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Introduction) = 13
제2장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State of technology development) = 17
제1절 음 환경 제시기술(Realization technology for virtual sound field) = 17
제2절 긍정감성 음 환경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sound-induced positive affect) = 23
제3절 생활소음 감성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unwanted sound-induced negative affect) = 25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Contents and results of research) = 52
제1절 음 환경 제시기술(Realization technology for virtual sound field) = 52
제2절 긍정감성 음 환경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sound-induced positive affect) = 101
제3절 생활소음 감성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unwanted sound-induced negative affect) = 161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Achievement of research goal and contribution) = 272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Application plans of research results) = 277
제1절 음 환경 제시기술(Realization technology for virtual sound field) = 277
제2절 긍정감성 음 환경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sound-induced positive affect) = 278
제3절 생활소음 감성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unwanted sound-induced negative affect) = 279
제6장 연구개발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Information of scientific technique collected from abroad) = 280
제1절 긍정감성 음 환경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sound-induced positive affect) = 280
제2절 생활소음 감성 평가기술(Evaluating technology for unwanted sound-induced negative affect) = 283
제7장 참고문헌(References) = 294
부록(Appendix) 1. 경고음 수준 결정을 위한 설문지(Questionnaire for Warning Sound Level) = 301
부록(Appendix) 2. Template 요소 결정을 위한 심리평가 척도(Subjective Evaluation Scale for Template) = 305
부록(Appendix) 3. 운용 및 평가 절차서(Procedures for Operating and Evaluation) = 307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