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신문의 교육론 비판

신문의 교육론 비판

Material type
단행본
Corporate Author
교육문화연구회
Title Statement
신문의 교육론 비판 / 교육문화연구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대구 :   경북대학교 출판부 ,   2000.  
Physical Medium
vii, 193 p ; 23 cm.
ISBN
897180103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80-187, 색인수록
000 00609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23685
005 20100806121552
007 ta
008 010919s2000 tgk SC 001a kor
020 ▼a 8971801034 ▼g 93370 : ▼c \7,000
035 ▼a KRIC08250587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49 1 ▼l 111246010 ▼l 111246011
082 0 4 ▼a 070.44937 ▼2 21
090 ▼a 070.44937 ▼b 2000
245 0 0 ▼a 신문의 교육론 비판 / ▼d 교육문화연구회.
260 ▼a 대구 : ▼b 경북대학교 출판부 , ▼c 2000.
300 ▼a vii, 193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180-187, 색인수록
710 ▼a 교육문화연구회 ▼0 AUTH(211009)45798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070.44937 2000 Accession No. 1112460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070.44937 2000 Accession No. 11124601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신문의 교육론'이란 신문이 교육의 지향과 제과정에 취하는 관점의 체계를 일컫는다. 신문의 관점은 현대사회의 기능 그 자체에 의해 구성된 것이기도 하지만 대중들의 이익과 사고를 반영한 것이며, 대중조작의 결과이기도 하다. 이 책은 신문이 교육에 관한한 언제나 군림하며 꾸짖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민남(지은이)

동아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 대학원 신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 기자, 부산 경남언론학회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2006년 현재 동아대 사회언론광고학부 교수로 있다. 지은책에 <언론학원론>, <새로 쓰는 한국언론사>, <공공저널리즘과 한국언론>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신문읽기의 방법론 = 1

 1. 신문을 따라 말하는 버릇 = 2

 2. 신문을 비판적으로 읽어야 하는 이유 = 4

  2·1. 신문의 속성 때문에 = 4

  2·2. 신문과 교육의 역사적 관계 때문에 = 10

 3. 신문에 반영된 교육 관심사 = 14

 4. 실력지상주의 담론 비판: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 16

 5. 인재인물론의 허구 = 29

제2장 교육문제에 대한 신문의 쟁점화 방식 = 33

 1. 신문의 리포트를 다시 리포트 하기 = 34

 2. 주요 쟁점과 쟁점화 방식 = 36

  2·1. 초등학교 영어교육: 세계화 교육의 출발점 = 36

  2·2. 촌지: 비리인가 문화인가 = 40

  2·3. 학원폭력: 비행과 모범의 이분법 = 42

  2·4. 특수목적고 사태: 특목고=일류대=고급인력 = 46

  2·5. 위성과외방송: 사교육비의 정리적 해법 = 50

  2·6. 대졸취업: 학력사회와 직업배분의 딜렘머 = 54

  2·7. 사교육비: 경제적 고통인가 문화적 고통인가 = 57

  2·8. 교육개혁: 줄세우기와 효율추구의 처방 = 61

  2·9. 자원봉사: 또 하나의 입시전략 = 66

  2·10. 인성교육: 예절바르고 말 잘 듣게 하는 교육 = 71

 3. 사건을 쫓고 사건을 만드는 신문 = 74

제3장 위로부터의 개혁을 고집하는 신문 = 76

 1. 삶의 근거에 대한 고민 = 77

 2. 대안, 열림에 대한 신문의 비반성적 이해 = 79

  2·1. 신문의 대안학교론 = 80

  2·2. 신문의 열린교육론 = 83

  2·3. 위로부터의 개혁론을 개혁의 방법론으로 정당화한다 = 89

 3. 대안학교와 열린교육에 대한 철학하기 = 91

 4. 교육은 사상행위이다 = 94

제4장 신문의 세상만들기: 중앙과 주변의 이분법 = 97

 1. 보수화 풍조의 기원 = 98

 2. 정태적 사회관계의 구조 = 101

  2·1. 힘의 실체화 = 101

  2·2. 사람 평가의 준거체제로서의 학력과 경력 = 103

  2·3. 도덕재무장론의 득세 = 104

  2·4. 인치의 정치론 = 105

 3. 중앙주의와 정실의 실태 = 108

 4. 실패자의 양산 = 135

제5장 신문의 교육론: 어조와 어법 = 141

 1. 문제: 국가기구의 용역으로서 교육 = 142

 2. 신문의 코드를 읽는 방식 = 144

 3. 교사, 학생, 학부모를 단지 교육관여자의 자리에 묶어두는 신문의 코드 = 147

  3·1. 관변: '관변 논리'는 모두를 위한 도덕이다 = 147

  3·2. 통념과 해법: 통념을 신화화하고 이에 따라 해법을 제시한다 = 152

  3·3. 비법(非凡): 평범하지 않은 것을 찾아 이를 현실적인 것으로 만든다 = 156

  3·4. 계량화: 수치로서 가치를 말한다 = 161

  3·5. 홍보: 교육적으로 기능하면서 이익을 챙긴다 '교육적'이란 학부모의 욕망을 유인할 만한 것을 일컫는다 = 164

  3·6. 순위매기기: 서열을 매겨 심판하며 교육에 간섭한다 = 169

 4. 신문의 교육세계: 용의주도한 사람이 득세하는 세상 = 174

참고문헌 = 180

찾아보기 = 18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