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民族音樂學理論

民族音樂學理論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德丸吉彦 김영봉, 역 이성천, 감수
서명 / 저자사항
民族音樂學理論 / 德丸吉彦 著 ; 金英峯 譯 ; 李成千 監修.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   2003.  
형태사항
191 p. ; : 삽도 ; 23 cm.
원표제
民族音樂學理論
ISBN
8956380643
서지주기
참고문헌(p.155-183)및 색인수록.
000 00750caaccc200265 k 4500
001 000000812881
005 20100805092209
007 ta
008 030321s2003 ulka b 1 kor
020 ▼a 8956380643 ▼g 93670 : ▼c \9500
035 ▼a KRIC08603907
040 ▼a 211042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h jpn
049 1 ▼l 111239286 ▼l 111249235 ▼l 111267226
082 0 0 ▼a 780.1 ▼2 21
090 ▼a 780.1 ▼b 2003
100 1 ▼a 德丸吉彦 ▼0 AUTH(211009)43474
245 1 0 ▼a 民族音樂學理論 / ▼d 德丸吉彦 著 ; ▼e 金英峯 譯 ; ▼e 李成千 監修.
246 1 9 ▼a 民族音樂學理論
260 ▼a 서울 : ▼b 민속원 , ▼c 2003.
300 ▼a 191 p. ;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p.155-183)및 색인수록.
700 1 ▼a 김영봉, ▼e
700 1 ▼a 이성천, ▼e 감수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112392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112672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112492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511501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112392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112672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112492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1 2003 등록번호 1511501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덕환질언(지은이)

<민족음악학이론>

김영봉(옮긴이)

<민족음악학이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역자서문
제1장 민족음악학 발상의 역사
 1. 민족음악학의 견해 = 15
 2. 민족음악학의 형성 = 20
제2장 민족음악학의 범위와 방법
 1. 음악학에서의 민족음악학 = 27
 2. 민족음악학의 연구 모델 = 30
제3장 개인에게 있어서의 음악
 1. 개인과 음악 = 35
 2. 음악구조와 그 인식 = 38
 3. 차이의 평가 = 42
제4장 사회적·문화적 아이덴티티
 1. 논리 문제로서의 아이덴티티 = 45
 2. 집단과 음악의 아이덴티티 관계 = 48
 3. 아이덴티티의 조작 = 51
제5장 음악실천
 1. 음악실천의 바람직한 상태 = 53
 2. 구체적인 예 : 다카치호(高天穗)의 가구라(神樂) = 56
제6장 음악과 신체
 1. 음악의 신체성 = 63
 2. 신체의 가소성(可塑性) = 64
 3. 의례와 신체 = 68
제7장 음악에 있어서 사람과 사물간의 인터페이스
 1. 신체와 악기 = 73
 2. 베트남의 단버우 = 75
 3. 일본의 고토와 샤미센 = 76
 4. 인터페이스와 연주 = 77
제8장 음의 운용규칙
 1. 양식 = 81
 2. 음색 = 84
 3. 음고와 음가의 규칙 = 87
제9장 언어 텍스트와 음악
 1. 음악에 있어서의 언어 텍스트 = 91
 2. 음악에 있어서의 언어사용 = 95
제10장 전승
 1. 전승에 대한 태도 = 97
 2. 전승의 보존방법 = 99
 3. 전승의 제도화 = 101
 4. 전승의 맥락변환 = 103
제11장 창조와 변화
 1. 음악양식과 구속 = 107
 2. 창조적인 변화 = 110
제12장 음악기호학
 1. 음악에 있어서 기호 = 115
 2. 간텍스트성과 연구의 방법 = 120
제13장 역사속에서의 음악
 1. 역사적 민족음악학 = 123
 2. 구체적인 방법 = 125
 3. 젠더에 관한 견해 = 130
제14장 미학·해석학과 민족음악학
 1. 새로운 음악미학을 향하여 = 135
 2. 음악의 해석학 = 138
 3. 문화다원주의와 민족음악학 = 139
제15장 새로운 민족음악학의 이론정립을 향하여
 1. 소수파의 문화와 다수파의 문화 = 143
 2. 음악과 문화상대주의의 재검토 = 144
 3. 『아시아 전통예능의 교류』의 의의 = 149
 4. 베트남 아악의 부흥계획 = 152
인용·참고문헌 = 155
색인 = 18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