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연구요약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4
3. 연구 방법 = 4
Ⅱ. 재외동포 교육의 개념과 현황 = 7
1. 재외동포교육의 개념 = 7
2. 재외동포교육의 현황 = 9
Ⅲ.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기초 = 15
1. 한국어 의사소통능력과 한국어 교육과정 = 15
가.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 15
나. 한국어 교수요목의 개념과 유형 = 19
다.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시사점 = 27
2. 국내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 분석 = 29
가. 기개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분석 = 30
나. 대학 부설 어학원용 한국어 교재 분석 = 40
다. 한국어 교재간 특징 및 차이 비교 = 61
3. 한국어능력시험(KPT) 등급별 기준 분석 = 64
Ⅳ. 재외동포용 교재에 대한 의견 조사 = 69
1. 재외동포교육 전문가에 대한 요구 조사 = 69
가.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육 전반에 대한 의견 = 69
나.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 = 78
2. 해외 재외동포교육 전문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의견 = 83
가. 재외동포교재 개선 연구에 관하여(미주 지역) = 83
나.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할 지역적 특성(호주 지역) = 93
다. 재외동포 교육자의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 98
Ⅴ.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안) = 102
1.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준거 = 102
2.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안) = 105
가. 성격 = 105
나. 목표 = 106
다. 영역별 교육과정 내용 = 106
3. 한국어 교재 개선을 위한 교수요목(안) = 125
가. 목표 = 125
나. 교수요목 개발의 기본 원리 = 126
다. 급별 수준 = 126
라. 급별 구성 = 130
마. 급별 체계 = 132
Ⅵ. 요약 및 제언 = 146
1. 요약 = 146
2. 제언 = 148
[참고문헌] = 150
[ABSTRACT] = 154
[부록 1] 설문지 = 157
[부록 2] 한국어능력시험 평가기준 개선안 = 165
[부록 3] 교재 중복도 및 중요도에 따른 단계별 문형 및 문법 목록 =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