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5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 7
제1장 내각총리대신이 되기 위한 수련(修練)과정과 주안점 /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중의원의원, 전 내각총리대신] = 15
1. 내각총리대신이 되기 위한 수련과정 = 15
2. 내각(內閣)의 조정력과 그 착안점 = 19
3. 의사결정자를 보좌하는 부하와 정보원(情報源) = 23
4. 총리를 찾아오는 사람들 = 26
5. 정상회담은 정치가의 올림픽 = 28
6. 행정개혁의 공정관리표(工程管理表) = 31
7. 교수·학생과의 대화 = 33
제2장 보수본류(保守本流) 정치가의 자부심 / 다카토리 오사무(高鳥修)[중의원의원, 전 중의원예산위원회 위원장·행정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 47
1. 대학졸업 후 읍장선거에 출마 = 47
2. 정치가가 되는 데는 운(運)도 필요하다 = 50
3. 국회의원의 소속 파벌 선택의 실제 = 52
4. 자민당의 다나카 파 = 54
5. 정치가로서 그리고 장관으로서 = 57
6. 중의원예산위원장의 직책 = 60
7. 의회의 위원회위원장에게 요구되는 것 = 62
8. 중앙부처의 재편 = 65
9. 정치가의 기본조건 = 67
10. 정계에서 본 학자와 매스컴의 세계 = 69
11. 교수와의 대화 = 71
12. 학생과의 대화 = 77
제3장 분권개혁을 가능하게 한 메카니즘 / 니시오 마사루(西尾勝)[국제기독교대학 교수, 도쿄대학 명예교수, 지방분권추진위원회 위원] = 85
1. 지방분권 개혁의 기획자 = 85
2. 지방분권추진위원회 위원이라는 자리 = 87
3. 심의회의 조직 = 89
4. 심의회 사무국과의 관계 = 91
5. 심의회의 의사결정의 순간 = 94
6. 기관위임사무 제도 폐지와 관련된 심의회의 작업현장 = 98
7. 심의추진의 전략과 전문가 청문의 목표 = 101
8. 관료 및 수상과의 관계 = 104
9. 정치의 힘 = 106
10. 학자 심의위원의 책임 = 108
11. 학생과의 대화 = 111
12. 교수와의 대화 = 115
제4장 국철개혁에 도전한 주임조사원의 주안점 / 다나카 가즈아키(田中一昭)[다쿠쇼쿠대학 교수, 전 행정개혁위원회 사무국장, 전 제2임시행정조사회 3공사 개혁담당 주임조사원] = 127
1. 제2임시행정조사회 주임조사원에서 행정개혁위원회 사무국장으로 = 127
2. 임시행정조사회 사무국 주임조사원으로서의 어프로치 = 130
3. 개혁을 뒷받침하는 정보원의 역할 = 134
4. 심의회의 회장 및 각 부회장의 입장 = 136
5. 심의회 지도자로서의 가토 히로시 씨 = 138
6. 국철개혁에서의 스미타 씨 = 140
7. 국철의 분할·민영화의 구현 = 144
8. 언론의 문제점 = 147
9. 개혁대상이 되는 주요 인물과 정치가와의 관계 = 149
10. 심의회 책임자는 왜 기업인인가 = 152
11. 교수·학생과의 대화 = 153
제5장 정원 삭감의 이론과 예산편성에 있어서의 정치·행정의 역할 / 야마구치 미쓰히데(山口光秀)[전 대장성 사무차관, 전 동경증권거래소 이사장] = 165
1. 총정원법의 기획·입안자 = 165
2. 예산편성 과정의 정치·행정 균형 = 170
3. 증세(增稅) 없는 재정재건 - 의료비 개혁의 순간 = 175
4. 일관성 있는 예산편성 = 178
5. 교수·학생과의 대화 = 181
제6장 의사결정자의 착안 / 마스지마 도시유키(曾島俊之)[전 총무청 사무차관, 주오대학 교수] = 193
1. 종합정책학과 포럼에서 의도한 것 = 193
2. 의사결정의 기능과 영향 = 198
3. 의사결정자의 공통적인 착안 = 198
1) 바람직한 정·관 관계 및 정치가의 역할과 행정관의 역할 = 198
2) 비공식 정보수집의 중요성 = 200
3) 리더십 발휘의 방법 = 201
4) 의사결정자가 고려해야 할 절차의 중요성 = 202
5) 정치가·심의회 위원·행정관의 책임 = 204
6) 설득과 납득의 구조 = 206
7) 학문 본연의 자세에 대한 문제제기 = 209
4. 의사결정자의 발상·발언 = 210
1) 일반행정가와 전문가의 관계 = 210
2) 예산편성의 의사결정 과정 및 예산 당국의 역할 = 213
3) 행정개혁 수단으로서의 정원삭감의 특성과 문제점 = 215
4) 기타 = 219
5. 맺음말 = 220
제7장 의사결정기법의 다양성 - 정책과학의 관점 / 고바야시 히데노리(小林秀德)[주오대학 교수] = 223
1. 의사결정의 모형 = 225
2. 모형분석 = 226
3. 표본의 적합성 = 228
4. 적합성의 검증 = 230
1)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경우 = 230
2) 다카토리 오사무의 경우 = 234
3) 니시오 마사루의 경우 = 240
4) 다나카 아즈아키의 경우 = 243
5) 야마구치 미쓰히데의 경우 = 248
5. 의사결정자에게 듣는다 = 251
자료편
자료 1 : 주오대학 대학원 종합정책연구과「2000년도 종합정책포럼Ⅰ - 의사결정자에게 듣는다」의 개요 = 252
자료 2 :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내각 관련 연표(1980∼94) = 254
자료 3 : 지방분권 개혁 활동 = 257
자료 4 : 일본국유철도 개혁의 개요(신구대비표) = 259
자료 5 : 국철로부터 JR로(경과개요) = 260
자료 6 : 정원관리관련자료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