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정보사회론 = 13
제1장 문명의 발달과 정보화사회의 도래 = 15
1.1 문명의 발달과 사회변화 = 16
1.1.1 원시사회와 고대사회 = 16
1.1.2 중세사회 = 17
1.1.3 근세사회 = 18
1.1.4 근대사회 = 18
1.1.5 현대사회 = 19
1.1.6 미래사회 = 20
1.2 한·미·일 정보화 사회의 역사 = 21
1.2.1 서론 = 21
1.2.2 일본의 정보화 사회과정의 역사적 고찰 = 22
1.2.3 미국의 정보화사회 과정의 역사적 고찰 = 24
1.2.4 한국의 정보화 과정 = 26
제2장 정보사회의 본질 = 29
2.1 정보사회의 출현 = 30
2.2 농업·산업·정보혁명 = 30
2.3 정보사회의 개념 = 31
2.4 정보사회의 動因 = 34
2.5 정보사회의 특징 = 35
2.6 정보사회의 발전단계 = 37
2.6.1 반도체 기술의 발전 = 37
2.6.2 컴퓨터의 발전과정 = 38
2.7 정보사회에 대한 제 견해 = 41
제3장 정보사회의 환경변화와 역기능 = 43
3.1 정보사회의 환경변화 = 44
3.1.1 정보사회의 전망 = 44
3.1.2 정보사회와 인간 = 45
3.1.3 정보사회와 경제 = 46
3.1.4 정보사회와 정치·행정 = 47
3.1.5 정보사회와 사회 = 48
3.2 정보사회의 역기능 = 48
3.2.1 정보사회의 문제점 = 48
3.2.2 불법정보와 유해정보 = 49
제4장 정보의 개념과 가치 = 61
4.1 정보의 개념 = 62
4.2 유사개념과의 비교 = 63
4.2.1 정보와 첩보 = 63
4.2.2 자료와 정보와 지식과 지혜 = 63
4.2.3 정보의 특성 = 66
4.2.4 정보의 분류 = 70
4.2.5 정보의 가치 = 74
4.2.6 인간정보체계(HIS : Human Information System) = 79
제5장 정보화와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 = 85
5.1 사이버스페이스의 기원과 의의 = 86
5.2 사이버스페이스의 성격과 특성 = 88
5.3 지리적공간과 가상공간의 차이 = 89
5.4 사이버스페이스의 전자민주주의 = 90
제Ⅱ부 정보사회의 행정 = 93
제6장 전자정부의 구성 = 95
6.1 정보사회의 정부조직 = 96
6.2 전자정부 구성의 과정 = 96
6.3 행정개혁과 전자정부 = 98
6.3.1 전자정부의 의의 = 98
6.3.2 전자정부의 비전 = 100
6.3.3 전자정부의 구현을 위한 추진전략 = 101
6.4 전자정부의 구현요소 및 추진과제 = 102
6.5 Cyber Korea 21 = 104
제7장 정보화 정책 = 109
7.1 정보화 정책의 의의 = 110
7.2 정보화 정책의 내용과 단계 = 112
7.3 정보화 촉진정책 = 114
7.3.1 정보통신기반의 구축 = 114
7.3.2 규제완화와 경쟁의 촉진 = 115
7.3.3 정보공개의 촉진 = 115
7.3.4 지적재산권의 보호 = 116
7.3.5 정보화를 위한 사회환경의 개혁 = 116
7.4 정보화 규제정책 = 117
7.4.1 정보의 빈부격차 = 117
7.4.2 프라이버시 침해 = 117
7.4.3 컴퓨터범죄 예방 = 118
7.4.4 쓰레기정보 = 118
7.4.5 인간소외 현상 = 119
7.4.6 전자상거래 = 746
제8장 정보와 행정 = 121
8.1 정보사회와 행정변화의 영향요인 = 122
8.2 행정전산화의 필요성 = 123
8.2.1 정책과정의 합리화 = 123
8.2.2 행정서비스 질의 향상 = 125
8.2.3 행정업무의 개선 = 125
8.3 정보화가 행정에 미치는 영향 = 126
8.3.1 행정조직에 미치는 영향 = 127
8.3.2 행정업무에 미치는 영향 = 128
8.3.3 행정과 사회 환경에 미치는 영향 = 129
8.3.4 행정에 미치는 역기능적 영향 = 131
제9장 행정정보체계와 시스템이론 = 133
9.1 행정정보의 특징과 기능 = 134
