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신문읽기의 방법론 = 1
1. 신문을 따라 말하는 버릇 = 2
2. 신문을 비판적으로 읽어야 하는 이유 = 4
2·1. 신문의 속성 때문에 = 4
2·2. 신문과 교육의 역사적 관계 때문에 = 10
3. 신문에 반영된 교육 관심사 = 14
4. 실력지상주의 담론 비판: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 16
5. 인재인물론의 허구 = 29
제2장 교육문제에 대한 신문의 쟁점화 방식 = 33
1. 신문의 리포트를 다시 리포트 하기 = 34
2. 주요 쟁점과 쟁점화 방식 = 36
2·1. 초등학교 영어교육: 세계화 교육의 출발점 = 36
2·2. 촌지: 비리인가 문화인가 = 40
2·3. 학원폭력: 비행과 모범의 이분법 = 42
2·4. 특수목적고 사태: 특목고=일류대=고급인력 = 46
2·5. 위성과외방송: 사교육비의 정리적 해법 = 50
2·6. 대졸취업: 학력사회와 직업배분의 딜렘머 = 54
2·7. 사교육비: 경제적 고통인가 문화적 고통인가 = 57
2·8. 교육개혁: 줄세우기와 효율추구의 처방 = 61
2·9. 자원봉사: 또 하나의 입시전략 = 66
2·10. 인성교육: 예절바르고 말 잘 듣게 하는 교육 = 71
3. 사건을 쫓고 사건을 만드는 신문 = 74
제3장 위로부터의 개혁을 고집하는 신문 = 76
1. 삶의 근거에 대한 고민 = 77
2. 대안, 열림에 대한 신문의 비반성적 이해 = 79
2·1. 신문의 대안학교론 = 80
2·2. 신문의 열린교육론 = 83
2·3. 위로부터의 개혁론을 개혁의 방법론으로 정당화한다 = 89
3. 대안학교와 열린교육에 대한 철학하기 = 91
4. 교육은 사상행위이다 = 94
제4장 신문의 세상만들기: 중앙과 주변의 이분법 = 97
1. 보수화 풍조의 기원 = 98
2. 정태적 사회관계의 구조 = 101
2·1. 힘의 실체화 = 101
2·2. 사람 평가의 준거체제로서의 학력과 경력 = 103
2·3. 도덕재무장론의 득세 = 104
2·4. 인치의 정치론 = 105
3. 중앙주의와 정실의 실태 = 108
4. 실패자의 양산 = 135
제5장 신문의 교육론: 어조와 어법 = 141
1. 문제: 국가기구의 용역으로서 교육 = 142
2. 신문의 코드를 읽는 방식 = 144
3. 교사, 학생, 학부모를 단지 교육관여자의 자리에 묶어두는 신문의 코드 = 147
3·1. 관변: '관변 논리'는 모두를 위한 도덕이다 = 147
3·2. 통념과 해법: 통념을 신화화하고 이에 따라 해법을 제시한다 = 152
3·3. 비법(非凡): 평범하지 않은 것을 찾아 이를 현실적인 것으로 만든다 = 156
3·4. 계량화: 수치로서 가치를 말한다 = 161
3·5. 홍보: 교육적으로 기능하면서 이익을 챙긴다 '교육적'이란 학부모의 욕망을 유인할 만한 것을 일컫는다 = 164
3·6. 순위매기기: 서열을 매겨 심판하며 교육에 간섭한다 = 169
4. 신문의 교육세계: 용의주도한 사람이 득세하는 세상 = 174
참고문헌 = 180
찾아보기 =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