
  5. 수요측면의 균형 = 169
   5.1 물가수준과 총수요곡선 = 169
   5.2 총수요곡선의 이동 = 172
  6. 이론과 실제 : 우리나라 거시경제정책의 유효성 = 176
   6.1 외환위기의 이전 = 177
   6.2 외환위기 이후 = 179
  요약 = 183
  연습문제 = 184
 5. 거시경제의 공급측면 = 187
  1. 노동시장의 균형 = 188
   1.1 노동에 대한 수요 = 189
   1.2 노동의 공급 = 191
   1.3 노동시장의 균형 = 193
  2. 장기총공급곡선 = 194
  3. 단기총공급곡선 = 197
   3.1 명목임금 경직성모형 = 197
   3.2 노동시장의 불완전정보 : 화폐환상모형 = 200
   3.3 총공급곡선의 이동 = 202
  4. 총공급이론의 발전 = 203
   4.1 합리적 기대가 반영된 총공급곡선 = 205
   4.2 가격 경직성에 근거한 총공급곡선 = 209
  5. 총공급곡선의 의의 = 211
  요약 = 213
  연습문제 = 213
 6. 총수요·총공급의 균형과 거시경제정책 = 217
  1. 거시경제의 일반균형과 총수요·총공급의 변동 = 218
   1.1 총수요·총공급의 균형 = 219
   1.2 총수요관리정책과 총공급관리정책 = 221
  2. 총수요관리정책 = 223
   2.1 재정정책 = 224
   2.2 화폐금융정책 = 228
   2.3 총수요관리정책의 유효성 : 케인즈학파 vs 고전학파 = 233
   2.4 총수요관리정책의 유효성 : 새고전학파 vs 새케인즈학파 = 238
  3. 총공급관리정책 = 242
  4. 이론과 실제 : 디플레이션과 거시경제정책 = 245
   4.1 1930년 세계대공황 = 246
   4.2 디플레이션의 발생경로 = 247
   4.3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 249
   4.4 디플레이션 대응정책 = 252
  요약 = 255
  연습문제 = 257
 7. 실업과 인플레이션 = 261
  1.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 263
   1.1 인플레이션의 측정 = 263
   1.2 인플레이션의 원인 = 267
  2. 인플레이션의 동태적 진행과정 = 272
   2.1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수요곡선 = 273
   2.2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공급곡선 = 275
   2.3 인플레이션의 동태적 진행과정 = 277
  3.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 필립스곡선 = 280
   3.1 고전적 필립스곡선 = 280
   3.2 프리드만과 펠프스의 기대가 부가된 필립스곡선 = 285
   3.3 합리적 기대와 필립스곡선의 재해석 = 292
  4. 실업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새로운 인식 = 299
   4.1 기억효과 = 300
   4.2 인플레이션과 실업 = 303
  보론 : 우리나라의 필립스곡선과 자연실업률 = 304
  요약 = 306
  연습문제 = 307
Ⅲ. 거시경제의 미시적 기초
 8. 소비이론 = 313
  1. 다기간 모형 : 소비자 = 316
   1.1 시점간 소비선택 = 316
   1.2 프리드만의 항상소득가설 = 321
   1.3 불확실성과 소비 : 랜덤워크가설 = 325
   1.4 라이프사이클가설 = 329
   1.5 재정정책과 소비 : 리카도의 대등정리 = 334
  2. 유동성제약과 소비 = 338
   2.1 유동성제약과 리카도의 대등정리 = 340
   2.2 유동성제약과 랜덤워크가설 = 343
  3.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 = 345
   3.1 자산효과와 총수요관리정책 = 349
   3.2 자산효과의 문제점 = 352
  4. 상대소득가설 = 353
   4.1 소비의 사회적 상대성 = 353
   4.2 소비의 역사적 상대성 = 354
  보론 : 우리나라의 소비와 부의 효과 = 356
  요약 = 358
  연습문제 = 359
 9. 투자이론 = 363
  1. 다기간 모형 : 기업 = 365
   1.1 기업의 투자선택 = 365
   1.2 토빈의 q이론 = 370
  2. 이자율과 투자 = 373
   2.1 고전학파의 현재가치법 = 374
   2.2 케인즈의 한계효율법 = 375
  3. 생산과 투자 = 377
   3.1 가속도원리와 거시경제모형 = 379
   3.2 가속도원리에 대한 비판 = 381
  4. 불확실성과 투자 = 382
   4.1 투자옵션모형 = 384
   4.2 재고투자모형 = 389
  보론 : 우리나라의 설비투자 결정요인 = 392
  요약 = 394
  연습문제 = 395
 10. 노동시장 = 397
  1. 노동시장과 실업 = 399
   1.1 실업의 원인과 종류 = 400
   1.2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 = 401
   1.3 자발적 실업과 비자발적 실업 = 402
  2. 다기간 모형 = 403
   2.1 소비자의 노동공급 = 403
   2.2 기업의 노동수요 = 407
   2.3 노동시장의 균형 = 409
  3. 마찰적 실업과 탐색모형 = 410
   3.1 유보임금의 결정 = 412
   3.2 균형실업률의 결정 = 413
   3.3 직업제안비율의 증가 = 415
