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국제지역학의 본질
Ⅰ. 국제지역학이란? = 3
1. 국제지역학의 현실적 필요성 = 3
2. 국제지역학의 용어 = 6
3. 국제지역학의 정의 = 8
Ⅱ. 국제지역학의 역사적 생성과정 = 11
Ⅲ. 국제지역학의 연구대상 = 14
Ⅳ. 국제지역학 연구의 접근방법 = 16
1.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y Approach) = 17
(1) 학제간 연구의 배경 = 17
(2) 학제간 연구의 형태 = 18
2. 비교연구(Comparative Studies) = 20
Ⅴ. 국제지역학의 문제점과 과제 = 21
1. 국제지역학의 문제점(학문 내에서의 위상) = 21
2. 국제지역학의 시급한 과제 = 25
Ⅵ. 국제지역학의 미래 = 27
제2장 국제지역학과 인접학문
Ⅰ. 국제지역학과 해외개발론 = 31
Ⅱ. 국제지역학과 국제관계론 = 34
Ⅲ. 국제지역학과 제3세계론 = 36
Ⅳ. 국제지역학과 국제정치학 = 38
Ⅴ. 국제지역학과 국제경제학 = 41
Ⅵ. 국제지역학과 문화인류학 = 43
제3장 국제지역으로서의 세계(World)
Ⅰ. 국제지역으로서의 세계를 바라보는 인식의 틀(paradigm) = 49
1. 국제지역의 공간적 주체 = 50
(1) 국경선에 의한 구획으로 설정된 공간/국민국가(Nation-state) = 51
(2) 복수의 국민국가를 포괄하는 국가간(inter-national) 또는 초국가적(trans-national)으로 설정된 공간/국제기구 = 52
2. 탈냉전기 공간적 주체의 궁극적인 목적 = 54
(1) 이데올로기 중요성의 상대적 약화 = 54
(2) 협동적 공동안보의 중요성 : 인류의 생존(human survival) = 55
3. 국제지역의 주요의제(main agenda)의 변화 = 56
(1) 군사적인 문제를 주로 취급하는 고위정치의 퇴조 = 57
(2) 경제적인 문제를 주로 취급하는 고위정치의 부각 = 58
4. 중심적인 활동범위의 확대 = 59
Ⅱ. 탈냉전기 국제지역으로서의 새로운 세계질서 = 60
1. 단극적 헤게모니의 현상을 보이는 국제지역 = 61
2. 다극체제의 현상을 보이는 국제지역 = 63
3. 셋 또는 둘로 나뉘어진 국제지역으로서의 세계체제 = 65
4. 단극적 다수상호의존체제의 현상을 보이는 국제지역 = 66
제4장 국제지역의 주요분쟁과 경제협력 메이커니즘
Ⅰ. 국제지역의 주요분쟁 = 73
1. 세계분쟁의 동향 = 73
2. 아시아 지역의 주요분쟁 = 76
(1) 스프라틀리군도 영유권 분쟁 = 76
(2) 센카쿠/조어도 영유권 분쟁 = 81
(3) 동티모르 분리운동 = 84
(4) 스리랑카 민족분쟁 = 92
(5) 캐시미르 분쟁 = 95
3. 아프리카 지역의 주요분쟁 = 98
(1) 콩고민주공화국(DRC) 분쟁 = 98
(2) 소말리아 내전 = 105
(3) 르완다 내전 = 108
4. 중동 지역의 주요분쟁 = 109
(1) 팔레스타인 분쟁 = 109
(2) 쿠르드족 분리운동 = 113
5. 유럽 지역의 주요분쟁 = 116
(1) 보스니아 내전 = 116
(2) 코소보 독립분쟁 = 118
Ⅱ. 국제지역의 경제협력 메커니즘 = 120
1. 세계적인 동향 = 121
2. 아태 지역의 APEC = 125
(1) APEC의 설립배경 및 아태 지역 = 125
(2) APEC의 진전과정 = 129
(3) APEC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 135
(4) APEC의 향후 전망 = 139
3. 유럽 지역의 EU = 140
(1) EU의 형성 = 140
(2) EU 조약의 주요 내용 = 144
(3) 유럽경제지역(EEA) = 146
(4) EU의 확대 = 148
4. 북미 지역의 NAFTA = 150
(1) NAFTA의 추진배경 = 150
(2) NAFTA의 특징적 양상 = 151
(3) NAFTA가 회원국에 미치는 영향 = 152
(4) NAFTA와 한국경제 = 154
