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71n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00808278 | |
005 | 20100805075926 | |
007 | ta | |
008 | 030103s2002 ulka 001a kor | |
020 | ▼a 8984452238 ▼g 93180 : ▼c \12000 | |
035 | ▼a KRIC08525546 | |
040 | ▼d 211048 ▼d 211009 ▼a 211048 ▼c 211048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38000 ▼f 개가 ▼l 111238001 ▼f 개가 ▼l 121071117 ▼f 과학 ▼l 121071118 ▼f 과학 |
082 | 0 4 | ▼a 616.89/1523 ▼2 21 |
090 | ▼a 616.891523 ▼b 2002 | |
100 | 1 | ▼a Leveton, Eva |
245 | 2 0 | ▼a (임상현장에서의)사이코드라마 / ▼d Eva Leveton 지음 ; ▼e 최윤미 옮김. |
246 | 1 9 | ▼a (A)clinician's guide to psychodrama. 3rd ed.(2001)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 ▼c 2002. | |
300 | ▼a 258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원본 초판서명: Psychodrama for the timid clinician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253]-256 | |
536 | ▼a 강원대학교 연구년 교수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
700 | 1 | ▼a 최윤미 ▼g 崔允美 , ▼d 1957-., ▼e 역 ▼0 AUTH(211009)62423 |
740 | ▼a Psychodrama | |
740 | ▼a Psychodrama for the timid clinician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112380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112380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210711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210711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112380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112380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210711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616.891523 2002 | 등록번호 1210711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에바 리베튼(지은이)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정신연구소의 집중적인 가족치료 훈련 프로그램을 수료 후, 사이코드라마 기법을 개발하고 교육하기 위해 전문 여배우로서의 경험과 학문적 훈련을 결합시켰다. 2004년에는 사이코드라마와 사회측정학 그리고 집단 심리치료에서 이러한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Zerka T. Moreno 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남편이자 정신과 의사인 Alan Leveton 및 사회복지사인 Ben Handleman과 함께 샌프란시스코에 가족치료 센터를 설립하였다(1966∼1994). 사이코드라마와 소시오드라마 그리고 가족치료를 결합하여 개인과 가족을 돕기 위해 활용하였고 열정과 헌신을 다해 그녀는 유럽 사이코드라마 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독일, 오스트리아, 아프리카, 인도, 중국, 터키, 폴란드, 루마니아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교육하고 있다. 그녀는 지난 50년 동안 미국 사이코드라마와 집단 심리치료학회, 전미드라마치료협회에서 많은 연구를 발표하였다. 캘리포니아통합연구소의 부교수를 역임하고 있는 Eva Leveton은 소매틱 프로그램(somatic program)에서 가족치료와 드라마치료 프로그램의 사이코드라마를 교육하고 있다. 그녀의 주요 관심사는 두 가지이다. 첫째, 직접적 의사소통과 경험적 작업을 장려하는 것과 둘째, 신뢰할만한 임상적 능력으로 현재 발전 중인 이론을 절충하고 사회정치적 역사의 요소를 고려한 방법들을 결합하여 ‘지금 그리고 여기(here and now)’의 작업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Eva Leveton은 많은 논문과 Springer Publishing Company에서 심리치료사를 위한 사이코드라마 가이드(A Clinician’s Guide to Psychodrama)와 위기의 사춘기-드라마치료의 방법(Adolescent Crisis : Approaches in Drama Therapy) 그리고 Thumb Print에서 에바의 베를린, 전쟁 중 유년의 기억(Eva’s Berlin, Memories of a Wartime Childhood)이라는 세 권의 저서를 출간하였다. 그녀의 글은 널리 번역되었다. 최근 그녀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베를린에서 겪었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1세대와 2세대, 3세대 독일인과 유대인 집단에 대한 Armand Volkas의 ‘역사의 상처에 대한 치유’ 작업에 참여한다. 반(半) 퇴직한 상태인 Eva는 밀 밸리의 레드우드 퇴직센터에서 비망록 작성을 강의하면서(가장 나이가 많은 학생은 101세이다.) 캘리포니아 샌 라파엘에 있는 집에서 정원을 손질하고 Azure, Mateo, Kira, 3명의 귀여운 손자들을 돌보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
최윤미(옮긴이)
2013년 현재 강원대학교 교수, 한국상담심리학회 이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상담심리학) 한국상담심리학회 회장(2012), 학술위원장, 윤리위원장, 편집위원, 서울가정법원 가사조정위원 역임 저서 멘붕탈출! 스트레스 관리(공저, 학지사, 2013) 역서 스트레스 없는 풍요로운 삶(공역, 시그마프레스, 2013) 쇼펜하우어 집단심리치료(공역, 시그마프레스, 2008) 사이코드라마 가이드(시그마프레스, 2007) 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시그마프레스, 2001)

목차
목차 차례 = 3 역자 서문 = 5 프롤로그 = 7 제1장 책임을 누가 맡는가? = 13 사이코드라마 수업의 몇 가지 예 = 33 제2장 자리배치 = 35 제3장 준비작업 = 41 언어적 준비작업 = 45 비언어적 준비작업 = 61 제4장 분신 = 77 분신기법의 몇 가지 형태 = 86 치료 보조물로서의 분신기법 = 102 제5장 역할 바꾸기 = 107 제6장 소시오그램 = 115 제7장 빈 의자 = 123 제8장 성격을 탐구하는 여섯 인물 = 131 실제의 예 = 133 제9장 주어진 장면 = 143 직장면접 상황 = 145 제10장 마술상점 = 151 제11장 가면 = 167 우주적 가면의 활용연습 = 171 부부집단에서의 가면실습 = 172 제12장 자발성의 허용 = 179 제13장 저항 그리고 저항을 다루는 몇 가지 방법 = 183 제14장 무아상태와 사이코드라마 = 197 제15장 사이코드라마냐, 연극치료냐? = 203 제16장 마무리 = 211 제17장 활용할 만한 사이코드라마 기법의 세 가지 예 = 221 정신과 병동의 집단 = 221 부부집단 = 232 지도감독(On Supervision) = 238 에필로그 = 245 인명 해설 = 251 참고문헌 = 253 찾아보기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