  4. 비자발적 실업과 임금경직성 모형 = 417
   4.1 명목임금 경직성 : 중첩임금계약모형 = 418
   4.2 실질임금 경직성 = 421
  보론 :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구조변화 = 429
  요약 = 433
  연습문제 = 434
 11. 화폐시장 = 437
  1. 시장경제와 화폐 = 440
   1.1 물물교환경제와 화폐경제 = 440
   1.2 화폐의 정의 = 442
  2. 다기간 모형 = 444
   2.1 소비자의 화폐수요 = 444
   2.2 화폐시장의 균형 = 448
   2.3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 = 449
   2.4 화폐수요함수의 안정성 = 450
  3. 케인즈학파의 화폐수요이론 = 453
   3.1 거래적 화폐수요이론 = 453
   3.2 투자적 화폐수요이론 = 457
  4. 금융제도와 화폐의 공급 = 466
   4.1 은행제도의 역할 = 467
   4.2 중앙은행과 비은행민간 = 468
   4.3 화폐공급함수 = 470
  5. 통화공급의 외생성과 내생성 = 471
   5.1 중앙은행과 본원통화공급의 내생성 = 472
   5.2 통화승수의 내생성 = 475
   5.3 통화공급의 내생성과 거시경제정책 = 475
  보론 1 : 고전적 화폐수량설 = 478
  보론 2 : 우리나라의 화폐수요와 화폐공급 = 482
  요약 = 487
  연습문제 = 488
 12. 일반균형과 거시경제정책 = 491
  1. 실물부문의 균형 = 492
   1.1 실질총수요곡선 = 492
   1.2 실질총공급곡선 = 494
   1.3 실물부문의 균형 : 폐쇄경제 = 498
   1.4 실물부문의 균형 : 개방경제 = 502
  2.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 507
   2.1 폐쇄경제 = 507
   2.2 개방경제 : 변동환율제도 = 509
   2.3 개방경제 : 고정환율제도 = 514
   2.4 총요소생산성의 일시적 감소와 자본통제 = 517
   2.5 명목임금 경직성과 일반균형 = 524
  3. 거시경제정책 = 528
   3.1 화폐금융정책의 단기적 측면 : 화폐의 중립성 = 528
   3.2 화폐금융정책의 장기적 측면 : 화폐의 초중립성 = 532
   3.3 재정정책 = 534
  요약 = 537
  연습문제 = 539
Ⅳ.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13. 경기변동론 = 543
  1. 경기변동이란 무엇인가? = 545
   1.1 경기변동의 종류와 국면 = 545
   1.2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 547
   1.3 경기변동의 원인 = 549
  2. 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550
   2.1 명목임금 경직성 모형 = 551
   2.2 새뮤엘슨의 승수-가속도 모형 = 553
  3. 새고전학파의 균형경기변동이론 = 556
   3.1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558
   3.2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566
  4.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574
   4.1 재화가격 경직성과 메뉴비용이론 = 575
   4.2 복수균형과 조정실패모형 = 577
   4.3 실질임금 경직성과 효율성임금이론 = 588
  5. 이론과 실제 = 591
   5.1 대공황과 경기변동이론 = 591
   5.2 경기변동성의 감소 및 신경제 현상 = 592
  요약 = 593
  연습문제 = 594
 14. 경제성장론 = 597
  1. 경제성장에 관한 기본지식 = 599
   1.1 경제성장의 정형화된 사실 = 599
   1.2 경제성장의 요인 : 성장회계 = 600
  2. 외생적 성장이론 = 602
   2.1 솔로우모형 = 603
   2.2 일반균형 = 605
   2.3 장기균형 : 균제상태 = 607
   2.4 장기균형의 특성 = 609
   2.5 1인당 소비와 황금률 자본축적 = 614
   2.6 솔로우모형의 주요 시사점과 문제점 = 616
  3. 내생적 성장이론 = 619
   3.1 R&D모형 = 622
   3.2 로머의 AK모형 = 623
   3.3 루카스의 인적자본모형 = 625
  4. 이론과 실제 : 외생적 vs 내생적 성장모형 = 630
  요약 = 633
  연습문제 = 634
 15. 거시경제정책론 = 639
  1. 정책의 비일관성과 신뢰성문제 = 641
   1.1 화폐금융정책 = 642
   1.2 재정정책 = 644
  2. 신뢰성문제의 해결방안 = 646
   2.1 평판적 접근 = 647
   2.2 입법적 접근 = 648
   2.3 계약적 접근 = 648
  3. 화폐금융정책의 운용체계와 파급경로 = 649
   3.1 화폐금융정책의 운용체계 = 649
   3.2 화폐금융정책의 파급경로 = 656
  4. 우리나라의 화폐금융정책 운용체계 = 662
   4.1 목표물가지수 = 663
   4.2 목표달성기간 = 664
   4.3 운용목표와 운용과정 = 665
   4.4 투명성 = 665
  5. 거시경제정책의 현실적 어려움 = 666
  요약 = 668
  연습문제 = 669
찾아보기 = 6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