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808077 | |
005 | 20150224173940 | |
007 | ta | |
008 | 020615s2001 ulk b 001c kor | |
020 | ▼a 8932012997 ▼g 03800 | |
035 | ▼a KRIC08101845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spa |
049 | 1 | ▼l 111237767 ▼f 개가 ▼l 111237768 ▼f 개가 |
082 | 0 4 | ▼a 801 ▼a 808 ▼2 23 |
085 | ▼a 801 ▼2 DDCK | |
090 | ▼a 801 ▼b 1982c ▼c 36 | |
100 | 1 | ▼a Hernández Guerrero, José Antonio ▼0 AUTH(211009)17155 |
245 | 1 0 | ▼a 수사학의 역사 / ▼d 호세 안토니오 에르난데스 게레로, ▼e 마리아 델 카르멘 가르시아 테헤라 ; ▼e 강필운 옮김 |
246 | 1 9 | ▼a Historia breve de la retórica |
260 |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c 2001 | |
300 | ▼a 270 p. ; ▼c 23 cm | |
440 | 0 0 | ▼a 현대의 문학 이론 ; ▼v 36 |
504 | ▼a 참고문헌(p. 213-25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Rhetoric |
700 | 1 | ▼a García Tejera, María del Carmen, ▼e 저 ▼0 AUTH(211009)98750 |
700 | 1 | ▼a 강필운, ▼e 역 ▼0 AUTH(211009)108322 |
900 | 1 0 | ▼a 에르난데스 게레로, 호세 안토니오, ▼e 저 |
900 | 1 0 | ▼a 가르시아 테헤라, 마리아 델 카르멘,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36 | Accession No. 1112377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36 | Accession No. 1112377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82c 36 | Accession No. 1511354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36 | Accession No. 1112377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36 | Accession No. 1112377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82c 36 | Accession No. 1511354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 문명의 유서 깊은 지적 발명 가운데 하나인 수사학(Retoric). 그동안 수사학의 역사를 종합적으로 관망할 수 있는 총체적 연구서의 필요성이 절실했던 시점에, 이 책은 입문서의 성격을 띠고 쓰여졌다. 특히 수사학이 찬란하게 꽃피었던 시기들, 특히 고대 그리스. 로마. 중세. 그 이후의 황금기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연구하였다.
제1장 '그리스 수사학'에서는 웅변술 연습과 그리스 수사학 이론의 중요성을 부각시켰으며, 2장 '로마 수사학'에서는 그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이는 그리스 유산이 흘러나오는 수로 역할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에 단단함과 실천적 의미를 부여하는 촉진제 역할을 담당하였다. '중세 수사학'에서는 시학과 수사학 사이의 상호 관련성과 상호 접근성에 중점을 두었다.
'16세기 수사학'에서는 수사학이 인문학 교육에서 이룩한 업적의 중요성에 주목하였고, '18세기 수사학'에서는 수사학이 교과용 과목으로 채택되고, 종교 담론이 이룬 폭넓은 대중성이 가져온 수사학의 실용적 결과를 강조하였다 '19세기 수사학'에서는 수사학이 다양하고 영향력있는 철학 이론들을 전파하는 수로 역할을 어떻게 수행했는지에 대하여 설명했으며, 마지막으로 20세기 후반부에 나타난 수사학의 부흥과 개혁적인 이론들에 대하여 폭넓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수사학의 역사를 살펴봄으로 인하여 훌륭한 수사학 작품을 둘러싸고 있는 이론적, 역사적 문맥을 이해하고, 또한 수사학의 문학 외적이고 실용적인 근원을 확인하는 데에 진일보하게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호세 안토니오 에르난데스 게레로(지은이)
스페인 카디스 대학교의 문학 이론 교수. 수사학, 시학 등 문학 이론 일반에 관한 다수의 저서가 있다.
