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5n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00807998 | |
005 | 20110809135247 | |
007 | ta | |
008 | 030319s2003 ulk 001c kor | |
020 | ▼a 8918011091 ▼g 933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39330 ▼f 개가 ▼l 111239331 ▼f 개가 |
082 | 0 4 | ▼a 340.1 ▼2 22 |
085 | ▼a 340.1 ▼2 DDCK | |
090 | ▼a 340.1 ▼b 2003 | |
100 | 1 | ▼a 이상돈 ▼0 AUTH(211009)90507 |
245 | 1 0 | ▼a 법철학 : ▼b 법, 이성, 사회 / ▼d 이상돈 |
246 | 1 1 | ▼a Rechtsphilosophie |
246 | 1 1 | ▼a Legal philosophy |
260 | ▼a 서울 : ▼b 法文社, ▼c 2003 ▼g (2008) | |
300 | ▼a xxv, 426 p. ; ▼c 23 cm | |
490 | 1 0 | ▼a 법학총서 |
500 | ▼a 색인수록 | |
830 | 0 | ▼a 법학총서 (法文社)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113637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116375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116375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511463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511463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113637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116375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116375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511463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3 | Accession No. 1511463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Table of Contents
목차 도입글 [1] 법이론-철학과 정책 사이에 = 3 Ⅰ. 법이론 기획-10년 = 3 1. 인식론적 지평 = 4 2. 해석학적 지평 = 7 3. 역사적 지평 = 10 Ⅱ. 철학적 배후 = 15 1. 법인식의 언어이론적 해부 = 16 2. 법적 이데올로기의 해석학적 비판 = 21 3. 근대성의 대화이론적 기획 = 25 Ⅲ. 정책적 전방 = 29 1. 정책으로서 해석 = 29 2. 정책적 반성으로서 선이해의 해명 = 32 3. 정책의 지표로서 대화적 의사소통 = 34 Ⅳ. 법이론의 전망 = 41 제1장 진리와 방법 [2] 법인식의 사회적 지평과 근대성 = 47 Ⅰ. 법인식의 의미와 법조인의 독점 = 47 Ⅱ. 법인식의 인식론적 지평에서 이론과 실천의 분리 = 48 1. 과학주의적 법인식론 = 48 2. 이론과 실천의 분리 = 49 (1) 편향된 직업적 사회화 = 49 (2) 정치적 무의식 = 50 Ⅲ. 법인식의 해석학적 지평과 이데올로기성 = 51 1. 해석학적 선이해와 지식 = 51 2. 해석학적 이해의 구조적 왜곡 = 52 (1) 언어의 왜곡 = 52 (2) 체계의 왜곡 = 53 Ⅳ. 법인식의 역사적 지평과 근대성 = 55 1. 비판적 인식관심과 이데올로기성의 극복 = 55 (1) 언어비판 = 56 (2) 제도비판 = 56 2. 분화되지 못한 의사소통적 구조와 후견주의적 성향 = 59 (1) 전근대적 문화 = 59 (2) 탈근대적 후견주의 = 60 3. 근대성의 의미와 대화적 에토스 = 61 (1) 근대성의 자유주의적 의미 = 61 (2) 패러다임변환의 필요성 = 62 (3) 대화적 에토스 = 63 Ⅴ. 대화이론과 법인식론의 실천적 과제 = 64 1. 대화이론적 법인식론 = 64 2. 