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 제4판

거시경제학 제4판 (8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명재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 / 이명재 지음.
판사항
제4판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   2003.  
형태사항
xx, 594p. : 삽도 ; 26 cm.
ISBN
8910204311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537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20164
005 20100805112628
007 ta
008 030630s2003 ulka 001a kor
020 ▼a 8910204311 ▼g 93320 : ▼c \30000
040 ▼a 211009 ▼c 211009
049 1 ▼l 111242399 ▼l 111242400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3
100 1 ▼a 이명재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이명재 지음.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 ▼c 2003.
300 ▼a xx, 594p. : ▼b 삽도 ; ▼c 26 cm.
500 ▼a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9 2003 등록번호 1112424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 등록번호 1112423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명재(지은이)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이학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경영학석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han State Uninersity) 대학원(경제학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 국제경제연구원, 산업연구원 수석연구원 현재 부산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과제와 이론구성
 제1장 거시경제학과 거시경제변수
  1.1 거시경제학의 과제와 한계 = 5
   1. 거시경제학의 과제 = 5
   2. 거시경제학의 한계 = 6
  1.2 주요 거시경제변수 = 7
   1. 국내총생산 = 7
   2. 물가 = 19
   3. 고용과 실업 = 23
   4. 임금 = 24
   5. 이자율 = 27
  1.3 본 서의 구성 = 28
 제2장 거시경제의 구조와 이론구성
  2.1 거시경제의 기본구조 = 35
   1. 경제주체와 시장 = 35
   2. 거시경제의 순환 = 36
  2.2 거시경제아론의 발전과 AD-AS모형 = 40
   1. 거시경제이론의 발전 = 40
   2. 거시경제모형 = 43
   3. AD-AS모형 = 44
제2편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제3장 거시경제의 공급측면
  3.1 생산함수와 노동시장 = 53
   1. 생산함수 = 53
   2. 노동수요함수 = 54
   3. 노동공급함수 = 58
  3.2 총공급곡선 = 63
   1. 총공급곡선과 노동시장의 균형 = 63
   2. 장기분석과 단기분석 = 64
   3. 장기총공급곡선 = 67
   4. 단기총공급곡선 = 69
   5. 총공급곡선의 이동 = 72
 제4장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4.1 총수요의 구성부문과 물가변화의 파급경로 = 77
   1. 총수요의 구성부문 = 77
   2. 물가변화의 파급경로 = 86
  4.2 생산물시장과 IS 곡선 = 87
   1. IS곡선의 정의 = 87
   2. IS곡선의 이동 = 92
  4.3 화폐시장과 LM곡선 = 95
   1. 화폐의 공급과 수요 = 95
   2. LM곡선의 정의 = 97
   3. LM곡선의 이동 = 101
  4.4 총수요곡선 = 102
   1. 총수요곡선의 도출 = 102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104
 제5장 거시경제의 균형과 정책효과
  5.1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 115
   1.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 115
   2. 일반균형의 완결성 = 118
  5.2 총수요관리정책 = 118
   1. 재정-금융정책 = 118
   2. 정부지출정책 = 119
   3. 조세정책 = 123
   4. 통화정책 = 127
   5. 자산효과 = 131
  5.3 공급측면의 정책 = 138
   1. 공급측면의 충격 = 138
   2. 소득정책 = 138
   3. 노동생산성의 변화 = 141
  5.4 정책목표와 정책배합 = 146
   1. 틴버겐의 원리 = 146
   2. 정책배합 = 147
제3편 거시경제학의 발전과 개방경제론
 제6장 거시경제학의 역사적 발전
  6.1 고전학파 = 157
   1. 고전학파의 혁명 = 157
   2. 잠재GDP와 총공급 = 159
   3. 화폐수량설과 총수요 = 161
   4. 일반균형과 정책효과 = 164
   5. 고전적 이분성과 이자율의 조정기능 = 169
  6.2 케인즈학파 = 175
   1. 케인즈 혁명 = 175
   2. 케인즈와 케인즈 학파 = 179
   3. 유효수요이론(1) = 183
   4. 유효수요이론(2) = 193
   5. 일반균형이론 = 204
  6.3 통화학파 = 211
   1. 등장배경과 주요명제 = 211
   2. 적응적 예상가설과 총공급 = 213
   3. 신화폐수량설과 총수요 = 216
   4. 일반균형과 정책효과 = 217
   5. 통화정책의 지표와 준칙 = 220
  6.4 공급경제학 = 222
   1. 등장배경과 주요내용 = 222
   2. 조세율변화의 경제적 효과 = 225
 제7장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
  7.1 새고전학파 = 233
   1. 등장배경과 주요명제 = 233
   2. 예상가설에 대한 비판과 합리적 예상가설 = 235
   3. 일반균형과 정책효과 = 239
  7.2 새케인즈학파 = 247
   1. 등장배경과 주요특징 = 247
   2. 조정실패와 거시경제적 외부효과 = 248
