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인간과 언어 = 11
1. 언어의 기원 = 13
2. 언어의 정의 = 14
3. 언어의 특징 = 16
3.1 이원성 = 17
3.2 창의성 = 17
3.3 자의성 = 19
3.4 전치성 = 19
3.5 교환성 = 20
3.6 비전승성 = 20
4. 언어와 문법 = 21
4.1 규범 문법 = 21
4.2 기술 문법 = 23
5. 요약 = 24
제2장 영어 발달사 = 27
1. 고대 영어 이전 = 28
1.1 인도유럽어족 = 28
1.2 게르만어의 특징 = 29
1.3 Grimm의 법칙 = 30
2. 고대 영어 시기(449-110) = 32
2.1 앵글로 색슨족과 스칸디나비아족의 침입 = 32
2.2 고대 영어의 특징 = 33
3. 중세 영어 시기(1100-1500) = 39
3.1 노르만 정복 = 39
3.2 중세 영어의 특징 : 굴절의 소실 = 39
3.3 영어의 재건 = 44
4. 초기 현대 영어 시기(1500-1800) = 45
4.1 정치적 격동기, 식민지 개척기, 종교 개혁, 문예 부흥 = 45
4.2 초기 현대 영어의 특징 : 영어의 표준화 = 46
5. 현대 영어 시기(1800-현재) = 50
5.1 혁명, 전쟁, 제국주의의 시기 = 50
5.2 현대 영어의 특징 : 세계적 언어 = 51
6. 미국 영어 = 53
7. 요약 = 56
제3장 음성학 = 59
1. 조음 음성학 = 60
1.1 말소리 산출 과정 = 60
1.2 자음 = 61
1.3 모음 = 72
2. 음향 음성학 = 75
2.1 음파 = 75
2.2 영어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 = 77
3. 요약 = 80
제4장 음운론 = 83
1. 음소 = 84
1.1 최소대립쌍과 음소 = 84
1.2 이음 = 84
1.3 음소 분석 = 86
2. 음운 자질 = 88
2.1 주요 부류 자질 = 89
2.2 자음 자질 = 91
2.3 모음 자질 = 93
3. 음운 규칙 = 94
3.1 음운 규칙의 기호 = 94
3.2 동화 = 98
3.3 이화 = 100
3.4 자질추가 = 100
3.5 삭제 = 101
3.6 삽입 = 102
3.7 중화 = 102
3.8 위치 전환 = 103
4. 형태음소 규칙 = 103
5. 음절 = 108
6. 운율 음운론 = 110
6.1 억양 = 110
6.2 강세 = 112
7. 음성 음운론의 활용적 접근 = 114
7.1 음성 학습 = 114
7.2 컴퓨터의 음성 합성과 음성 인식 = 115
8. 요약 = 116
제5장 형태론 = 119
1. 형태론의 기본개념 = 119
1.1 형태소 = 120
1.2 자유 형태소 = 120
1.3 의존 형태소 = 120
1.4 어기, 어간, 어근 = 122
1.5 접사 = 123
1.6 이형태 = 126
1.7 대체이형태 = 128
2. 형태소 분석 = 129
2.1 형태소 분석의 주의사항 = 130
2.2 형태소 분석의 문제점 = 132
3. 단어의 형성 = 132
3.1 합성 = 133
3.2 기타 유형 = 136
4. 형태소 구조에 따른 언어유형 = 142
4.1 분석언어 = 143
4.2 종합언어 = 143
5. 요약 = 145
제6장 통사론 = 147
1. 통사론의 기본개념 = 148
1.1 구구조규칙 = 148
1.2 어휘부 = 151
1.3 변형규칙 = 152
2. 지배결속이론 = 156
2.1 핵계층이론 = 157
2.2 의미역이론 = 158
2.3 격이론 = 159
2.4 결속이론 = 161
2.5 경제이론 = 163
2.6 통제이론 = 164
2.7 지배이론 = 166
3. 장벽이론 = 169
3.1 핵계층이론 = 169
3.2 차단범주와 장벽 = 170
3.3 하위인접조건 = 172
3.4 최소성조건과 공범주원리 = 174
4. 최소주의 이론 = 176
4.1 최소주의의 문법체계 = 177
4.2 핵계층이론의 제거 = 178
4.3 경제성원리 = 179
4.4 점검이론 = 181
5. 요약 = 183
제7장 의미론 = 185
1. 어휘의 의미 = 187
1.1 의미 속성 = 188
1.2 어휘의 관계 = 189
2. 구와 문장의 의미 = 199
2.1 명사구의 여러 의미 = 200
2.2 지시와 의의 = 203
2.3 논항 구조와 의미역 = 206
2.4 문장의 의미 = 210
2.5 시제, 상, 양상 = 214
3. 담화의 의미 = 218
3.1 지시와 조응 = 220
3.2 전제 = 222
4. 요약 = 225
제8장 화용론 = 227
1. 대화 원칙 = 229
2. 함축과 함의 = 233
3. 화용적 전제 = 238
4. 직시 표현 = 240
5. 화행 = 241
6. 요약 = 245
제9장 사회 언어학 = 247
1. 사회 언어학의 기본개념과 연구분야 = 247
2. 기존의 언어학과 사회 언어학의 위치 = 249
3. 언어, 방언 그리고 언어공동체 = 251
4. 지리적 방언 = 252
5. 사회적 방언 = 255
5.1 사회 계급 방언 = 255
5.2 연령과 언어사용 = 261
5.3 성별에 따른 언어사용의 차이 = 264
5.4 인종과 언어사용 = 268
6. 발화 스타일 = 274
7. 호칭어와 언어사용 등급 = 277
8. 언어접촉과 언어정책 = 280
9. 요약 = 282
제10장 언어습득 = 287
1. 언어습득의 개념 = 287
2. 모국어 습득 = 288
2.1 언어습득 발달단계 = 290
2.2 모국어 습득의 이론과 실제 = 291
3. 제2 언어 및 외국어 습득 = 301
3.1 모국어 습득과 제2 언어습득의 차이 = 301
3.2 제2 언어습득의 세 가지 접근법 = 302
3.3 제2 언어습득의 특성 = 312
4. 요약 = 321
제11장 인지 언어학 = 323
1. 범주화 = 324
1.1 가족 유사성 = 325
1.2 퍼지성 = 327
1.3 좋은 보기와 나쁜 보기 = 328
1.4 Rosch의 원형 이론 = 328
1.5 인지 모형, 문화 모형, 민간 모형, 전문가 모형 = 330
1.6 범주의 확장 = 382
2. 은유화 환유 = 334
2.1 은유란? = 335
2.2 은유의 종류 = 335
2.3 환유란? = 338
2.4 환유의 종류 = 339
3. 지각의 원리 = 340
3.1 모습과 배경 = 340
3.2 해석 = 342
4. 문법화 = 348
4.1 개념 = 348
4.2 문법화 기제 = 350
4.3 문법화에 대한 그 밖의 가설 = 353
5. 도상성 = 360
5.1 도상성 원리 = 361
6. 코퍼스 언어학 = 364
6.1 코퍼스의 조건, 규모, 유형 = 366
6.2 코퍼스의 활용 = 366
7. 요약 = 369
찾아보기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