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1
1. 연구 목적 및 의의 = 11
2. 연구목적 = 14
3. 연구방법 = 16
제2장 여성과 언론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8
1. 한국언론에서의 여성과 여성보도 = 18
1) 여성기자와 여성보도의 등장 = 18
2) 2002년 언론에서의 여성의 위상 = 22
3) 아시아의 선진 언론 : 필리핀 사례 = 30
2. 여성언론인과 젠더관점의 주류화 = 33
1) 제4차 북경여성대회의 '젠더주류화' 선언 그 이후 = 33
2) 여성언론인과 젠더주류화
3. 젠더화된 뉴스의 여성표상 = 40
1) 젠더화된 뉴스 스타일 = 40
2) 젠더화된 뉴스생산 - 젠더화된 현실 = 42
3) 한국 신문의 젠더화된 보도 = 49
4) 젠더화된 여성기사/여성면 = 54
5) 여성운동 혹은 페미니스트에 대한 젠더화된 보도 = 56
제3장 일간지 여성기사 분석결과 및 논의 = 65
1. 신문 분석 목적과 방법의 개요 = 65
1) 분석신문 = 66
2) 분석기간 = 66
3) 분석기사 = 67
4) 분석유목 = 67
5) 분석방법 = 67
2. 6개 일간지 1면의 젠더표상 분석 = 69
1) 기사의 형식 분포 = 70
2) 기사의 크기 = 70
3) 1면의 사진 = 71
4) 주제별 분포 및 페미니즘 연관성 = 73
5) 1면 기사의 소구 지역 = 73
6) 뉴스원의 특성 = 74
7) 정보원 = 76
8) 기사의 초점(focus) = 79
9) 1면 기자의 성별 및 소속 = 81
3. 일간지 전체 지면의 여성기사 분석 = 82
1) 월, 요일별 여성관련기사 게재 현황 = 82
2) 여성관련기사 게재 지면 = 84
3) 여성기사의 주요 보도 형식 = 100
4) 여성기사의 지면 위치 = 100
5) 기사면적 = 102
6) 사진 = 103
7) 헤드라인 쓰기 = 107
8) 여성기사의 주제분포 = 108
9) 친여성주의적 태도 = 113
10) 여성기사의 소구 지역 = 115
11) 여성 뉴스원의 분포 = 116
12) 여성기사의 정보원 = 123
13) 여성뉴스의 주요 초점 = 132
14) 해석의 프레임 = 135
15) 여성뉴스의 취재기자 = 137
15) 여성뉴스 취재 기자의 소속 = 138
16) 소결론 = 140
4. 일간지와 여성신문의 차이 분석 = 144
1) 여성기사의 지면 배정 = 144
2) 기사 크기 = 148
3) 기사형식 = 148
4) 사진 = 149
5) 기사 주제 분포 및 여성주의 태도 = 154
6) 여성기사 뉴스원의 특성 = 156
7) 여성기사 정보원 활용과 특성 161
8) 여성기사의 프레임 = 168
9) 여성기사 취재기자 = 171
5. 일간지 여성기사의 질적 분석 '생리대부가세면제' 이슈 비교분석 = 171
1) 여성계의 월경. 생리에 대한 문제제기 = 172
2) 생리대와 관련한 세 가지 초점 = 174
3) 신문사들의 생리대면세 문제에 대한 양적 보도 = 175
4) 신문의 생리대이슈 대한 보도 초점 및 태도 = 177
5) 결론 = 183
제4장 최근 주류 언론의 여성보도 = 186
1. 90년대 이후 언론의 시장지향적 변화 = 186
2. 주류 언론의 상업적 여성주의 = 191
3. 여성언론인의 증가는 젠더주류화에 기여한다는 = 199
4. 여성주의 매체의 확산 = 204
1) 여성신문 = 206
2) 우먼타임즈(Women Times) = 209
3) 페미니스트 저널 iF = 210
4) 온라인 여성주의 저널리즘/웹진 = 212
5) 대학가의 영페미니스트 매체 = 215
6) 지역 여성언론 = 217
제5장 여성보도와 주류화를 위한 방안 = 220
1. 주류 언론의 여성주의 실천방안 = 220
1) 여성언론인의 증가와 여성보도 정상화의 함수관계 = 220
2) 여성언론인의 주류화 = 224
3) 여성담당 기자의 주류화 및 취재지원 = 229
4) 여성면/여성담당기자의 부서 배치 = 232
5) 여성섹션 혹은 여성면의 적극적 배정 = 236
6) 여성면/여성섹션의 여성주의 페러다임 강화 = 240
7) 젠더화된 뉴스가치 기준의 해체 = 242
8) 여성주의를 잠식하는 언론의 상업주의 논리 = 246
9) 기획기사를 수반한 연동전략 = 249
10) 여성기사 취재원/정보원의 다양화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강화 = 251
11) 주류언론과 여성단체의 새로운 관계 정립 = 256
12) 여성단체와 여성주의 대안매체의 동반관계 강화 = 259
13) 여성주의 대안매체의 양성 = 262
2. 여성주류화를 위한 모니터링 및 적극적 행동의 강화 = 265
1) 캐나다 : MediaWatch(http://www.mediawatch.ca) = 266
2) 탄자니아 : Tanzania Media Women's Association = 267
3) 자메이카 : Women's Media Watch = 267
4) 인도 : Centre for Advocacy and Research = 268
5) 남아프리카 공화국 : Women's Media Watch = 269
6) 호주 : National Women's Media Centre = 270
7) 크로아티아 : B.a.B.e = 271
8) 한국 : 전국규모의 미디어감시단체 부재 = 271
참고문헌 = 274
부록 1 : 6개 일간지 분석 여성기사 헤드라인 = 279
부록 2 : 여성신문 분석기사 헤드라인 = 290
부록 3 : 일간지 여성신문 내용분석 코딩표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