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음악 사조와 구조분석 : 인상주의 음악에서 컴퓨터 음악까지

현대음악 사조와 구조분석 : 인상주의 음악에서 컴퓨터 음악까지 (4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규현. 백기풍 임주섭
서명 / 저자사항
현대음악 사조와 구조분석 : 인상주의 음악에서 컴퓨터 음악까지 / 김규현 ; 백기풍 ; 임주섭 共著.
발행사항
서울 :   작은우리 ,   2000.  
형태사항
295 p. : 악보,사진 ; 26 cm.
ISBN
8985679457
서지주기
참고문헌포함
000 00675namccc200241 c 4500
001 000000825178
005 20100806123758
007 ta
008 000713s2000 ulkgo 000a kor
020 ▼a 8985679457 ▼g 03670 : ▼c \17000
035 ▼a KRIC07633351
040 ▼a 224010 ▼c 224010 ▼d 211009
049 1 ▼l 111245463
082 0 4 ▼a 780.9 ▼2 21
090 ▼a 780.9 ▼b 2000a
100 1 ▼a 김규현. ▼0 AUTH(211009)12701
245 1 0 ▼a 현대음악 사조와 구조분석 : ▼b 인상주의 음악에서 컴퓨터 음악까지 / ▼d 김규현 ; ▼e 백기풍 ; ▼e 임주섭 共著.
260 ▼a 서울 : ▼b 작은우리 , ▼c 2000.
300 ▼a 295 p. : ▼b 악보,사진 ; ▼c 26 cm.
504 ▼a 참고문헌포함
700 1 ▼a 백기풍 ▼0 AUTH(211009)45756
700 1 ▼a 임주섭 ▼0 AUTH(211009)37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 2000a 등록번호 1112454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 2000a 등록번호 1510860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 2000a 등록번호 1112454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 2000a 등록번호 1510860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세기의 현대 서양음악에 대한 이론서. 인상주의와 표현주의, 12음열 기법과 구체음악, 쉐리, 우연성, 전자음악 등으로 다양하게 발전해온 현대음악의 주요 사조와 양식, 작곡 기법 등을 설명한다. 대표적인 작곡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해서 시대별로 서술했다. 그냥 듣기가 쉽지 않은 현대음악의 역사와 배경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규현(지은이)

과거 한국 음악 평론가 협회 및 한국 음악 비평가 협회 회장, 6인 비평가 그룹 대표를 역임했으며, 2002 부산 합창 올림픽 예술위원 및 심사위원, 2009 경남 월드 콰이어 챔피언쉽 한국위원, 국립합창단 등 지휘자 선정 심사위원, 국립 오페라단 창작 오페라 팩토리 선정 심사위원, 서울 문화재단 공연무대 평가위원을 지냈다. 제37회(1994년)부터 제47회(2004년)까지 11년 동안 다름슈타트 현대 음악제(IFNM)에 참가했다. 미국 트리니티 신학대학교 명예철학박사(ph.D. 2007년)이며 서울신학교, 총회신대원 등에서 후학을 지도했다. 현재 대구 국제 현대음악제(DICMF), 한국 국민 악회(KNSC), 젊은 음악인의 모임(SYM) 고문이며, 한국 작곡가 협회(KCA)와 한국 작곡가회(KCS) 자문 및 한국 국제 합창 협회(KICA) 자문위원장, 그리고 月刊 「무용과 오페라」 주필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테러리즘 음악 평론의 시비(1991 작은우리), 한국 현대음악의 현장(1992 질그릇), 현대음악사조와 구조분석 (2000 작은우리), 한국 근·현대 합창곡 분석(2004 질그릇), 名 합창지휘자와의 對話(2005 예솔), 한국 교회음악 작곡가의 世界(2006 예솔), 김규현 창작 독창곡집(2009 이우음악사), 대구 국제현대음악제 20年史(2010 예솔), 현장음악 비평(2010 질그릇), 김규현 창작합창곡집(2011 질그릇), 김규현 창작 찬송가 100곡집(2013 질그릇), 名 연주자들의 해석법 탐구(2017 중앙아트) 등이 있다. 대표 작품으로 Jesus Symphony for Orchestra(1983), Suites for String Orchestra(1982), Formentation for four Timpani(1985), Duo for Flute & Piano(1980-90) 등 다수가 있으며 음반으로는 김규현 창작 독창곡 모음(2010), 김규현 창작 기악곡 모음(2013), 김규현 창작 현대합창곡 모음 1(2017)이 있다.

백기풍(지은이)

1919년 평북 정주 출생의 음악교육자. 정주 오산학교를 나오고 도일, 일본 무사시노 음악대학에서 수학했고, 그 뒤 조선총독부 교원검정시험에 합격하여 음악교육자가 되었다. 평북 운전중학 교사로 시작하여 해방되자 남하하여 강원도 원주여고 교사, 춘천교육대 교수와 강원도 도내 각 중·고등학교 교장직을 16년 동안 봉직했다. 1977년 공로퇴직을 하고 성신여대 대학원, 춘천교육대 교수와 강원도 도내 각 중·고등학교 교장직을 16년 동안 봉직했다. 대한음악교육협회 회장, ISME 한국지부 2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서양음악사> <바하의 건반음악 해석> <세 번만 읽으면 누구나 작곡할 수 있다> <1등 제자를 만드는 피아노 지도법> 등이 있다. 현재는 저술에만 전념하고 있다.