마리아 델 카르멘 가르시아 테헤라(지은이)
스페인 카디스 대학교의 문학 이론 교수. 문학 이론과 18, 9세기 수사학과 시학적 분석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강필운(옮긴이)
한국외대 스페인어과를 졸업하고 스페인 외무부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마드리드 국립대학교에서 스페인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남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신비주의 문학의 이해』, 역서로는 『수사학의 역사』, 『모두가 창녀다』, 『세상 밖으로 배낭을 꾸려라』, 『구스만 데 알파라체』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스페인 황금세기(16~17세기) 문학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최근에는 학생들과의 소통 강화를 위한 스페인어 수업모형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5 제1장 그리스 수사학 1. 서론 = 15 2. 고대 그리스 수사학 연습과 그 기원 = 16 3. 소피스트 = 20 4. 고대 그리스 산문 작가들 = 25 5. 플라톤 = 28 6. 아리스토텔레스 = 33 7. 테오프라스토스 = 45 8. 팔레로의 데메트리오스 = 46 9. 키티움의 제논 = 47 10. 템노스의 헤르마고라스 = 48 11. 페르가몬의 아폴로도로스 = 50 12. 『알렉산드로스에게 바치는 수사학』 = 50 13. 제국주의 시대의 그리스 수사학 = 51 제2장 로마 수사학 1. 서론 = 59 2. 『헤레니우스에게 바치는 수사학』 = 60 3. 키케로 = 61 4. 수사학의 쇠퇴 = 67 제3장 중세 수사학 1. 서론 = 77 2. 기독교와 이교도 사이의 논쟁과 이것이 중세 수사학에 끼친 영향 = 81 3. 비잔틴이 중세 수사학에 끼친 공적 = 82 4. 중세 문법 연구와 그 영역 = 84 5. 11세기까지의 중세 유럽 수사학자들 = 86 6. 수사학이 중세 시에 끼친 영향 = 92 7. 중세 '기예'와 그 분류 = 93 8. 세 가지 문체에 관한 이론 = 99 9. 중세 스페인 수사학 = 100 10. 중세 말엽 수사학의 번영 = 101 제4장 16세기 수사학 1. 서론 = 102 2. 이탈리아 인문주의와 수사학의 정점 = 104 3. 교육에 있어서의 수사학 = 105 4. 고전 작품들의 재평가 = 106 5. 대표적인 수사학자들 = 107 6. 키케로에 대한 논쟁과 그 전개 = 109 7. 트리엔트 종교 회의와 종교 변론의 개혁 = 112 8. 타키투스의 재발견 : '라코니아 문체'의 승리 = 113 9. 키케로의 두번째 부활 = 114 10. 스페인 수사학 = 115 제5장 17세기 수사학 1. 서론 = 119 2. 17세기 수사학에 있어서 예수회 수사들의 등장 = 120 3. 바로크와 수사학 : 즐거움 주기·감동시키기 = 124 4. 이탈리아에서의 제2 소피스트 학파의 부활 = 124 5. 마리노에서 테사우로까지 = 125 6. 스페인에서의 수사학 : 기지주의와 기지 = 126 7. 수사학 교육 : 가장 뛰어난 작품들 = 126 8. 반(反)수사학적 인문주의 : '과학적 문체'의 창조 = 129 제6장 18세기 수사학 1. 서론 = 135 2. 영국의 중요 수사학자들 = 137 3. 스코틀랜드 수사학자들 = 140 4. 프랑스 수사학자들 = 145 5. 이탈리아 수사학자들 = 153 6. 스페인 수사학 = 156 제7장 19세기 수사학 1. 서론 = 165 2. 영어로 씌어진 수사학 작품들 = 167 3. 독일 수사학자 = 169 4. 프랑스 수사학자 = 170 5. 이탈리아 수사학자들 = 172 6. 스페인 수사학자들 = 173 제8장 20세기 수사학 1. 서론 = 188 2. 혁신적 제안들 = 189 3. 철학적 수사학 = 190 4. 수사학의 언어학적 재설계 = 191 5. 일반 수사학을 향하여 = 193 6. 보편 수사학 = 194 7. 수사학 기능의 복권을 향하여 = 195 8. 수사학과 문학 분석 = 198 9. 역사적 유산의 회복 = 200 10. 텍스트들의 재간행과 번역 = 200 11. 역사적 분석 = 202 옮긴이의 말 = 211 참고 문헌 = 213 찾아보기 =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