(5) NAFTA의 문제점 = 155
5. 동아시아 지역의 ASEAN+3 = 156
(1) ASEAN+3의 제도화 추진과정 = 156
(2) ASEAN+3 제도화의 대외적 요인 = 165
(3) ASEAN+3 제도화의 대내적 요인 = 175
(4) ASEAN+3 주요국의 입장 = 189
(5) ASEAN+3의 향후전망 = 194
6. 동남아시아 지역의 ASEAN = 198
(1) 아세안의 성립배경과 목적 및 조직구성 = 198
(2) 아세안의 발전과정 = 209
(3) ASEAN이 추진하는 AFTA = 215
(4) 아세안의 향후 전망 = 224
7. 기타 지역경제협력 메커니즘 = 226
제5장 특정지역연구의 모색
Ⅰ. 동북아 지역연구 = 231
1. 지리적 구획의 관점 = 232
2. 정치·경제적인 관점 = 233
(1) 정치체제 = 233
(2) 경제체제 = 233
(3) 동북아의 경제협력 = 234
(4) 중국의 WTO 가입과 공산당의 위상 찾기 = 236
(5)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 동북아 정세의 급변 = 238
(6) 한·중·일 - ASEAN의 출범 = 239
3. 종교·문화적인 관점 = 240
4. 주요 국민국가적인 관점 = 244
(1) 한국 = 244
(2) 일본 = 252
(3) 중국 = 254
Ⅱ. 동남아 지역연구 = 258
1. 지리적 구획의 관점 = 261
2. 정치·경제적인 관점 = 261
(1) 동남아 정치의 특성 = 262
(2) 동남아 경제의 특성 = 262
(3) 동남아의 아세안화(ASEAN-ization) = 264
3. 종교·문화적인 관점 = 268
4. 주요 국민국가적 관점 = 270
(1) 브루나이 = 270
(2) 인도네시아 = 272
(3) 말레이시아 = 273
(4) 필리핀 = 274
(5) 싱가포르 = 275
(6) 태국 = 277
(7) 베트남 = 277
(8) 캄보디아 = 279
(9) 라오스 = 281
(10) 미얀마 = 281
Ⅲ. 중앙아 지역연구 = 283
1. 지리적 구획의 관점 = 284
2. 정치·경제적인 관점 = 284
3. 종교·문화적인 관점 = 287
4. 주요 국민국가적인 관점 = 289
(1) 우즈베키스탄 = 289
(2) 카자흐스탄 = 290
(3) 투르크메니스탄 = 291
(4) 키르기스스탄 = 293
(5) 타지키스탄 = 294
Ⅳ. 북미 지역연구 = 295
1. 지리적 구획의 관점 = 297
2. 정치·경제적인 관점 = 297
(1) NAFTA의 발족 = 297
(2) 미국의 파워 = 298
3. 종교·문화적인 관점 = 300
4. 주요 국민국가적인 관점 = 301
(1) 미국 = 301
(2) 캐나다 = 304
(3) 멕시코 = 305
Ⅴ. 중남미 지역연구 = 305
1. 지리적 구획의 관점 = 306
2. 정치·경제적인 관점 = 307
(1) 중남미의 정치·경제적 특징 = 307
(2) OAS의 활동 = 309
(3) 경제통합의 노력 = 309
(4) 민주주의의 진통 = 312
(5) 달러의 공식화폐 채택의 열풍 = 313
3. 종교·문화적인 관점 = 314
4. 주요 국민국가적인 관점 = 319
(1) 브라질 = 320
(2) 아르헨티나 = 321
(3) 칠레 = 322
Ⅵ. 서유럽 지역연구 = 323
1. 지리적 구획의 관점 = 325
2. 정치·경제적인 관점 = 326
(1) 유럽통합의 가속화 = 326
(2) 극우파 물결의 확산 = 332
3. 종교·문화적인 관점 = 335
(1) 영국 = 336
(2) 독일 = 337
(3) 프랑스 = 337
(4) 이탈리아 = 338
Ⅶ. 동유럽과 러시아 지역연구 = 339
1. 지리적 구획의 관점 = 340
2. 정치·경제적인 관점 = 341
(1) 바르샤바조약기구(Warsaw Pact) = 341
(2) COMECON의 해체와 경제혼란 = 342
(3) 동유럽국들의 EU와 NATO가입 움직임 =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