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 xi
제1장 이끄는 말 = 1
1.1 언어와 문화의 관계 = 1
1.2 이 책의 논술 범위 = 2
제2장 어휘의 어원과 변천으로 본 과거문화의 흔적 = 5
2.1 문화의 발전단계를 반영한 어휘 의미의 변천 = 5
2.2 외국어휘에서의 예 = 5
"pen" = 5
"wall" = 6
"window" = 7
"fee" = 8
"Lade" = 8
"dollar"와 "money" = 10
"style" = 11
"needle" = 12
"장갑" = 13
"부싯대" = 14
2.3 중국어휘에서의 예 = 15
"貝" = 15
"紙" = 16
"노" = 17
"安" = 18
"斬" = 18
"家" = 18
제3장 어휘창조의 심리적 관점에서 본 문화 수준 = 21
3.1 어휘창조의 심리적 과정과 민족의 문화 수준 = 21
3.2 중국 서남지역 소수민족의 예 = 21
3.3 북미 누트카(Nootka) 어에서의 예 = 27
3.4 목축에 관련된 현대영어 어휘 = 30
3.5 목축에 관련된 중국 고대어휘의 소멸 = 31
제4장 차용어로 본 문화의 접촉 = 35
4.1 차용어의 정의 = 35
4.2 중국의 차용어에 반영된 중·서 문화교류 = 36
"사자(獅子)" = 36
"사비(師比)" = 40
"벽유리(璧流離)" = 45
"포도(葡萄)" = 48
"목숙(목숙)" = 50
"빈랑(檳랑)" = 52
"자지무(자枝舞)" = 53
"참(站)" = 55
"팔가(八哥)" = 55
"몰약(沒藥)" = 56
"호로파(胡盧巴)" = 57
"조모록(祖母綠)" = 58
4.3 근대 중국어에서 보이는 차용어의 네 가지 방식 = 59
(1) 소리의 대체(Phonetic substitution) = 59
(2) 새로운 해성자(new phonetic-compound) = 61
(3) 차용번역어(loan-translation) = 63
(4) 묘사형(descriptive form) = 63
4.4 중국어에 빌려 준 어휘보다 빌려 온 어휘가 많은 네가지 원인 = 65
4.5 외국어에 남아 있는 중국어휘의 연구 = 68
4.6 차용어의 잘못된 환원 = 70
4.7 차용어 연구의 어려운 점 = 72
(1) 어음상의 타협 = 72
(2) 고대음과 현재음의 차이 = 76
(3) 방언의 분기 = 78
4.8 영어에 남아 있는 중국어휘 = 80
(1) "silk"와 "china"와 "tea" = 80
"silk(비단)" = 80
"china(도자기)" = 83
"tea(차)" = 86
(2) 식물에 관련된 어휘 = 90
(3) 상업과 해상활동에 관련된 어휘 = 92
(4) 관직제도와 풍속 습관에 관련된 어휘 = 94
4.9 언어 연구에서 차용어의 중요성 = 100
제5장 지명으로 본 민족이동의 경로 = 103
5.1 지명 연구에서의 역사·고고학자들의 공헌 = 103
5.2 켈트 어의 지명군 = 103
5.3 스칸디나비아 인들의 영국 이민 흔적 = 105
5.4 북미 인디언 어의 지명 = 107
5.5 중국 지명에 나타난 고대 민족교류의 흔적 = 107
(1) 여간현(驪간縣)·구자현(龜玆縣)·온숙국(溫宿國) = 107
(2) "지명을 옮겨 놓은[僑置]" 군·현과 민족의 이동 = 109
(3) 주앙[壯] 어 지명에 나타난 고금 민족분포의 차이 = 118
(4) 운남성과 미얀마 경계 지역의 몇몇 지명들 = 124
제6장 성씨와 별호로 본 민족의 내원과 종교 신앙 = 127
