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제1부 통신 언어란 무엇인가?
1장 통신 언어의 개념과 영역 = 15
1. 머리말 = 15
2. 통신 언어의 개념 = 16
3. 통신 언어의 영역 = 23
4. 맺음말 = 28
2장 통신 언어의 발생 동기와 기능 = 31
1. 머리말 = 31
2. 통신 언어의 발생 동기 = 32
3. 통신 언어의 기능 = 49
4. 맺음말 = 63
3장 통신 언어의 사용 환경과 탈규범성 = 65
1. 머리말 = 65
2. 통신 언어의 사용 환경 = 67
3. 통신 언어의 탈규범성 = 79
4. 맺음말 = 101
4장 통신 언어의 특성과 지위 = 103
1. 머리말 = 103
2. 통신 언어의 언어학적 특성 = 104
3. 통신 언어의 지위 = 127
4. 맺음말 = 141
5장 통신 언어 연구사 = 143
1. 머리말 = 143
2. 규범적 연구 = 147
3. 기술적 연구 = 160
4. 통신 언어 연구의 성과와 과제 = 188
제2부 통신 언어의 영역별 특성과 쓰임
6장 운영자 언어 = 195
1. 머리말 = 195
2. 인터넷 사이트의 유형과 환경 특성 = 196
3. 운영자 언어의 사용 실태 = 203
4. 맺음말 = 223
7장 게시판 언어 = 225
1. 머리말 = 225
2. 게시판의 유형과 환경 특성 = 226
3. 게시판 언어의 사용 실태 = 247
4. 맺음말 = 262
8장 대화방 언어 = 356
1. 머리말 = 265
2. 대화방의 유형과 환경 특성 = 266
3. 대화방 언어의 사용 실태 = 282
4. 맺음말 = 294
9장 전자편지 언어 = 297
1. 머리말 = 297
2. 전자편지의 유형과 환경 특성 = 299
3. 전자편지 언어의 사용 실태 = 314
4. 맺음말 = 331
제3부 통신 언어의 사회언어학
10장 두루 높임 호칭어 '님' = 335
1. 머리말 = 335
2. '님'의 기능과 일상어에서의 쓰임 = 337
3. 통신 언어에서의 '님'의 쓰임 = 345
4. 통신 언어로서의 '님'의 특성 = 354
5. 맺음말 = 363
11장 종결어미의 변용 = 367
1. 머리말 = 367
2. 문장종결법과 종결어미의 특성 = 368
3. 대화 참여자 특성과 종결어미 변용 = 381
4. 게시판 특성과 종결어미 변용 = 386
5. 논의 및 맺음말 = 392
12장 지역 방언의 쓰임과 맥락 = 397
1. 머리말 = 397
2. 방언 사용의 유형 = 401
3. 방언 사용의 정도 = 409
4. 방언 사용의 문맥과 기능 = 415
5. 맺음말 = 424
13장 전자편지 텍스트의 구조와 기능 = 427
1. 머리말 = 427
2. 전자편지의 텍스트 구조와 언어 특성 = 429
3. 전자편지의 기능과 언어 특성 = 446
4. 맺음말 = 451
14장 통신 언어의 문제점과 대책 = 453
1. 머리말 = 453
2. 통신 언어의 문제점 = 454
3. 바른 통신 언어 사용을 위한 대책 = 464
4. 맺음말 = 478
참고문헌 = 481
부록 : 통신 언어 연구 논저 목록 =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