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교육과정의 이해
제1장 교육과정의 기본적 이해
1. 교육과 교육과정 = 17
1) 교육과정의 기본 질문 = 18
2) 교육과정의 부속 질문 = 19
3) 교육과정 기본 질문의 의의 = 20
4) 기본 질문에 대한 두 가지 대답 방식 = 22
2. 교육과정 결정의 세 축 = 22
1) 교과 = 24
2) 사회 = 28
3) 학습자 = 30
3.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정의 = 34
1) 교과목이나 거기에 담긴 내용이다 = 34
2) 계획된 활동이다 = 35
3) 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겪는 실제 경험이다 = 37
4) 수행할 일련의 과업이다 = 39
5) 의도한 학습결과이다 = 40
6) 문화적 재생산의 도구이다 = 41
7) 사회개선 프로그램이다 = 43
8) 개인의 인생 행로에 대한 해석이다 = 44
9) 은유는 교육과정의 본질을 잘 드러낸다 = 46
4. 교육과정의 다양한 층위 = 47
1) 공식화 정도에 따른 구분 = 48
2) 교육의 진행 과정에 따른 구분 = 51
3) 교육 영역의 일반성 정도에 따른 구분 = 53
4) 적용과 부과 방식에 따른 구분 = 54
5) 교육의 단기적 목표에 따른 구분 = 57
6) 교육과정 결정 주체에 따른 구분 = 59
5. 교육과정의 특성 = 63
1) 교육목적에 따른 규범성 = 64
2) 교육목표 달성의 수단성 = 64
3) 학습자 존중성 = 65
4) 교육활동 중심의 실제성 = 65
5) 교원 주도성 = 66
6) 미래 지향성 = 66
6. 교육과정 학습의 목적 = 68
제2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이해
1. 스펜서 : 현대 교육과정 논의의 시작 = 76
1) 실제적 삶을 위한 교육 = 76
2) 어떤 지식이 가장 가치 있는 것인가? = 77
2. 맥머리 형제 : 교육과정과 수업의 접합 = 79
1) 헤르바르트의 영향 = 79
2) 맥머리의 교육과정론 = 80
3. 20세기 교육과정 논의의 맹아(萌芽) = 83
1) 여러 갈래의 교육과정 논의의 절충과 종합 = 83
2) 10인 위원회 보고서 = 86
3) 모든 청소년을 위한 중등교육 = 89
4) 20세기 초반 교육과정 논의의 종합 = 91
4. 듀이 : 아동중심 교육과정 논의의 구체화 = 94
1) 교과와 아동의 대립과 화해 = 95
2) 아동의 심리와 교과의 논리의 만남 = 97
3) 교육적 경험의 발전적 조직 = 98
4) 학습과 생활의 통합 = 99
5. 바? : 교육과정 구성의 과학화 = 101
1) 사회적 효율성 = 101
2) 성인 생활의 준비로서의 교육 = 103
3) 전문 분야로서 교육과정 개발 = 106
4) 활동영역 분석으로서 교육과정 개발 = 108
6. 뉼런 :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 112
1) 교사는 전문가 = 113
2)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 = 116
7. 캐스웰 : 수업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118
1) 수업개선과 무관한 교육과정 개발 = 118
2)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적 구성을 위한 범위와 계열 = 120
3) 수업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123
8. 8년 연구 : 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사례 = 126
1) 연구의 목적 두 가지 = 127
2) 실험학교들의 교육과정 = 129
3) 실험학교들의 수업 = 136
4) 실험학교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 = 138
5) 실험학교 학생들의 고교 생활과 공부 = 139
6) 실험학교 졸업생들의 대학 생활과 공부 = 140
7) 역사에 묻혀버린 성공한 연구 = 143
9. 타일러 : 20세기 교육과정 논의의 거대한 디딤과 걸림 = 144
1) 거인의 교육적 삶 = 144
2) 거인의 교육사상 = 145
제3장 교육과정의 관점과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156
1) 기본 관점 = 156
2) 교육의 목적과 내용 = 158
3) 교육과정의 실천 - 수업과 평가 = 161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162
1) 기본 관점 = 162
2) 교육의 목적과 내용 = 168
3) 교육과정의 실천 - 수업과 평가 = 170
3. 사회중심 교육과정 = 172
1) 기본 관점 = 172
2) 교육의 목적과 내용 = 178
3) 교육과정의 실천 - 수업과 평가 = 182
4. 학문중심 교육과정 = 186
1) 기본 관점 = 186
2) 교육의 목적과 내용 = 191
3) 교육과정의 실천 - 수업과 평가 = 194
5. 행동주의 교육과정 = 196
1) 기본 관점 = 196
2) 교육의 목적과 내용 = 200
3) 교육과정의 실천 - 수업과 평가 = 201
6. 인지주의 교육과정 = 203
1) 기본 관점 = 203
2) 교육의 목적과 내용 = 206
3) 교육과정의 실천 - 수업과 평가 = 207
7. 구성주의 교육과정 = 209
1) 기본 관점 = 209
2) 교육의 목적과 내용 = 211
3) 교육과정의 실천 - 수업과 평가 = 215