법률적용에서 법인식론의 실천적 과제 = 67 (1) 인식론적 지평에서 이론과 실천의 통합 = 67 A. [주체-객체-인식모델] 의 은폐기능 = 67 B. 말행위이론으로의 전환 = 69 C. 이론과 실천의 통합으로서 말놀이에의 구성적 참여 = 70 (2) 법인식의 해석학적 지평의 복원과 확대 = 72 A. 법률해석의 해석학적 구조와 논증의무 = 72 B. 마당적 이해와 해석학적 지평의 확대 = 73 C. 마당적 이해의 논증의무 = 75 (3) 법인식의 역사적 지평에서 대화이론적 합리성(근대성) 지향 = 76 A. 전근대적 법문화와 탈근대적인 법문화의 현상들 = 76 B. 이데올로기비판의 과제 = 77 C. 대화마당의 창출 = 78 D. 배움을 통한 진보 = 79 [3] 법과 한국어 = 80 Ⅰ. 법과 언어 = 80 Ⅱ. 기호론과 법 = 83 1. 근대법의 기호론적 이해 = 84 (1) 화용론에 대한 의미론과 구문론의 우위 = 84 A. 존재론적 의미론 = 84 B. 이상적 구문론 = 86 (2) 근대법의 문법적 성격 = 87 A. 권리의 자명성과 의미론적 명확성 = 87 B. 권리의 체계와 이상적인 구문론 = 89 2. 현대법의 기호론적 해석 = 90 (1) 법의 패러다임변화 = 91 (2) 문법적 구조의 해체 = 93 A. 권리의 의미론 해체 = 93 B. 권리의 구문론 해체 = 93 (3) 현대법의 화용론적 해석 = 95 A. 화용론적 전환 = 96 B. 현대법의 화용론적 해석 = 97 C. 현대법의 정당성기초 = 98 Ⅲ. 한국어와 기호론 = 101 1. 한국어와 유럽언어의 동질화 = 101 2. 한국어의 유럽언어에 대한 차별성 = 103 (1) 식민주의 = 104 (2) 비합리주의 = 106 A. 주체성의 약함 = 107 B. 구문론적 불확실성 = 110 C. 정서주의 = 113 (3) 맥락주의 = 115 Ⅳ. 바른 한국말과 올바른 법 = 118 1. 대화적으로 한국말을 함 = 118 (1) 상호주관성 = 118 A.주체성 = 118 B. 이중주어와 상호성(상호주관성) = 119 (2) 민주주의 = 121 2. 법실현에서 한국말의 '부정의 변증' = 123 [4] 법학방법론 = 126 Ⅰ. 법학방법론의 개념 = 126 Ⅱ. 법과 방법 = 128 1. 전통적인 법학방법론 = 128 2. 해석학적 법학방법론 = 130 3. 성찰적 법학방법론 = 132 Ⅲ. 법적 방법의 학문성 = 134 1. 문헌해석학적 방법 = 134 2. 정신과학적 법학 = 135 3. 사회과학적 법학 = 138 4. 학제적 법학방법론 = 141 Ⅳ. 법학공부방법론 = 143 1. 전통적인 공부방법론 = 143 2. 실천적 공부방법론 = 145 3. 대안적 법학공부방법 = 146 제2장 역사와 체계 [5] 법체계의 발전과 절차주의화 = 153 Ⅰ. 한국사회의 법제화 역사 = 153 1. 서구사회의 법제화모델의 수용 = 155 2. 한국사회에서 법제화 현상의 특수성 = 158 Ⅱ. 자유주의적 법모델 = 161 1. 근대법의 자유주의적 토대 = 161 (1) 자유주의 법모델의 시민상 = 161 (2) 국가의 소극적 임무 = 163 (3) 법질서의 중립성·형식성·외부성 = 163 2. 근대법의 형성 = 166 (1) 사법과 자유의 조직화 = 166 (2) 공법과 자유의 보호 = 167 3. 자유주의 법모델의 문제성 = 170 (1) 이론적 문제 = 170 (2) 실천적 문제 = 171 Ⅲ. 사회국가적 법모델 = 173 1. 도덕원칙의 지평확대 = 173 (1) 사회적 연대성과 사법의 실질법화 = 173 (2) 재화의 재분배 = 174 2. 사회국가적 법제화 = 177 (1) 재화의 창출과 분배 = 177 A. 국가의 기업화 = 177 B. 보편적 이익의 추구 = 178 (2) 체계의 기능 보호 = 182 A. 사회적 하부체계 = 182 B. 체계기능의 보호 = 184 C. 법의 패러다임변환 = 186 (3) 사회화 기능 = 187 3. 사회국가적 법모델의 문제점 = 189 Ⅳ. 절차주의적 법모델 = 191 1. 절차주의적 법모델의 기초 = 191 (1) 절차적 조정 = 191 (2) 반성적 구조 = 193 2. 절차주의적 법제화 = 193 (1) 이론의 불확실성과 현실의 미완성 = 193 (2) 절차주의의 방향 = 195 A. 기능맹목적 절차주의 = 195 B. 대화적 의사소통구조화 = 196 (3) 절차주의의 미래 = 198 [6] 전문법-이성의 지역화된 실천 = 200 Ⅰ. 현실 : 전문법의 성장 = 200 1. 전통적인 법체계 = 200 2. 구조적 변화 = 202 3. 전문법의 성장 = 204 Ⅱ. 