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詩學

詩學 (55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Aristoteles, B.C. 384-B.C. 322, 저 Horatius, 저 Plato, 저 Longinus, 저 천병희, 역
서명 / 저자사항
詩學 / 아리스토텔레스 외 지음 ; 천병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문예출판사,   2002   (2011)  
형태사항
408 p. ; 24 cm
ISBN
8931004028
일반주기
아리스토텔레스 詩學은 Ingram Bywater(1840-1914)가 교정한 "Aristoteles, Peri poietikes (Oxford, 1958)"를, 호라티우스 시학은 A. Kiessling과 R. Heinze의 "Q. Horatii Flacci Epistula ad Pisones (Berlin, 1961)"를, 그리고 플라톤 시론은 James Adam의 "The republic of Plato (Cambridge, 1963)"을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는 D.A.Russell의 Longinus,"On the Sublime(Oxford, 1964)"을 각각 번역대본으로 함  
내용주기
詩學 / 아리스토텔레스 -- 詩學 / 호라티우스 -- 詩論 / 플라톤 -- 숭고에 관하여 / 롱기누스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7-398)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oetry --Early works to 1800 Aesthetics --Early works to 1800 Rhetoric, Ancient Political science --Early works to 1800 Utopias --Early works to 1800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819437
005 20230424140126
007 ta
008 030624s2002 ulk b 001c kor
020 ▼a 8931004028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11010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h grc
082 0 4 ▼a 808.1 ▼2 23
085 ▼a 808.1 ▼2 DDCK
090 ▼a 808.1 ▼b 2002d
245 0 0 ▼a 詩學 / ▼d 아리스토텔레스 외 지음 ; ▼e 천병희 옮김
260 ▼a 서울 : ▼b 문예출판사, ▼c 2002 ▼g (2011)
300 ▼a 408 p. ; ▼c 24 cm
500 ▼a 아리스토텔레스 詩學은 Ingram Bywater(1840-1914)가 교정한 "Aristoteles, Peri poietikes (Oxford, 1958)"를, 호라티우스 시학은 A. Kiessling과 R. Heinze의 "Q. Horatii Flacci Epistula ad Pisones (Berlin, 1961)"를, 그리고 플라톤 시론은 James Adam의 "The republic of Plato (Cambridge, 1963)"을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는 D.A.Russell의 Longinus,"On the Sublime(Oxford, 1964)"을 각각 번역대본으로 함
504 ▼a 참고문헌(p. 397-398)과 색인수록
505 0 0 ▼t 詩學 / ▼d 아리스토텔레스 -- ▼t 詩學 / ▼d 호라티우스 -- ▼t 詩論 / ▼d 플라톤 -- ▼t 숭고에 관하여 / ▼d 롱기누스
546 ▼a 그리스어로 된 원저작이 영어로 번역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650 0 ▼a Poetry ▼x Early works to 1800
650 0 ▼a Aesthetics ▼x Early works to 1800
650 0 ▼a Rhetoric, Ancient
650 0 ▼a Political science ▼x Early works to 1800
650 0 ▼a Utopias ▼x Early works to 1800
700 0 ▼a Aristoteles, ▼d B.C. 384-B.C. 322, ▼e▼0 AUTH(211009)136239
700 0 ▼a Horatius, ▼e▼0 AUTH(211009)120603
700 0 ▼a Plato, ▼e▼0 AUTH(211009)130242
700 0 ▼a Longinus, ▼e
700 1 ▼a 천병희, ▼e▼0 AUTH(211009)126479
740 2 ▼a Peri poietikes
740 2 ▼a Q. Horatii Flacci Epistula ad Pisones
740 2 ▼a Republic of Plato
740 2 ▼a On the sublime
900 0 0 ▼a 아리스토텔레스, ▼e
900 0 0 ▼a 호라티우스, ▼e
900 0 0 ▼a 플라톤, ▼e
900 0 0 ▼a 롱기누스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2427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06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410296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410296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210754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5210022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210754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2427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146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146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146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512804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512949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2427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066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410296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410296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210754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5210022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210754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2427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146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146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113146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512804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8.1 2002d 등록번호 1512949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외에 호라티우스의 '시학'과 플라톤의 '시론', 그리고 국내 최초로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를 원전으로 번역하여 함께 엮었다.

3대 문예비평서로 평가받는 '숭고에 관하여'는 중세의 필사본도 3분의 1이 없어진 채 불완전하게 전해져왔다. 하지만 전체적인 구도를 아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다고. 전 44장 가운데 7장까지가 서론이며 8장이 이 비평서의 핵심이다.

