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막 = 9
1막. 정신분석으로 읽어본 열 두 가지 개념
1. 가족 로망스 / 임옥희 = 19
프로이트의 가족 로망스 = 19
르네 지라르 : 모방 욕망의 삼각형 = 25
2. 사랑 / 임옥희 = 34
여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 낭만적 사랑의 환상 = 34
이성애는 희극, 동성애는 비극 = 40
실패의 정치학과 불가능한 실재의 윤리학 = 43
환상 가로지르기 그리고 그 이후 = 50
욕망 그리고 그 너머 = 54
3. 애도와 우울증 / 조현순 = 56
프로이트의 우울증 : 억압의 이중물결로서의 여성성 = 56
버틀러의 우울증 : 동성애적 애착의 이중거부 = 63
자기동일성 부정의 급진적 정치성 = 69
4. 매저키즘 / 성미라 = 74
〈피아니스트〉 : 이 사랑은 나쁘다? = 74
프로이트와 들뢰즈의 매저키즘 = 76
여성적 매저키즘 = 84
어머니-딸, 그 유폐된 욕망을 찾아 = 87
5. 히스테리 / 임옥희 = 95
정신분석학의 여사제들 : 히스테리아 = 95
역사적 공간 이동에 따른 히스테리의 변천 = 97
욕망의 끝없는 치환으로서 히스테리 = 101
아방가르드적인 시적 언어로서 히스테리 = 103
여성적인 욕망과 권력의 무대화 = 105
6. 환상 / 임옥희 = 111
그 위반의 시학 = 111
소비사회의 페티시 = 113
장르의 문법으로서 환상 = 117
주체형성의 무대로서 환상 = 121
7. 페티시 / 배수경 = 127
결핍을 견디지 못하는 프로이트의 페티시 = 127
가치의 연쇄 속에 위치한 페티시 = 129
여성 페티시스트 = 132
페티시의 흔적들 = 137
8. 기괴함 / 임옥희 = 141
친숙한 그러나 낯선 = 141
『모래인간』 : 거세불안 = 143
어머니 몸으로서의 집 : 기괴한 전복의 공간 = 152
재현불가능한 여성적 욕망 : 억압된 것의 회귀 = 155
9. 전이와 역전이 / 임옥희 = 160
문화적인 뒤집기 전략으로써 전이 = 160
역전이 = 160
라깡의 '안다고 가정된 주체' = 164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 도라의 사례 = 166
문학과 정신분석학의 회전 = 169
에로틱한 이론적 관계 = 173
분석가와 분석주체의 자리 뒤집기 = 176
10. 주이상스 / 김미연 = 179
보편적인 특이성으로서의 여자 = 179
특이성을 추구하는 안티고네 = 186
소외와 분리 = 191
타자의 주이상스 = 197
11. 코라 / 임현주 = 199
기호계적인 코라 = 199
코라와 주체형성이론 = 203
코라와 언어이론 = 204
이질적인 모순의 장 = 206
코라와 부정성 = 208
코라의 역동성과 의미생성 작용 = 211
12. 여성적 섹슈얼리티 / 임현주 = 215
여성적 섹슈얼리티와 정신분석학 = 215
여성성에 대한 프로이트의 연구 = 216
여자아이의 성 발달과정 = 217
여성의 성욕과 전외디푸스기의 중요성 = 220
수수께끼로서의 여성성 = 223
여성의 주이상스 = 225
모성애의 성스러움 = 228
우주적 여성리비도와 창조적 글쓰기 = 230
복수적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긍정 = 234
2막. 페미니즘으로 읽은 정신분석 실제비평
1.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 성미라 = 241
2. 술래를 찾는다 : 술래와 숨는 아이의 숨바꼭질 / 임옥희 = 255
3. 육식하는 여자들 : 전능과 무덤 사이 / 문영희 = 271
4. 프랑소와 오종의 〈8명의 여자들〉 : 히스테리적 주체와 여성 중심적 교환관계의 발견 / 남다은 = 285
5. 빨간망토 소녀와 늑대인간 = 305
3막.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한 번역 / 이은경 번역
1. 크리스테바의 우울증 사례 = 327
2. 우울증적인 젠더 │부인된 동일시 = 353
3. 여성적 페티시즘 =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