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韓美 軍事 關係史 : 1871~2002

韓美 軍事 關係史 : 1871~2002 (Loan 2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남정옥
Title Statement
韓美 軍事 關係史 : 1871~2002 / 남정옥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國防部,   2002  
Physical Medium
857 p. : 삽화 ; 26 cm
ISBN
898976816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820-839)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807716
005 20160722110949
007 ta
008 030317s2002 ulka b 001c korGA
020 ▼a 89897681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73844 ▼f 개가
074 ▼k 11-1290472-000043-01
082 0 4 ▼a 355.031095190973 ▼2 21
085 ▼a 355.0310953 ▼2 DDCK
090 ▼a 355.0310953 ▼b 2002a
100 1 ▼a 남정옥 ▼0 AUTH(211009)56562
245 1 0 ▼a 韓美 軍事 關係史 : ▼b 1871~2002 / ▼d 남정옥
260 ▼a 서울 : ▼b 國防部, ▼c 2002
300 ▼a 857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820-839)과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10953 2002a Accession No. 1111738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10953 2002a Accession No. 5110300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발간사 = 1
서문 = 5
제1장 개화기 : 한미수호통상조약과 한·미군사 형성관계, 1871-1905 = 17
 제1절 개관 = 19
 제2절 한미 수교 이전 미국의 조선 진출 배경과 접촉 = 23
  1. 한미수교 이전 미국의 조선 진출 배경 = 23
  2. 미국의 강화도 원정 이전 한미간의 접촉 = 25
 제3절 미국 아시아 함대의 창설 배경과 포함(砲艦) 외교활동 = 29
  1. 미국 아시아 함대 창설 배경과 임무 = 29
  2. 미국 아시아 함대의 아시아 지역에서의 포함외교 활동 = 30
  3. 미국 아시아 함대의 조선 강화도 원정 = 33
 제4절 미국의 조선개항 노력과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 47
  1. 신미양요 이후 슈펠트의 조선개항 교섭 활동 = 47
  2. 조선책략과 연미론(聯美論)이 대미수교(對美修交)에 미친 영향 = 54
  3. 슈펠트 제독의 내한(來韓)과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 58
 제5절 조선의 대미 군사활동과 미국 군사교관의 활동 = 63
  1. 조선 정부의 미 군사고문단 파견 요청과 연무공원 설치 = 65
  2. 주미조선외교사절의 군사외교 활동과 군사 및 교육기관 시찰 = 68
  3. 미국 군사교관의 내한(來韓)과 조선에서의 대우 = 79
  4. 미국인 군사교관들의 조선에서의 군사 활동 = 92
 제6절 카쓰라 테프트 비밀 협정과 한미 외교관계 단절 = 96
제2장 일제침략기 : 한미군사합작과 한·미군사 협력관계, 1906-1945 = 103
 제1절 개관 = 105
 제2절 미주한인(美洲韓人) 군사지도자들의 군인양성 및 군사외교 = 109
  1. 19세기 한인들의 미주지역 이민과 독립운동 기반 조성 = 109
  2. 재미 한인지도자 및 단체의 군인양성 및 군사외교 활동 = 114
 제3절 한인과 미국 전략사무국(OSS)의 한미군사합작 배경 = 122
  1. 한인과 미 전략사무국(OSS)과의 한미군사합작 목적 = 122
 제4절 한국광복군과 미국 전략사무국(OSS)의 독수리 작전 = 127
  1.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중국 군사위원회와의 관계 = 128
  2. 한국광복군과 미 OSS의 독수리작전을 위한 한미합작훈련 = 136
  3. 한국광복군과 미 OSS의 국내정진을 위한 한미연합 군사작전 = 148
 제5절 미주한인과 미국 전략사무국(OSS)의 냅코(NAPKO) 작전 = 151
  1. 미국 전략사무국(OSS)의 냅코 작전 추진 배경과 계획 = 151
  2. 냅코작전에 참가한 한인 요원들의 훈련과 일본 패전 = 154
 제6절 북중국공산세력과 미국 전략사무국의 북중국 첩보작전 = 157
제3장 미 군정기 : 건군과 정부수립 이후 한·미군사 발전관계, 1945-1950 = 161
 제1절 개관 = 163
 제2절 일본의 패전과 남한 주둔 일본군 철수 = 165
  1. 일본 패전 당시 남한 주둔 일본군 현황 = 165
  2. 광복 이후 남한 주둔 일본군의 철수현황 = 172
 제3절 미국의 대일 점령계획과 미 제10군의 블랙리스트 계획 = 175
  1. 태평양 전쟁 말기 미군의 대일(對日) 점령계획과 한반도 = 175
