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조사목적 및 필요성 = 1
2. 역학연구 흐름과 조사도구 개발 = 3
2.1 DIS(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 9
2.2 CIDI(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 12
3. 역학조사 동향 및 사례 : 외국 = 16
4. 역학조사 동향 및 사례 : 국내 = 28
제2장 조사내용 및 방법
1. 조사 수행체계 및 일정 = 32
2. 조사 도구 = 35
3. 조사요원 선발 및 교육 = 37
4. 현장조사의 질적관리 = 46
5. 조사대상 표본선정 = 47
제3장 조사 결과
1.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구성과 분포 = 54
2. 모든 정신질환 유병율 및 동반이환율 = 60
3. 각 정신질환별 유병율 및 동반이환율 = 83
3.1 불안장애
3.1.1 불안장애군 개관 = 83
3.1.2 강박 장애 = 89
3.1.3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 99
3.1.4 공황 장애 = 109
3.1.5 광장 공포증 = 116
3.1.6 사회 공포증 = 123
3.1.7 특정 공포증 = 130
3.1.8 범 불안장애 = 138
3.2 기분 장애
3.2.1 기분장애군 개관 = 145
3.2.2 주요 우울장애 = 150
3.2.3 기분 부전장애 = 159
3.2.4 양극성 기분장애 = 168
3.3 정신병적 장애
3.3.1 정신병적장애군 개관 = 171
3.3.2 정신분열병 = 174
3.3.3 정신분열형 장애 = 180
3.3.4 단기정신병적 장애 = 183
3.4 알코올 사용장애
3.4.1 알코올사용장애군 개관 = 189
3.4.2 알코올 남용 = 197
3.4.3 알코올 의존 = 205
3.4.4 한국인의 음주패턴 = 213
3.5 니코틴 사용장애
3.5.1 니코틴사용장애군 개관 = 215
3.5.2 니코틴 의존 = 222
3.5.3 니코틴 금단 = 228
3.6 신체형 장애
3.6.1 신체형장애군 개관 = 233
3.6.2 신체화 장애 = 237
3.6.3 전환 장애 = 241
3.6.4 동통 장애 = 246
3.6.5 건강염려증 = 250
4. 정신질환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정도 = 255
5. 정신의료 서비스이용실태 = 256
제4장 조사연구 결과자료의 활용
1.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261
2.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역학조사연구의 기반조성 = 262
3. 전국적 역학자료 제시 및 정책기초자료적 의의 = 265
참고문헌 = 267
부록 = 279
1. 한국어판 CIDI(K-CIDI)의 내용 개요
1.1 탐색 흐름도(probe flow chart) = 281
1.2 K-CIDI 각 장(section) 및 B1, J1 카드 = 282
2. 역학조사 과정에 따른 주요실무내용
2.1 10개 권역 조사기관 및 연구팀 구성 = 298
2.2 예비 역학조사 과정 평가보완 = 302
2.3 조사요원 훈련프로그램 수정보완 = 305
2.4 연구팀 실무 추진회의 = 312
2.5 조사대상자에 대한 홍보 = 313
2.6 현장조사 과정의 문제점 및 대책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