이념 : 전문법의 형성 = 206 1. 법의 통일적 구조의 해체 = 206 2. 전문법의 규율영역 = 209 (1) 사회적 행위영역의 유형화 = 209 A. 일상영역 = 210 B. 과학기술적 일상영역 = 211 C. 기능적 행위영역 = 214 (2) 전문법의 관할영역 = 217 3. 전문법의 근본원칙 = 219 (1) 정의 개념의 변화 = 219 (2) 근본원칙의 세 가지 양상 = 222 Ⅲ. 규범 : 전문법의 구조 = 225 1. 전문법의 이중적 형식 = 225 (1) 판덱텐 시스템의 입법형식 = 225 (2) 사안중심적 입법형식 = 227 2. 해석적 조정과 통합적 작용 = 229 3. 전문법에서 기본법의 위치 = 231 (1) 기본법의 세 가지 기능 = 232 (2) 전문법의 중심으로서 기본법의 과제 = 236 Ⅳ. 정책 : 전문법의 미래 = 237 1. 전문법의 입법기술정책 = 237 (1) 입법중점의 변화 = 237 (2) 행위영역별 입법형식의 차별화 = 238 2. 법정책 = 240 (1) 전문법내의 세분화 = 240 (2) 법학의 변화 = 241 A. 문헌해석학적 정신과학으로서 법학 = 242 B. 법도그마틱의 해체적 재구성 = 243 C. 법학의 지역화(분권화와 전문화) = 243 3. 지역화된 이성법 = 244 제3장 사회와 정의 [7] 시민불복종운동-실정성과 정당성 사이에 = 251 Ⅰ. 문제화 = 251 1. 성찰의 빈곤 = 251 2. 성찰의 기획 = 256 Ⅱ. 논쟁화 = 257 1. 시민불복종운동의 법실증주의적 이해 = 258 (1) 권위와 절차속에 갇힌 정당성 = 258 (2) 정당성의 위기 = 259 2. 시민불복종운동의 자연법적 구성 = 260 (1) 자연법적 확실성의 믿음에 의해 해체된 합법성 = 261 A. 실정법과 불복종운동의 자연법적 이해 = 261 B. 실정법의 자연법적 단죄와 불복종운동의 정치적 정당화 = 262 C. 실정법의 정치적 평가와 불복종운동의 자연법적 정당화 = 263 (2) 합법성의 위기 = 264 A. 합법성의 재해석 = 264 B. 합법성의 자연법적 해체 = 265 Ⅲ. 이론화 = 268 1. 법인식패러다임의 변환 = 268 (1) '주체-객체'-모델 = 269 (2) 상호주관적 인식모델과 대화원칙 = 269 2. 민주적 법치국가의 구성요소 = 270 (1) 민주적 의사형성의 끊임없는 동적 과정 = 270 (2) 의사소통적 행위로서 시민불복종운동 = 272 A. 법체계에 내재해 있는 의사소통적 장애 = 272 B. 정상적 현상 = 273 (3) 정치세계와 법체계의 통합 = 274 Ⅳ. 개념화 = 275 1. 주체의 적격성으로서 시민성 = 276 (1) 시민성의 의미 = 276 (2) 조직성·자발성·이질적 구성 = 277 2. 비폭력성 = 278 (1) 형법적 폭력개념의 배제 = 278 (2) 개방적 법체계의 폭력개념 = 280 A. 폭력개념과 법체계의 부정합성 = 280 B. 개방적 법체계 = 282 (3) 생활세계적 폭력개념 = 282 A. 형법체계에 부정합적인 법적 개념의 예 = 283 B. 법체계에 부정합적인 폭력개념 = 284 3. 공공성 = 285 (1) 공개성 = 285 (2) 대화적 처벌감수자세 = 286 A. 역사적 맥락성 = 287 B. 대화적 처벌감수자세 = 287 (3) 공익성과 사익성 = 290 4. 비례성 = 291 (1) 보충성 = 292 (2) 균형성 = 293 A. 실정법의 침해이익과 불복종행위의 침해이익간의 균형성 = 293 B. 자연법적 사고와 이익형량의 오류 = 294 5. 정당화가능성 = 295 (1) 정치적·도덕적 확신 = 295 (2) 관용의 충분조건으로서 공론경쟁력 = 296 A. 의심스러울 때 시민의 자유 이익으로-원칙 = 296 B. 합의형성의 불확실성 = 297 C. 공론경쟁력 = 297 Ⅴ. 법제화 = 298 1. 사회역사적 맥락 = 299 (1) 사회역사적 맥락의 유형화 = 299 (2) 시민불복종의 유동적인 자리매김 = 301 (3) 시민불복종운동을 통한 민주적 법치국가의 발전 = 302 2. 법적 규율의 방향 = 303 (1) 법적 통제의 동적 상호작용체계 = 303 A. 시민불복종운동에 대한 법적 통제의 강도 유형 = 303 B. 역사적 지평에서 법적 통제유형의 동적 관련성 = 305 (2) 합법화하는 이론과 불법화하는 현실의 변증 = 308 A. 이론과 정반대의 현실 = 308 B. 정상화효과의 오류 = 308 C. 변증적 사고 = 309 (3) 한국사회에서 시민불복종운동의 법적 통제 = 310 [8] 생명공학법-공학화와 윤리화 사이에 = 312 Ⅰ. 