9.2 행정정보체계의 특징 = 135
9.3 경영정보체계(MIS)와 행정정보체계(PMIS)의 차이 = 136
9.4 시스템이론 = 138
9.4.1 시스템 개념 = 138
9.4.2 시스템의 기본요소 = 139
9.4.3 시스템의 분류 = 139
9.4.4 시스템의 수준 = 141
9.4.5 시스템 스트레스 = 142
9.4.6 시스템의 결합과 관계구조 = 144
제10장 행정정보기획 = 147
10.1 행정정보기획의 개념 = 148
10.2 시스템 도입·운영기획 = 149
10.2.1 비용효과 분석단계 = 149
10.2.2 시스템조사 분석단계 = 149
10.2.3 시스템설계 = 150
10.2.4 시스템 개발단계 = 150
10.2.5 운영 및 유지보수단계 = 151
10.2.6 시스템 평가단계 = 151
10.3 정보관리 기획(수명주기 : 壽命週期) = 151
10.3.1 수명주기의 개념 = 151
10.3.2 수명주기의 단계 = 152
10.3.3 수명주기의 단계별 내용 = 153
10.4 시스템 전환기획 = 154
10.4.1 직접전환(direct conversion) = 154
10.4.2 병행전환(parallel conversion) = 155
10.4.3 단계적 전환(phased conversion) = 156
10.4.4 실험적 전환(experimental conversion) = 156
10.5 정보시스템 개발기획 = 157
10.5.1 수명주기법(SDLC) = 157
10.5.2 원형개발법 = 158
10.5.3 패키지소프트웨어 사용법 = 159
10.5.4 반복시스템 개발주기법(ISDC) = 160
10.5.5 사회기술적 시스템 접근법(STS) = 161
10.6 시스템 발전단계에 따른 제 기획 = 162
10.6.1 Nolan의 6단계 모형 = 162
10.6.2 Gaser, Torrance & Schwartz의 4단계 모형 : (GTS모형) = 163
10.6.3 Kaemer & King의 4단계 모형 = 163
제Ⅲ부 실리콘밸리 모델과 정보디자인 이론 = 165
제11장 멀티미디어와 실리콘밸리 = 167
11.1 멀티미디어의 개념 = 168
11.2 실리콘밸리와 '멀티미디어 붐' = 169
11.3 NII와 실리콘밸리 = 170
11.4 실리콘밸리와 벤처 비즈니스 = 171
11.5 멀티미디어 산업 = 173
제12장 정보디자인 이론 = 175
12.1 정보디자인의 개념 및 필요성 = 176
12.1.1 정보디자인의 개념 = 176
12.1.2 정보디자인의 필요성 = 177
12.2 정보디자인의 연구배경 및 동향 = 178
12.2.1 정보디자인의 연구배경 = 178
12.2.2 정보디자인의 외국연구 동향 = 180
12.3 정보디자인의 기초연구와 과제 = 181
12.4 웹사이트 정보디자인 이론 = 183
12.4.1 데이터(data) 디자인 = 183
12.4.2 상호작용(Interactive) 디자인 = 187
12.4.3 감각(Sensorial) 디자인 = 189
부록 : 주요국 전자정부 정책 비교평가 = 195
A.1 전자정부 구축의 국제비교 중요성 = 197
A.2 주요 외국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구축정책 = 199
A.2.1 미국 = 199
A.2.2 캐나다 = 208
A.2.3 영국 = 211
A.2.4 프랑스 = 217
A.2.5 독일 = 226
A.2.6 일본 = 228
A.2.7 싱가포르 = 235
A.2.8 말레이시아 = 240
A.2.9 호주 = 250
A.2.10 뉴질랜드 = 257
A.3 각국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구축정책 비교 평가 = 261
A3.1 각국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추진배경 = 261
참고문헌 =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