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8n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00817977 | |
005 | 20100805105527 | |
007 | ta | |
008 | 030612s2002 ulka 000a kor | |
020 | ▼a 8995303255 ▼g 03300 : ▼c \95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21074798 ▼f 과학 ▼l 121074799 ▼f 과학 |
082 | 0 4 | ▼a 781.63092 ▼2 21 |
090 | ▼a 781.63092 ▼b 2002 | |
100 | 1 | ▼a 지승호 |
245 | 1 0 | ▼a 크라잉 넛 : ▼b 그들이 대신 울부 짖다 = ▼x Crying Nut / ▼d 지승호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아웃사이더 , ▼c 2002. | |
300 | ▼a 237 p. : ▼b 삽도 ; ▼c 21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81.63092 2002 | Accession No. 1210747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63092 2002 | Accession No. 1511434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63092 2002 | Accession No. 1511434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81.63092 2002 | Accession No. 1210747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63092 2002 | Accession No. 1511434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63092 2002 | Accession No. 1511434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아웃사이더 출판사의 첫번째 단행본. 서로 다른 이들의 생각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자는 모토로 재치있는 밴드 '크라잉 넛'을 소개했다. 이들을 소개함으로써 진보적 지식인과 대중문화인의 교류에 일조하고자 한다.
230매 분량의 인터뷰는 '크라잉 넛'의 자유분방하고 유쾌한 모습을 보여준다. 산만하기 이를 데 없는 이들을 인터뷰하느라 지승호씨가 애 깨나 먹었을 것 같다. 따로 인터뷰한 이상면 편은 꽤 진지한 편. 크라잉 넛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에 알맞은 2편의 인터뷰다.
이어서 크라잉 넛을 옆에서 지켜본 친구, 평론가, 밴드, 부모님의 이야기를 수록했다. 마지막 부분은 크라잉 넛의 음악과 그들의 공연에 대한 분석글이다. 음악평론가 임진모는 "한참 좋아할 때는 사람들은 그게 '뉴 뮤직'인 줄을 모른다"면서 "크라잉 넛은 음악으로 말했고 시대를 말했다"고 평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별아(지은이)
1969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연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실천문학》에「닫힌 문 밖의 바람소리」를 발표하며 등단했고, 2005년 장편소설『미실』로 제1회 세계문학상을 수상했다. 데뷔 초기 사회 변화와 함께 불어닥친 혼란을 개인적 감성으로 써 내려간『내 마음의 포르노그라피』『개인적 체험』을 발표했고, 소재의 다각화에 몰두한『축구전쟁』으로 호평을 받았다. 그 후 장편소설『영영이별 영이별』『논개』『열애』『가미가제 독고다이』『백범, 거대한 슬픔』등을 발표하고 ‘조선 여성 3부작’으로『채홍(彩虹: 무지개)』『불의 꽃』『어우동, 사랑으로 죽다』를 펴내는 등 역사 속 인물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으며, 원작을 복원한 ‘무삭제 개정판’『미실』, 한국 최초의 여성 근대 소설가를 다룬『탄실』, 조선 뒷골목의 살인 사건에 세밀한 상상을 더한『구월의 살인』을 발표했다. 이외에 소설집『꿈의 부족』, 산문집『톨스토이처럼 죽고 싶다』『우리가 사랑하는 이상한 사람들』(『가족 판타지』개정판)『모욕의 매뉴얼을 준비하다』『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아』『삶은 홀수다』『이 또한 지나가리라』『괜찮다, 우리는 꽃필 수 있다』『스무 살 아들에게』『도시를 걷는 시간』『빛나는 말 가만한 생각』등을 출간했다. 2016년 의암주논개상, 2018년 허균문학작가상을 수상했다.
성기완(지은이)
1967년 서울 출생. 시인, 뮤지션, 밴드 ‘아싸AASSA(Afro Asian SSound Act)’ 리더. 서울대 불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4년 『세계의 문학』 가을 호에 시를 발표하면서 시단에 나왔으며 『쇼핑 갔다 오십니까?』(1998), 『유리 이야기』(2003), 『당신의 텍스트』(2008), 『ㄹ』(2012) 등 4권의 시집을 냈다. 2015년 제1회 김현문학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1999년 인디밴드 ‘3호선 버터플라이’를 결성하여 4장의 정규앨범과 1장의 EP를 발매했다. 4집 『Dreamtalk』로 2013년 대중음악상 올해의 음반, 올해의 노래, 올해의 모던록 앨범 등 3개 부문을 수상했다. 솔로 앨범으로 『나무가 되는 법』(1999), 『당신의 노래』(2008), 『ㄹ』(2012)이 있다. 2005년부터 4년간 EBS FM에서 〈세계음악기행〉을 진행했다. 2008년 서아프리카 말리를 방문하여 아프리카 음악을 연구했고 그 기행문을 계간지 『자음과 모음』에 연재했다. 산문집 『장밋빛 도살장 풍경』(2002), 『홍대 앞 새벽 세시』(2008), 『모듈』(2012) 등을 출간했고, 엘비스 프레슬리와 마일스 데이비스의 전기를 번역했다. 2016년에 ‘3호선 버터플라이’를 탈퇴하여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음악을 아우르는 융합 펑키 그루브 밴드 ‘아싸AASSA(Afro Asian SSound Act)’를 결성, 활동 중이다. 또한 소리보관 프로젝트인 ‘서울 사운드 아카이브 프로젝트(SSAP)’를 이끌고 있으며 계원예술대 융합예술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임진모(지은이)
대중음악 평론가. 팝 칼럼니스트로 중학교 때 라디오의 음악에 이끌려 음악평론을 꿈꿨다. 대학졸업 후 6년 7개월 기자생활을 했으며 1991년부터 음악 관련 글말 활동을 하고 있다. 웹진 이즘(www.izm.co.kr)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간 <팝 리얼리즘 팝 아티스트>, <세계를 흔든 대중음악의 명반>, <우리 대중음악의 큰 별들>, <팝, 경제를 노래하다>, <한국인의 팝송 100> 등의 책을 펴냈다. 유튜브 채널 ‘음악아저씨 임진모’를 운영중이다.