생명공학의 발전-생명문화의 위기? = 312 1. 생명의 문화적 지평과 생명의 공학화 = 312 2. 생명문화의 식민지화 = 315 3. 생명문화의 재생산기획 = 317 Ⅱ. 생명문화의 네 가지 재생산 기획 = 318 1. 윤리주의 = 319 (1) 몸의 재신성화 = 319 (2) 합리화의 역류 = 322 2. 과학주의 = 324 (1) 자연지배를 통한 진보론 = 324 (2) 이성의 도구화와 인류의 위기 = 326 3. 규범주의 = 327 (1) 생명의 연속성과 자연성 = 327 (2) 윤리주의의 변형 = 329 4. 공리주의 = 332 (1) 공리적 유용성과 국민경제성 = 332 (2) 도덕적 지평의 거세 = 334 Ⅲ. 생명공학법의 정당성기초 = 336 1. 법적 합리성의 재구성 = 336 (1) 합리성의 정치적 연정과 그 한계 = 336 (2) 절차적 정당화 = 338 2. 생명공학적 대화 = 339 (1) 생활세계와 사회체계의 재해석 = 339 (2) 생명공학영역의 사회구성메커니즘 = 341 (3) 생명공학적 대화의 두 차원 = 342 3. 치료적 대화와 의료적 대화 = 344 (1) 치료적 대화의 응용 = 344 (2) 의료적 대화의 응용 = 345 Ⅳ. 대화적 생명공학법 = 346 1. 생명공학적 대화의 주체성 = 347 (1) 인간적 생명체의 자기결정 = 347 (2) 도덕적 진공과 주체복제의 주체성 = 350 (3) 주체성의 예외적인 처분가능성 = 353 A. 합법화된 '도덕으로부터의 자유' = 353 B. 생명도덕적 자유영역 = 354 (4) 주체성의 인격과 도덕 = 358 2. 생명공학적 행위규범의 대화적 재생산 = 359 (1) 생명공학적 대화의 체계적 지평 = 359 A. 대화의 체계적 구조 = 359 B. 생명윤리위원회 = 361 C. 주제 = 363 D. 정보의 대칭성 = 364 (2) 생명공학적 대화의 생활세계적 지평 = 365 3. 대화적 생명문화 = 366 (1) 생명문화의 해체적 재구성 = 367 (2) 배움을 통한 성숙 = 370 (3) 법의 반성적 구조 = 370 [9] 성찰적 법여성주의-성폭력범죄의 문제를 중심으로 = 373 Ⅰ. 여성주의의 재해석 = 373 1. 여성주의적 법개혁의 발전 = 373 2. 성찰적 법여성주의 = 375 (1) 성찰의 세 가지 지평 = 376 (2) 여성주의와 법모델 = 377 3. 잘못된 여성주의의 운동방향 = 378 (1) 여성주의의 신무기 : '형법' = 378 (2) 성찰이 아닌 전략 = 379 Ⅱ. 성적 구조의 형법 = 379 1. 판례의 성개념 = 380 (1) 성전환자의 성과 강간 = 380 (2) 생물적 여성개념에 의한 사회적 남성개념의 복원 = 380 2. 형법의 성불평등주의 = 381 (1) 생물적 성차이의 반영 = 381 (2) 사회적 성차이의 구조화 = 382 A. 부녀의 이데올로기 = 383 B. 남성성과 여성성의 불평등 = 383 Ⅲ. 성차별의 형법정책 = 384 1. 성폭력과 여성주의적 형법정책 = 384 (1) 성폭력특별법 = 385 (2) 여성에 대한 우선적 보호조치 = 387 2. 비판적 성찰 = 387 (1) 성이데올로기의 재생산 = 388 A. 정조윤리 = 388 B. 가문윤리 = 389 C. 약한 여성상의 이데올로기 = 390 D. 열등한 장애인상의 이데올로기 = 391 (2) 자유의 상실 = 392 A. 법적 자유 = 392 B. 형법문화 = 393 C. 여성편향적 이익형량 = 394 D. 법개념의 변질 = 395 Ⅳ. 법개혁의 방향 = 396 1. 성찰과 참여의 원칙 = 396 (1) 성에 대한 성찰의 공간 보장 = 396 (2) 형법의 규범적 맥락에 들어감 = 397 2. 성폭력형법개혁의 미래 쟁점들 = 398 (1) 갈등의 타율적 사회화 = 398 A. 친고죄전면폐지론 = 398 B. 남성주의적 여성상 = 399 C. 관점의 교환과 갈등의 자율적인 개인화 = 399 D. 과잉의 보편화 = 400 (2) 강간개념의 여성주의적 확장 = 401 A. 비동의간음죄의 신설론 = 401 B. 의사소통적 장애의 남성주의적 구조 = 402 C. 형법에 의한 의사소통적 방식의 변화 = 405 (3) 여성주의적 문화투쟁 = 407 A. 성희롱의 범죄화 = 407 B. 성희롱의 부정합성과 불명확성 = 407 C. 합리적 여성의 문화투쟁 = 408 D. 형법에 의한 일상문화의 변혁 = 409 색인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