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과교육과 실제

교과교육과 실제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택열 柳澤烈 , 1946-.
서명 / 저자사항
교과교육과 실제 / 柳澤烈 編著.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2003.  
형태사항
489 p. : 삽도 ; 26 cm + CD-ROM 1매.
총서사항
敎育課程에서의 微視的 接近 ; 6
ISBN
898287662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79-483, 색인수록
000 00805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826784
005 20100806010337
007 ta
008 030304s2003 ulka 001a kor
020 ▼a 8982876626 ▼g 93370 : ▼c \22000
035 ▼a KRIC08602634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49 1 ▼l 111248210 ▼l 111248211
082 0 4 ▼a 375 ▼2 21
090 ▼a 375 ▼b 2003a
100 1 ▼a 유택열 ▼g 柳澤烈 , ▼d 1946-.
245 1 0 ▼a 교과교육과 실제 / ▼d 柳澤烈 編著.
246 0 1 ▼a Curriculum subject matter education & practice : self-instruction model & application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3.
300 ▼a 489 p. : ▼b 삽도 ; ▼c 26 cm + ▼e CD-ROM 1매.
440 0 0 ▼a 敎育課程에서의 微視的 接近 ; ▼v 6
504 ▼a 참고문헌: p. 479-483, 색인수록
740 ▼a 실전사례와 실습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3a 등록번호 1112482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3a 등록번호 1112482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류택열(지은이)

<학교운영과 실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앎과 삶이 일치하는 교육을 기대하며 = 7
지성적 삶 능력 신장을 기대하며 = 9
제1부 자기 수업모형 구안 이론
 제1장 교과교육에서의 미시적 접근 = 29
  Ⅰ. 미시교육학적 접근 원리 = 30
   1. 미시교육학의 필요성 = 30
   2. 미시교육학의 개념 = 31
   3. 미시교육학적 접근의 원리 = 36
  Ⅱ. 교과교육의 본질 = 41
   1. 학습과 삶의 연계 = 41
   2. 지식의 개념 = 43
   3. 교과교육의 본질 = 50
  Ⅲ. 교과교육에서의 미시적 접근 = 53
   1. 패러다임과 내러티브 = 53
   2. 거시교육학적 교과교육과 미시교육학적 교과교육 = 55
   3. 교과교육에서의 미시적 접근 = 56
 제2장 자기 수업모형 구안 이론 = 61
  Ⅰ. 미시교육학적 단위수업의 개념 = 62
   1. 단위수업의 의미 변천 = 62
   2. 수업의 개념화 방법 = 65
   3. 단위수업의 정의 = 66
  Ⅱ. 수업모형의 구성 조건 = 68
   1. 수업의 개념 정립 = 69
   2. 수업의 원리 발견 = 69
   3. 수업의 이론 구성 = 69
  Ⅲ. 자기 수업모형의 개념 = 70
   1. 자기 수업모형의 필요성 = 70
   2. 모형의 개념과 분류 = 71
   3. 자기 수업모형의 정의 = 77
제2부 자기 수업모형 구안 방법
 제3장 자기 수업모형 구안 방법 = 81
  Ⅰ. 수업의 이론 고찰 = 82
   1. 미시교육학적 수업의 개념 = 82
   2. 상호작용 이론 = 83
   3. 수업 구성의 원리 = 89
  Ⅱ. 수업의 유형 분석 = 90
   1. 수업의 종적(절차) 유형 = 90
   2. 수업의 횡적(방법) 유형 = 96
   3. 수업의 조합(융합) 유형 = 102
  Ⅲ. 자기 수업모형 구안 방법 = 104
   1. 미시교육학적 수업관의 정립 = 104
   2. 종적유형과 횡적유형의 조합 = 107
   3. 자기 수업설계 모형 = 110
 제4장 교과별 자기수업 모형 구안 방법 / 정경희 = 111
  Ⅰ. 교과의 본질 탐구 = 112
   1. 사회학의 개념 = 112
   2. 사회과의 특성 = 113
   3. 탐구력(探究力, Inquiry) = 114
  Ⅱ. 교과활동 운영 계획 = 116
   1. 운영방침 설정 = 116
   2. 교과활동 운영 모형 구안 = 117
   3. 교과활동 운영 세부계획 수립 = 118
  Ⅲ. 교과별 자기 수업모형 구안 = 121
   1. 사회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121
   2. 삶 중심 사회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131
   3. 삶 중심 사회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134
   4. 삶 중심 사회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135
제3부 교과별 자기 수업모형 구안과 적용
 제5장 국어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전숙녀 = 145
  Ⅰ. 국어과의 본질 = 146
   1. 국어의 개념 = 146
   2. 국어과의 특성 = 147
   3. 총체적 언어 능력 = 150
  Ⅱ. 국어과 운영 계획 = 155
   1. 운영방침 설정 = 155
   2. 국어과 운영 모형 구안 = 157
   3. 국어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157
  Ⅲ. 국어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160
   1. 국어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160
   2. 삶 중심 국어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174
   3. 삶 중심 국어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176
   4. 삶 중심 국어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177
 제6장 도덕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김인자 = 179
  Ⅰ. 도덕과의 본질 탐구 = 180
   1. 도덕의 개념 = 180
   2. 도덕과의 특성 = 182
   3. 도덕과 행동 실천 = 183
  Ⅱ. 도덕과 운영 계획 = 188
   1. 운영방침 설정 = 188
   2. 도덕과 운영 모형 구안 = 189
   3. 도덕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190
  Ⅲ. 도덕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192
   1. 도덕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193
   2. 삶 중심 도덕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204
   3. 삶 중심 도덕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207
   4. 삶 중심 도덕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209
 제7장 수학과 자기 수업모형 구안과 적용 / 이경혜 = 211
  Ⅰ. 수학과의 본질 탐구 = 212
   1. 수학의 개념 = 212
   2. 수학과의 특성 = 213
   3. 문제 해결력(問題解決力) = 214
  Ⅱ. 수학과 운영 계획 = 216
   1. 운영방침 설정 = 216
   2. 수학과 운영 모형 구안 = 218
   3. 수학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219
  Ⅲ. 수학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221
   1. 수학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221
   2. 삶 중심 수학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243