6.1 성씨에 반영된 민족의 내원 : 위지(尉遲)·백(白)·강(康)·미(米)·조(曹)·안(安)·용(容)·모(慕)씨 = 127
6.2 성씨와 별호에 반영된 종교 신앙 = 130
(1) 순수 이슬람 족 성씨와 준(準) 이슬람 족 성씨 = 130
(2) 이슬람 족 살(薩)·정(丁)·합(哈)·납(納)·새(賽)씨등의 연원 = 131
(3) 살보(薩保)와 조로아스터교 = 135
(4) 마합랍석(馬合拉昔)과 불교 = 137
(5) 원대의 활리길사(闊里吉思)·마조상(馬祖常)·조세연(趙世延) 등과 기독교 = 138
(6) 근대의 이름에 반영된 기독교적 색채 = 142
6.3 티베트-미얀마 족의 특징인 "부자연명제" = 143
(1) 부자연명제의 네 가지 방식 = 143
(2) 남즈(南詔)가 태국 민족이 아닌 증거 = 144
(3) 민쟈[民家] 족과 티베트-미얀마 족의 관계 = 149
제7장 친족 호칭으로 본 혼인제도 = 153
7.1 친족 호칭이 원시사회에서 가지는 중요성 = 153
7.2 헤이이[黑夷] 족의 친족 호칭에 반영된 "교차 사촌혼" 제도 = 154
7.3 "교차 사촌혼" 제도의 분포지역 = 156
(1) 산토우[山頭, Kachin]족, 차샨[茶山, A-chit] 족, 랑수[浪速, Maru], 량산(凉山) 루어루어 족들의 "교차 사촌혼" 제도 = 158
7.4 친족 호칭에 반영된 기타의 혼인제도 = 160
(1) 마자테코(Mazateco)족의 "같은 성씨라도 사촌만 아니면 결혼이 허용되는" 혼인제도 = 160
(2) 트로브리안드(Trobriand) 섬의 족외혼에 대한 제한 = 160
(3) 아프리카의 통가(Thonga)와 미워커(Miwok)의 혼인제도 = 162
7.5 친족 호칭제도에 근거한 혼인제도 연구에서 가져야 할 태도 = 163
제8장 맺음말 = 169
8.1 언어는 사회의 진전을 따라 변화한다 = 169
8.2 언어학의 유기적 관계 = 171
8.3 언어학에서의 고생물학적 분석법 = 172
8.4 문화의 변천이 발음과 언어형식에 미치는 영향 = 176
8.5 중국 언어학의 새로운 방향 = 180
(1) 전통적 훈고학을 묵수한 의미연구는 안 된다 = 181
(2) 어휘를 수집하고 어법체계를 새로이 만든 현대방언연구가 되어야 한다 = 182
(3) 중국 내 소수민족 언어연구의 중요성 = 185
부록 1. 티베트-미얀마 족의 부자연명제 = 193
Ⅰ. 미얀마계 = 199
(1) 미얀마[Burma]인 = 199
(2) 챠산[茶山, A-chit]인 = 200
Ⅱ. 서번(西番)계 = 202
(1) 모시에[마些, Moso] 혹은 나시[那喜, Na-khi]족 = 202
Ⅲ. 루어루어[라라]계 = 207
(1) 루어루어[Lolo]족 = 207
(2) 워니[窩尼, Wo-ni]족 = 213
(3) 아카[阿관, A-ka]족 = 214
Ⅳ. 첨부 : 오건(吳乾)이 기록한 "부자연명제" 관련 자료2종 = 229
(1) 「선사양승묘지병명(善士楊勝墓志幷銘)」 = 229
(2) 「태화용관조씨족보서(太和龍關趙氏族譜序)」 = 234
부록 2. 챠산 가[茶山歌] = 239
부록 3. 객가족의 이동 흔적으로부터 객감(客감)방언의 관계를 논함 = 253
Ⅰ. 객가어와 강서어의 유사점 = 253
Ⅱ. 객가족 이동의 원인 = 255
Ⅲ. 세 번에 걸친 객가족의 이동과 강서성의 관계 = 257
Ⅳ. 결론 = 269
부록 4. 운남에서의 언어학 = 271
Ⅰ. 한어 연구 = 272
(1) 「곤명 말과 표준어의 차이[昆明話和國語的異同]」 = 273
(2) 「보산 말의 어음 기록[保山話記音]」 = 273
(3) 「이해 연안의 4개 현의 방언 조사[이海沿岸四縣方言調査]」 = 274