제Ⅱ부 교육과정의 개발
제4장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
1. 전통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29
1)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29
2) 타바의 교사 참여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40
3) 올리바의 종합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46
2. 대안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50
1) 워커의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50
2)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58
3. 직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65
1) 체제적 접근에 의한 모형 : SCID 모형 = 266
2) 이무근의 모형 = 269
제5장 교육과정 목표의 설정
1.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 276
1) 학문적 교육목표 = 279
2) 직업적 교육목표 = 280
3) 시민의 사회문화적 교육목표 = 281
4) 개인적 교육목표 = 283
2. 교육목표의 상세화 = 285
1) 교과교육목표 = 286
2) 학년목표 = 289
3) 단원목표 = 290
3. 수업목표의 명세화 = 292
1) 수업목표 명세화의 필요성 = 292
2) 수업목표 진술의 조건 = 294
3) 수업목표 진술의 방법 = 296
제6장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과 조직
1. 교육내용의 선정 기준 = 307
1) 유의미성 = 309
2) 타당성 = 310
3) 학습자 요구 존중성 = 310
4) 사회적 효용성 = 311
5) 학습가능성 = 311
6) 실행가능성 = 312
7) 교과의 내용 선정 기준 = 312
2. 교육과정 내용의 조직 = 315
1) 교육과정 내용 조직의 의의 = 315
2) 교육과정 내용의 계열적 조직 = 317
3.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 원리 = 330
1) 어문계열의 내용 선정과 조직 원리 = 331
2) 사회계열의 내용 선정과 조직 원리 = 336
3) 자연계열의 내용 선정과 조직 원리 = 343
4) 예·체능계열의 내용 선정과 조직 원리 = 353
제7장 교육과정의 운영
1.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 = 371
2.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원리 = 373
1) 합목적성의 원리 = 373
2) 합법성의 원리 = 374
3) 민주성의 원리 = 375
4) 학습자 존중의 원리 = 375
5) 자율성의 원리 = 376
6) 전문성의 원리 = 376
7) 책무성의 원리 = 377
8) 효과성의 원리 = 378
9) 효율성의 원리 = 378
10) 계열성의 원리 = 379
11) 통합성의 원리 = 379
12) 균형성의 원리 = 380
13) 현실성의 원리 = 381
3.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82
1) 국가 정책과 교육 개혁 = 382
2) 교육과정 개정 관행 = 383
3) 교육과정의 편성 = 385
4) 학교급별 교육과정의 특성 = 386
5) 교육과정 운영 관행과 풍토 = 387
6) 교원 = 389
7) 학생 = 390
8) 교재 = 392
9) 시설과 설비 = 393
10) 교육평가 = 394
11) 시간 = 395
12) 재정과 여건 = 397
4.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 398
1)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 = 398
2) 교사의 관심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수준 = 406
5.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 409
1)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변화촉진자의 역할 = 410
2)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를 돕는 방안 = 413
3)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과제 = 416
제8장 교육과정의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개요 = 423
1)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 = 423
2) 교육과정 평가의 필요성 = 428
3) 교육과정 평가의 절차 = 429
2. 교육목표와 평가 = 434
3. 교육내용과 평가 = 436
4. 학습경험과정과 평가 = 438
5. 평가의 평가 = 439
1) 내적 타당성 검증 = 439
2) 외적 타당성 검증 = 440
6. 교육과정 평가의 체계화 = 441
참고문헌 = 445
부록 = 459
찾아보기 =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