롱기누스는 숭고의 다섯 가지 원천으로 위대한 사상, 감정, 문채, 표현법, 조사를 들었으며, 9장에서 43장 까지는 이를 부연, 상술하고 있다. 마지막 44장은 문학의 쇠퇴 원인에 대한 여담이며, 전해 지지 않은 종결부에는 감정에 관한 설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아리스토텔레스(지은이)

BC 384년 그리스 북동부에 위치한 작은 도시국가 스타게이라에서 태어났다. BC 367년, 17세 때 그리스 문화의 중심지 아테네로 건너와 플라톤 문하에 들어간다. 20년 동안, 이른바 ‘제1차 아테네 체류 시기’에 그는 오늘날 우리가 플라톤의 대화편들에 묻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 문제들을 익혀 나갔다. BC 347년 플라톤이 세상을 뜨자 플라톤의 조카이자 상속인이었던 스페우시포스가 아카데미의 수장이 된다. 그러자 아리스토텔레스는 37세의 나이로 아테네를 떠난다. 이후 12년 동안의 ‘편력 시기’를 그는 아카데미에서 동문수학하던 친구들을 찾아다니며 지냈다. 그가 맨 처음 찾아갔던 사람은 소아시아 아소스의 군주였던 헤르미아스였다. 그의 환대 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과 학문 연구에 전념할 수 있었다. BC 345년 헤르미아스가 죽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레스보스섬의 미틸레네로 옮겨 간다. 2년 뒤 그는 필리포스 왕의 부름을 받아 당시 13세이던 알렉산드로스에게 가르침을 베푼다. 마케도니아에 대한 아테네의 저항운동이 테베의 함락(BC 335년)으로 무산된 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천명의 나이가 되어서야 학창 시절의 아테네로 돌아온다. 그의 ‘제2차 아테네 체류 시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후 12년 동안 리케이온에서 일한다. BC 323년 알렉산드로스가 죽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시 아테네를 떠난다. 그는 일찍이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독배를 들게 만들었던, 신을 믿지 않는다는 혐의로 고발되어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를 떠나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아테네 사람들이 철학에 대해 두 번씩이나 죄를 짓지 않게 하겠다.” 소크라테스의 운명을 넌지시 내비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머니의 고택이 있는 에우보이아섬의 칼키스로 낙향한다. 그 얼마 후, BC 322년 10월 이름 모를 병을 앓다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뜬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내 피티아스 옆에 안장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플라톤(지은이)

Platon 기원전 427~347 B.C 플라톤은 기원전 427년경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부터 정계의 유망주로 기대받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다. 플라톤은 유명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시작된 지 4년째 되는 해에 태어났으며, 전쟁은 기원전 404년에 아테네의 패배로 끝났으므로 전쟁 속에서 태어나 전쟁 속에서 성장하여 성인이 된다. 그는 맹목적인 삶보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이 중요하다는 것을 소크라테스를 통해 배웠다. 플라톤의 집안은 비교적 상류계급이었고 그러한 배경을 가진 젊은이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그 또한 한때 정치에 뜻을 두었지만, 그가 믿고 따르던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정치적인 배경이 있음을 확인한 후 정치에 회의를 느껴 철학에 매진하게 된다. 그는 정치적인 이유로 자주 외국 여행길에 올랐으며 교육에 대한 열의가 매우 높아 소크라테스 사후 많은 우여곡절 끝에 기원전 387년경 아테네 근교에 철학 중심의 종합대학인 아카데메이아라는 학원을 창설하였다. 그곳을 통해 뛰어난 수학자와 높은 교양을 갖춘 정치적 인재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많은 철학자를 양성하며 집필활동에 전념한다. 소크라테스는 아무런 글도 남기지 않았지만, 그가 죽은 후 제자인 플라톤의 작품을 통해 그의 철학적 삶이 알려지게 되었다. 플라톤의 저서 30여 편 가운데 한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대화 형식을 취하고 있어 ‘대화편’이라고 불린다. 《국가》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파이돈》 《크리톤》 《프로타고라스》 등에서 주인공으로 모두 소크라테스를 내세우고 있다. 이로써 많은 저서는 스승인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들로 스승의 영향이 플라톤의 사상적 근간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플라톤의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란 불가능하다. 고대의 사상가들이 그러하듯, 플라톤 역시 현대의 분과학문 체계로는 불가능할 법한 종합적 사상을 개진하였다. 그는 인식론적 측면에서 이데아를 제창함으로써 본질과 현상이라는 이분법적 사유를 발전시켰다. 《국가》는 플라톤의 정치관을 대변하는 저술로, 이 저서에서 플라톤은 민주적인 정치 체제보다는 지적 소양이 풍부한 귀족들에 의한 통치를 선호했다. 철인 군주론은 플라톤의 정치관을 잘 드러내는 개념이다. 그는 종종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교되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다분히 현상 지향적이었다면 플라톤의 사상은 이상적이고 관념 위주였다는 평을 받는다.

디오니시우스 롱기누스(지은이)

<시학>

천병희(옮긴이)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단국대학교 인문학부 명예교수로,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했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들』, 아폴로도로스의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메난드로스 희극』, 『그리스 로마 에세이』,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크세노폰의 『페르시아 원정기』, 플라톤전집,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시학』 등 다수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그리스 비극의 이해』 등이 있다. 2022년 12월 향년 8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아리스토텔레스/詩學
호라티우스/詩學 = 1
플라톤/詩論 = 209
롱기누스/숭고에 관하여 = 255


관련분야 신착자료

박도형 (2022)
Dillon, Brian (2023)
Saki (2022)
Char, René (2023)
김은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