   3. 가격변수의 경직성에 대한 이론 = 251
  [보론] - 새고전학파이론의 수리모형 = 263
 제8장 거시경제학의 논쟁
  8.1 기본적 관점 = 269
   1. 경제주체의 합리성과 야성적 충동 = 269
   2. 가격변수의 신축성과 경직성 = 269
   3. 예상의 정확성과 부정확성 = 269
  8.2 경제이론 - 정책적 관점 = 270
   1.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의 연결경로 = 270
   2.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 271
   3. 정책효과의 불확실성 = 274
   4. 통화량관리와 이자율관리 = 276
   5. 재량정책과 자동안정화장치 = 279
 제9장 개방경제론
  9.1 개방경제분석의 기초 = 289
   1. 새로운 경제변수와 시장 = 289
   2. 개방경제의 GDP항등식과 균형조건식 = 302
  9.2 유효수요모형과 종합균형 = 304
   1. IS/LM곡선과 대내균형 = 304
   2. 대외균형과 BP곡선 = 307
   3. 개방경제의 종합균형 = 311
  9.3 재정·금융정책 = 312
   1. 고정환율제도 = 312
   2. 변동환율제도 = 317
   3. 재정·금융정책의 상대적 효율성 = 324
  9.4 일반균형론적 접근 = 325
   1. 일반균형모형 = 325
   2. 일반균형과 경제정책 = 329
제4편 개별함수의 미시이론적 기초
 제10장 소비함수
  10.1 케인즈의 소비이론과 실증분석 = 339
   1. 케인즈의 소비이론 = 339
   2. 쿠즈네츠의 실증분석 = 341
  10.2 소비함수의 이론적 기초 = 344
   1. 소비자 선택이론 = 344
   2. 유동성제약 = 349
  10.3 소비에 관한 이론 = 351
   1. 항상소득가설 = 351
   2. 일생주기가설 = 356
   3. 상대소득가설 = 360
 제11장 투자함수
  11.1 투자의 역할과 이론의 다양성 = 367
   1. 투자의 역할 = 367
   2. 투자이론의 다양성 = 367
  11.2 투자에 관한 이론 = 370
   1. 현재가치법과 한계효율법 = 370
   2. 가속도이론 = 374
   3. 사용자비용접근법 = 376
   4. 토빈의 q이론 = 379
 제12장 화폐수요함수
  12.1 화폐의 기능과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383
   1. 화폐의 기능 = 383
   2.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384
  12.2 화폐수요에 관한 이론 = 388
   1. 고전학파이론 = 388
   2.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이론 = 389
   3. 재고이론적 접근 = 396
   4. 자산선택이론 = 400
   5. 프리드만의 이론 = 406
  12.3 화폐수요 불안정성과 새로운 통화지표의 모색 = 409
   1. 화폐수요의 불안정성 = 409
   2. 새로운 통화지표의 모색 = 411
 제13장 화폐의 공급
  13.1 금융기관과 통화지표 = 415
   1. 금융기관 = 415
   2. 통화지표 = 416
  13.2 통화량의 결정과 조정 = 418
   1. 본원통화의 공급 = 418
   2. 예금통화의 창출 = 420
   3. 통화량의 결정 = 421
   4. 통화량의 조정방법 = 423
   5. 통화량의 내생성 = 424
 제14장 정무부문
  14.1 정부재정과 예산제약 = 431
   1. 정부재정 = 431
   2. 재정의 예산제약 = 432
  14.2 재정적자와 관련한 문제 = 434
   1. 리카도의 등가정리 = 434
   2. 균형재정의 적절성 = 437
   3. 재정적자의 누적 = 438
제5편 거시경제의 동태분석
 제15장 동태분석의 기초
  15.1 동태분석과 경제변수의 시간적 변화경로 = 445
   1. 정태분석과 동태분석 = 445
   2. 경제변수의 시간적 변화경로 = 446
  15.2 동태분석과 동태적 균형 = 450
   1. 거시경제의 동태분석 = 450
   2. 동태적 균형 = 451
 제16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16.1 실업 = 457
   1. 실업의 측정 = 457
   2. 실업의 유형과 완전고용 = 458
   3. 실업의 경제적·사회적 비용 = 462
  16.2 인플레이션 = 463
   1. 인플레이션의 측정 = 463
   2.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비용 = 464
   3. 인플레이션의 원인 = 466
  16.3 필립스곡선 = 476
   1. 필립스곡선의 발견 = 476
   2. 필립스곡선의 이론적 설명 = 479
   3. 예상이 도입된 필립스곡선 = 481
  16.4 경제안정화정책 = 484
   1. 임금-가격 통제정책 = 484
   2. 통화정책 = 487
  [보론] 거시경제의 동태적 균형과 조정과정 = 489
 제17장 경기변동
  17.1 경기변동의 특징과 이론의 발전 = 501
   1. 경기변동의 의미 = 501
   2. 국면분류와 주기 = 501
   3. 경기변동의 특성 = 505
   4.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 508
  17.2 케인즈학파적 경기변동이론 = 511
   1. 승수-가속도이론 = 511
   2. 새케인즈학파의 관점 = 515
  17.3 고전학파적 경기변동이론 = 517
   1.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517
   2.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518
 제18장 경제성장
  18.1 경제성장의 전형적 현상과 이론의 발전 = 525
   1. 경제성장의 전형적 현상 = 525
   2. 경제성장이론의 발전 = 527
  18.2 생산함수와 기술진보 = 531
   1. 집약형 생산함수 = 529
   2. 기술진보 = 531
   3. 기술진보의 성장기여도 = 534
  18.3 솔로우의 성장모형 = 536
   1. 기본가정 = 536
   2. 경제성장의 기본방정식 = 539
   3. 균제성장경로 = 540
   4. 규제성장경로의 변화 = 544
   5. 자본축적의 황금률 = 550
   6. 경제성장의 수렴가설 = 554
  18.4 솔로우 성장모형에 대한 평가 = 556
   1. 총수요의 문제 = 556
   2. 기술진보의 외생성문제 = 557
  [보론] 1. 해로드-도마의 성장이론 = 560
  [보론] 2. 내생적 성장이론 = 569
색인 = 58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