   3. 삶 중심 수학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245
   4. 삶 중심 수학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246
 제8장 과학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김미현 = 251
  Ⅰ. 과학과의 본질 탐구 = 252
   1. 과학의 개념 = 252
   2. 과학과의 특성 = 253
   3. 탐구과정과 탐구력(探究力) = 254
  Ⅱ. 과학과 운영 계획 = 260
   1. 운영방침 설정 = 260
   2. 과학과 운영 모형 구안 = 261
   3. 과학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262
  Ⅲ. 과학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265
   1. 과학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265
   2. 삶 중심 과학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281
   3. 삶 중심 과학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283
   4. 삶 중심 과학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284
 제9장 실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송자민 = 291
  Ⅰ. 실과의 본질 탐구 = 292
   1. 일(노동)의 개념 = 292
   2. 실과의 특성 = 293
   3. 기술력(技術力, Technique) = 294
  Ⅱ. 실과 운영 계획 = 296
   1. 운영방침 설정 = 296
   2. 실과 운영 모형 구안 = 297
   3. 실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298
  Ⅲ. 실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300
   1. 실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300
   2. 삶 중심 실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316
   3. 삶 중심 실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318
   4. 삶 중심 실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320
 제10장 체육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장성호 = 323
  Ⅰ. 체육과의 본질 탐구 = 324
   1. 체육의 개념 = 324
   2. 체육과의 특성 = 326
   3. 운동기능 = 327
  Ⅱ. 체육과 운영 계획 = 329
   1. 운영방침 설정 = 329
   2. 체육과 운영 모형 구안 = 331
   3. 체육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332
  Ⅲ. 체육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334
   1. 체육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334
   2. 삶 중심 체육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346
   3. 삶 중심 체육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348
   4. 삶 중심 체육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349
 제11장 음악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김승주 = 353
  Ⅰ. 음악과의 본질 탐구 = 354
   1. 음악과의 개념 = 354
   2. 음악과의 특성 = 355
   3. 음악적 능력의 향상 = 356
  Ⅱ. 음악과 운영 계획 = 357
   1. 운영방침 설정 = 357
   2. 음악과 운영 모형 구안 = 359
   3. 음악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360
  Ⅲ. 음악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362
   1. 음악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362
   2. 삶 중심 음악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369
   3. 삶 중심 음악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370
   4. 삶 중심 음악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372
 제12장 미술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임영미 = 375
  Ⅰ. 미술과의 본질 탐구 = 376
   1. 미술의 개념 = 376
   2. 미술과의 특성 = 377
   3. 창조과정과 창의력(創意力, Creativity) = 378
  Ⅱ. 미술과 운영 계획 = 381
   1. 운영방침 설정 = 381
   2. 미술과 운영 모형 구안 = 383
   3. 미술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383
  Ⅲ. 미술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385
   1. 미술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385
   2. 삶 중심 미술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385
   3. 삶 중심 미술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397
   4. 삶 중심 미술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398
 제13장 영어과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 박정애 = 401
  Ⅰ. 영어과의 본질 탐구 = 402
   1. 영어의 개념 = 402
   2. 영어과의 특성 = 404
   3. 총체적 영어 능력 = 405
  Ⅱ. 영어과 운영 계획 = 406
   1. 운영방침 설정 = 406
   2. 영어과 운영 모형 구안 = 407
   3. 영어과 운영 세부계획 수립 = 408
  Ⅲ. 영어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과 적용 = 409
   1. 영어과 단위수업 이론 모형 구안 = 410
   2. 삶 중심 영어과 단위수업 모형 구안 = 424
   3. 영어과 단위수업의 설계 모형 = 426
   4. 삶 중심 영어과 단위수업의 실제(사례) = 428
제4부 평가 및 과제
 제14장 자기 수업의 평가 방법 = 435
  Ⅰ. 수업의 질적 향상 개념 = 436
   1. 수업평가의 목적 = 436
   2. 수업의 질적 향상의 의미 = 436
   3. 수업의 질의 정의 = 440
  Ⅱ. 수업의 거시·미시적 평가 기준 = 441
   1. 수업의 거시적 평가 기준 = 441
   2. 수업의 미시적 평가 기준 = 445
  Ⅲ. 단계별 수업 참관록 = 452
   1. 계획단계 = 452
   2. 실천단계 = 452
   3. 평가단계 = 453
 제15장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과 적용 과제 = 457
  Ⅰ. 연구적 장학 풍조 조성 = 458
   1. 연구적 장학의 필요성 = 458
   2. 미시교육학적 안목 형성 = 459
   3. 교원의 연구력 신장 = 465
  Ⅱ. 삶 중심 교육과정의 재구성 = 467
   1. 비정상적 교육과정 운영 = 467
   2. 삶 중심 교육과정의 필요성 = 469
   3. 삶 중심 교육과정의 개편 = 470
  Ⅲ. 학교 실천연구 발표회 운영 = 471
   1. 학교 실천연구의 개념 = 471
   2. 학교 실천연구 발표회 운영 방법 = 473
   3. 학교 실천연구 발표 연구실적 인정 = 475
참고문헌 = 479
찾아보기 = 48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