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과정의 구성
제1장 학교의 기능과 교육 = 15
1. 학교의 다중적 기능 = 15
2. 학교 정책 결정의 난점 = 22
제2장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 27
1. 교육과정 개발의 패러다임 = 29
2. 교육과정 이해의 패러다임 = 36
3.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 선택 = 49
제3장 지식과 교육과정 = 55
1. 진리관 및 언어관의 변화 = 56
2. 교육과정 구성 논리의 재조명 = 61
제4장 교과 통합지도의 의의와 방법 = 75
1. 의의 및 인식론적 배경 = 76
2. 유형과 준거 = 81
3. 사례에 대한 비판적 분석 = 90
제5장 학교 교육과정 구성의 실제 = 101
1. 수준별 교육과정의 의의 및 도입 배경 = 102
2. 수준별 교육과정의 유형별 특징과 그 운영 = 104
3. 재량활동의 편성·운영 = 115
제6장 교과서의 성격과 구성 = 133
1. 학교의 기능과 교과서 = 134
2. 자기주도적 학습의 강조 = 139
3. 정보화 시대의 맥락과 교과서 = 144
4. 교과서 구성의 방향 = 150
제2부 교육적 상호작용
제7장 배움과 질문 = 169
1. 학습자의 질문의 교육적 의의 = 172
2. 질문 생성의 요건 = 174
3. 선행 연구의 동향과 한계 = 177
4. 질문의 생성을 촉진하는 교육 방법 = 179
제8장 가르침과 질문 = 195
1. 교사의 질문의 특성 = 196
2. 선행 연구의 동향과 한계 = 199
3. 교사의 질문 목적 = 205
4. 질문의 활용과 학생 반응의 처리 = 210
제9장 교육적 대화의 특성 = 217
1. 유사 개념과의 차별화 = 219
2. 교육적 대화의 특성과 조건 = 232
3. 대화적 학교 문화의 조성 = 243
제10장 교육과 언어적 상호작용 = 247
1. 대면관계의 의의 = 249
2. 언어와 체험 = 254
제3부 교육학적 재해석
제11장 체험학습의 조건 = 267
1. 언어주의 교육의 한계 = 269
2. 경험의 이론 의존성 = 273
3. Dewey의 경험 이론의 시사점 = 276
4. 상황적 학습 이론의 시사점 = 278
5. 체험 학습의 조건과 원리 = 286
제12장 수행평가의 의의와 한계 = 291
1. 수행평가 정책의 개요 = 293
2. 수행평가의 의미와 방법 = 297
3. 수행평가 시행상의 딜레마 = 299
4. 수행평가 정책의 향후 과제 = 307
제13장 학습자 오류와 평가 = 315
1. 지식의 성장과 인식의 오류 = 318
2. 오류의 상대성 = 321
제14장 교육과 시간 = 329
1. 객관적 시간과 체험적 시간 = 332
2. 시간 체험의 다양성 = 336
3. 교육적 기다림 = 343
4. 변화 가능성 = 348
5. 유한성 = 351
제15장 교육과 사이버 공간 = 357
1.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 = 360
2. 교육적 관계의 특성 = 365
3.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적 관계 형성 = 368
4. 사이버 공간의 교육적 기획 = 374
참고문헌 = 377
찾아보기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