변희재(지은이)
인터넷 미디어비평지 ‘미디어워치’의 대주주, 대표고문으로, 현재 유튜브채널 ‘미디어워치TV’ 시사논평 프로그램인 ‘변희재의 시사폭격’을 진행하고 있으며, 70년대생 좌우 대표 활동가인 최대집 전 의사협회장,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 김용민 평화나무 이사장과 함께 태극기-촛불 연합 ‘조작수사 검사 윤석열 퇴진’ 집회를 이어오고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재학 중인 1999년도부터 웹진 대자보 창간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에 정치평론지 인물과사상, 웹진 서프라이즈 등의 필진으로 활약했다. 만 29살에 최연소 KBS시청자위원을 거쳤고 한겨레신문, 스포츠서울,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객원논설위원으로 고정칼럼을 기고했으며 인터넷신문 빅뉴스 대표, 커뮤니티 수컷닷컴 대표 등을 역임하면서 뉴미디어 전문가로 널리 인정받았다. 2009년에 당시 주간지 ‘미디어워치’를 창간, 특히 보수 관점에서 언론의 각종 왜곡보도 문제를 짚어왔다. 2013년에는 산하기관 ‘연구진실성검증센터’를 세우고 학계 언론계 정관계 고위층의 논문표절 실태를 고발하며 큰 사회적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2018년에는 산하기관 ‘태블릿진상규명단’을 통해 검찰과 JTBC 에 의해 자행된 헌정 문란 증거조작 사건을 파헤쳐오고 있다.
이석문(지은이)
클럽 드럭 레이블 대표.
김인수(지은이)
크라잉 넛 멤버, 아코디언 주자이다.
이길원(지은이)
크라잉 넛 멤버인 이상면, 이상혁의 아버지. 영남대학교 객원교수로 있다.
홍수현(지은이)
음악전문채널 m.net PD. <Prime Concert>, <Time to Rock>을 연출했다.
카오루(지은이)
웹진 '딴지일보' 음악담당 기자.
지승호(지은이)
열심히 읽고 성의껏 듣는 것 외에는 별다른 재주가 없어 전업 인터뷰어로 살고자 하나 현실의 벽은 높기만 하다. 20년 넘게 꾸준함 하나로 버티며 60권의 인터뷰 단행본을 냈다. 《홍혜걸을 말한다》 《정유정, 이야기를 이야기하다》 《바이러스가 지나간 자리》 《공범들의 도시》(표창원) 《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당당한 인문학》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강신주) 《닥치고 정치》(김어준) 《신해철의 쾌변독설》 《괜찮다, 다 괜찮다》(공지영) 외 다수의 책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내며 : 엉뚱함, 자유로움 그리고 아웃사이더 / 임성환 = 5 누드인터뷰 : 웃기지도 않은 이야기 에이, 씨바 한번 내보자 / 지승호 = 22 우리 맘대로 사는 거지 / 지승호 = 80 노래가사 게릴라성 집중호우 = 102 성냥팔이 소녀 = 104 신기한 노래 = 106 말 달리자 = 108 군바리 230 = 110 갈매기 = 112 도대체 넌 뭐냐? 크라잉 넛, 주름잡다 / 성기완 = 116 크라잉 넛과의 7년 / 이석문 = 126 9회말 2사 3루, 원 스크라이크 투볼 / 김인수 = 138 모범생이 되길 거부한 악동들 / 이길원 = 148 미친 놈들, 놀고 있네! / 홍수현 = 155 껄렁껄렁하지만 굉장히 지적인 친구들이에요! / 윤도현 = 160 22세기에도 빛나는 그 무엇? / 박태희 = 162 탈영하지 마! / 임준규 = 163 노래가사 밤이 깊었네 = 170 배짱이 = 172 서커스 매직 유랑단 = 174 더러운 도시 = 176 코미디의 왕 = 178 다 죽자 = 179 엿장수 맘대로 크라잉 넛, 음악으로 말했고, 시대를 말했다 / 임진모 = 183 펑크 정신으로 유통시장을 개척하라 / 변희재 = 196 청춘송가, 그들이 대신 울며 부르다 / 김별아 = 205 오해와 곡해, 그리고 편견으로 무장한 크라잉 넛 Q&A / 카오루 = 218 크라잉 넛 약력 =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