(4) 「몽자 지역의 동음 어휘[蒙自同音字彙]」 = 274
(5) 「운남성 전체의 방언 조사[雲南全省方言調査]」 = 274
Ⅱ. 타이[台] 어 연구 = 276
(1) 「정동 바이이 어의 연구[整董擺夷語硏究]」 = 276
(2) 「박애 토착어의 조사[剝隘土語照査]」 = 277
(3) 「영강 바이이 어의 어휘[盈江擺夷語詞彙]」 = 277
(4) 「연산 바이이 어문 초탐[蓮山擺夷語文初探]」 = 277
(5) 「운남 나평현 지역 내의 타이 어[雲南羅平境內台語]」 = 278
(6) 「막사 토착어 조사[漠沙土語調査]」= 279
(7) 「원강 수이 바이이 어 조사[元江水擺夷語調査]」 = 279
Ⅲ. 티베트-미얀마 어군 연구 = 279
(1) 「몽자 부근의 루어루어 어 연구[蒙自附近的-種라라語硏究]」 = 279
(2) 「리포 어 연구[利波語硏究]」 = 280
(3) 「곤명 부근의 일종의 산민 어[昆明附近的一種散民語]」 = 280
(4) 「사니 루어 어 어법[撒尼라語語法] 」 = 280
(5) 「심전·녹권 두 현의 헤이이 어문 조사[尋甸祿勸兩縣黑夷語文調査]」 = 281
(6) 「곤명 헤이이 어 연구[昆明黑夷語硏究]」 = 282
(7) 「신평 양무패 나수 어 조사[新平揚武패納蘇語調査]」 = 282
(8) 「신평 양무패 부근의 워니 어[新平揚武패附近的窩尼語]」 = 283
(9) 「아산 워니 어 초탐[峨山窩尼語初探]」 = 283
(10) 「리수 어음의 기록과 수위 리수 문자에 대한 논의[記栗粟語音兼論所謂栗栗文]」 = 284
(11) 「복공 리수 어 초탐[福貢栗粟語初探]」 = 285
(12) 「여강 모시에 어 조사[麗江마些語調査] 」 285
(13) 「유서 모시에 어 연구[維西마些語硏究]」 = 285
(14) 「공산 치우 어의 초보적 채록[貢山구語初探]」 = 286
(15) 「공산 누 어 어휘[貢山怒語詞彙]」 = 286
(16) 「챠산 어 조사[茶山語調査]」 = 287
(17) 「랑수 어 조사[浪速語調査]」 = 287
(18) 「산토우 어 조사[山頭語調査]」 = 287
Ⅳ. 민쟈 어 연구 = 288
(1) 「난평 라마 어 조사[蘭坪拉馬語調査]」 = 288
(2) 「대리 민쟈 어 조사[大理民家語調査]」 = 289
(3) 「빈천 민쟈 어 조사[賓川民家語調査]」 = 290
(4) 「등천 민쟈 어 조사[鄧川民家語調査]」 = 290
(5) 「이원 민쟈 어 조사[이源民家語調査]」 = 290
(6) 「학경 민쟈 어 조사[鶴慶民家語調査]」 = 290
(7) 「검천 민쟈 어 조사[劍川民家語調査]」 = 291
(8) 「검천 민쟈 고사 어음 기록[劍川民家故事記音]」 = 291
(9) 「운룡 민쟈 어 조사[雲龍民家語調査] = 291
(10) 「여수 민쟈 어 조사[濾水民家語調査]」 = 292
Ⅴ. 먀오[苗] 어 연구 = 292
(1) 「아사 칭먀오 어 조사[峨山靑苗語調査]」 = 292
부록 5. 나상배 선생 전기 = 295
보충 기록[補記] = 320
추가 기록[追記] = 330
부록 6. 나상배 선생 저작 연표 = 333
Ⅰ. 저서 = 333
Ⅱ. 논문 = 335
Ⅲ. 첨부 목록 = 349
Ⅳ. 편집 후기 = 351
부록 7. 사회와 연계한 언어 연구 : 나상배의 『언어와 문화』다시 읽기 = 353
부록 8. 원서에 실린 서문들 = 365
Ⅰ. 형공원(邢公원)의 재판 서문 = 365
Ⅱ. 저자 서문(초판) = 372
Ⅲ. 육지위(陸志韋) 서문(초판) = 374
Ⅳ. 재판 머리말 = 376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