임주섭(지은이)

경북 영덕 출생으로 영남대학교 작곡과와 동대학원 및 독일 Detmold 국립음대를 졸업하였으며 그후 Bremen국립음대에 파견교수로 연구한 바 있다. 그는 학창시절부터 국내의 유수한 여러 작곡콩쿨에 입상하여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는데 제1회 영남 작곡콩쿨 1위, 제7회 창악회 콩쿨 입상, 제3회 대구음협콩쿨 1위, 대구시항 콩쿨 1위 및 제24회 동아음악콩쿨 2위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외의 제45회 Darmstadt춘계음악제, 일본에서 열린 제2회 고베국제콩쿨에서 2위로 입상한 바 있다. 젊은 음악인 모임과 작곡 동인 '하나'의 창립인으로서 일찍이 활발하게 창작활동을 해온 그는 현재 대구현대음악제 운영위원 및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영남대학교 작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또한 그는 창작품 독립음반 CD출반 및 여러 작품을 출판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현재 국내외에서 많이 연주되어지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10
제1장. 20세기 음악의 등장〈현대음악의 양상〉 = 15
 1-1. 드뷔시와〈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 15
 1-2. 쇤베르크 = 21
 1-3. 쇤베르크의 12음에 대한 작곡동기와 그의 주장 = 25
제2장. 일반 베르크의 작품 고찰 = 31
 2-1. 신 비엔나 악파의 협주곡 = 32
 2-2. 베르크의〈실내협주곡〉 = 33
 2-3. 서주, 주부와 신비엔나악파 작곡가들 = 37
 2-4. 3과 5가 지닌 의미성 = 40
 2-5. 제1악장〈변주를 수반한 스케르조풍의 주제〉분석 = 43
제3장. 12음열 기법이 남겨준 인테그랄 세리알리즘 = 85
 3-1. 음가의 Series 배열 = 93
 3-2. 슈톡하우젠의〈크로이쯔슈필〉 = 95
제4장. 구체음악과 그 선구자 피에르 쉐페르 = 103
제5장. 세리(Serie)음악에서 다시 선율음악으로 = 115
 5-1. 전자음악 시대의 슈톡하우젠 = 116
 5-2. 세리음악에서 다시 선율음악으로 = 118
 5-3. 유럽의 세리기법 분열 = 119
 5-4. 루치아노 베리오(1925∼) = 129
제6장. 전자음악 문턱에서〈전위음악의 수호자들Ⅰ〉 = 135
 6-1. 현대 제2기의 전주곡 = 137
 6-2. 3군의 오케스트라를 위한〈그루펜〉 = 141
 6-3. 슈톡 하우젠의 순간 형식〈모멘테〉의 시도 = 145
 6-4. 콘탁테 = 152
제7장. 슈톡하우젠의 전자음악에 대한 이해〈전위음악의 수호자들Ⅱ〉 = 157
 7-1. '그루펜'이란 = 157
 7-2. 시간과 펠더(Felder. 영역) = 158
 7-3. 음열(세리)의 시초……/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158
 7-4. 신 비엔나 악파의 '세리'와 슈톡하우젠의 '세리' = 159
제8장. 슈톡하우젠의「카레」에 대한 작품해설〈전위음악의 수호자들Ⅲ〉 = 179
 8-1. 카레(Carr$$\acute e$$, 프) = 179
 8-2. 공간의 차원 = 181
 8-3. 공간음악(Raum-musik) = 182
 8-4. 전자음악의 요약 = 182
제9장. 오리엔탈리즘의 대두〈20세기의 새로운 사조〉 = 189
 9-1. 6인조 = 193
 9-2.〈주인없는 망치〉분석 = 199
제10장. 기악연주기법의 새로운 방향 모색 = 207
 10-1. 점묘주의(Punkluelle musik)란 = 212
 10-2. 현악기의 경우 = 218
 10-3. 목관악기의 경우 = 219
 10-4. 타악기의 새로운 물결 = 221
 10-5. 악기의 연주방법에 따른 다양한 주법 = 223
제11장. 존 케이지의 기상천외한 시도와 그의 작품 = 227
 11-1. 불확정성 기보법 = 234
 11-2. 생(生) 전자음악 = 235
제12장. 전통음악에서 극장음악 시대로 = 239
 12-1. 노노의 음악 = 243
 12-2. 헨쩨의 음악 : 전통 오페라에서 극장 음악까지 = 244
 12-3. 메뒤즈호의 뗏목(Das Floss der Medusa) = 247
 12-4. 영국의 극장 작곡가 버트 윗슬 = 253
제13장. 미국의 컴퓨터 음악 출현과 그 작곡가들 = 269
 13-1. 시간점(Time Point) = 272
 13-2. 배빗의 악파들 = 277
제14장. 20세기의 음악의 종합적 정리〈미니멀과 신낭만주의 음악〉 = 283
 14-1. 미니멀 음악(minimal music)이란 = 289
 14-2. 미니멀 음악의 쇠퇴와 신낭만주의 음악 = 29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