  2. 미 제10군의 남한점령 임무인 '블랙리스트계획' 변경 = 180
 제4절 미 제24군단의 남한점령계획인 베이커 포티작전 = 182
  1. 미 제24군단의 남한 점령 임무인 베이커-포티작전 계획 = 182
  2. 미 제24군단의 베이커-포티작전 시행과 남한지역 점령 = 183
  3. 미 제24군단의 남한지역 점령 이후 활동 = 194
 제5절 미국의 대일 군정계획과 미 제24군단의 남한지역 군정 실시 = 201
  1. 미국의 대일(對日) 군정기구 설치와 군정계획 수립 = 201
  2. 태평양 전쟁기 미 군정요원의 양성과 배치 = 203
  3. 미 제10군의 남한 군정계획 수립과 군정책임부대 설치 = 205
  4. 미 제24군단의 남한지역 군정준비와 군정 실시 = 207
  5. 미군정기 방첩대(CIC)의 편성과 활동 = 232
  6.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미군정의 이양 = 235
 제6절 미군정기 국방군사기구 설치와 건군 활동 = 238
  1. 미군정청 내 국방담당 군사기구 설치 = 238
  2. 주한미군정청 국방사령부의 초기 창군 활동 = 244
  3. 뱀부계획과 조선국방경비대의 설치 및 증편 = 248
  4. 통위부의 설치배경과 본격적인 건군 활동 = 251
  5. 국군으로의 출범과 정부의 적정 병력규모 판단 = 254
 제7절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미국의 국군 증편과 주한미군 철수정책 = 256
  1. 정부수립 이후 미국의 국군 증편과 군사원조 = 256
  2. 주한미군 철수에 따른 미국의 대한(對韓) 군사조치 = 264
제4장 한국전쟁기 : 미국의 참전과 한·미 혈맹관계, 1950-1953 = 285
 제1절 개관 = 287
 제2절 미국의 한국전쟁 상황 접수와 전투부대 투입 결정과정 = 293
  1. 미국 국가안보기관의 전쟁 상황 접수 및 조치 = 293
  2. 미국 전쟁지도부의 지상군 투입결정 조치 = 300
 제3절 미국 전쟁지도부와 의회의 한국전쟁관련 조치사항 = 311
  1. 한국전쟁시 미국의 주요 국방기구 = 311
  2. 미국 대통령의 한국전쟁 관련 조치 내용 = 324
  3. 미 의회의 한국전쟁 입법조치와 군사개입 = 346
  4.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기능과 전시(戰時)정책 결정사항 = 349
  5. 미국의 한국전쟁 수행정책과 군사전략 = 378
 제4절 미국의 예비전력 동원과 전투부대의 한반도 전개 = 383
  1. 미 예비전력의 동원과 한반도 전개 = 383
  2. 미 육군부대(군·군단·사단)의 한반도 전개 = 390
  3. 미 해군부대의 한반도 전개 = 425
  4. 미 공군부대의 한반도 전개 = 433
  5. 미 해병대의 한반도 전개 = 440
 제5절 한국전쟁시 한·미연합전선 형성과 미국의 작전수행 = 444
  1. 한·미연합전선 형성과 한미합동 군사 조직 = 444
  2. 한국군 지휘권의 맥아더 장군 이양 = 463
  3. 미군이 수행한 주요 전투와 작전 = 472
  4. 한국전쟁시 미군의 피해 = 492
 제6절 미 군수지원 부대의 체계와 군수지원활동 = 498
  1. 한국전쟁 초기 미국의 군수지원 조치와 준비 = 498
  2. 미국의 군수지원 체계와 군수지원사령부의 활동 = 502
  3. 한국전쟁시 미국의 보급 및 수송 체계 = 507
 제7절 한국전쟁시 미군 첩보·정보부대의 활동 = 508
  1. 한국전쟁기 미 중앙정보국(CIA)의 활동 = 509
  2. 한국전쟁기 미 육군 방첩대(CIC)의 활동 = 514
  3. 미 극동군사령부의 특수작전부대 편성과 활동 = 516
제5장 정전체제기 : 한미군사 동맹관계와 한·미연합방위체제, 1954-2002 = 521
 제1절 개관 = 523
 제2절 정전체제하 유엔사의 역할과 군사정전위원회 활동 = 527
  1. 한국전쟁 정전협상과정과 정전협정 체결 = 527
  2. 정전협정 조인문의 구성과 내용 = 545
  3. 정전체제하 유엔군사령부의 역할 = 547
  4. 군사정전기구의 편성과 활동 = 551
 제3절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과 한미동맹관계 형성 = 564
  1.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배경과 과정 = 564
  2.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내용과 구성 = 567
  3.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군사동맹관계 형성 = 570
 제4절 한미안보협력체제 형성과 한미동맹관계 발전 = 572
  1. 한미안보협력체제의 법적 근거와 설치배경 = 572
  2. 한미연례안보협의회의(SCM)의 활동과 성과 = 573
  3. 한미군사위원회 회의(MCM)의 기능과 역할 = 583
 제5절 한미연합방위체제 형성과 상호동반자 관계 = 591
  1. 한미연합방위체제의 목적과 역할 = 591
  2.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창설과 역할 = 593
  3. 한미연합연습(韓美聯合練習)의 목적과 역할 = 616
  4. 전시 대비 한미군수지원체제 = 627
  5. 한국군의 역할 강화와 상호동반자관계로의 발전 = 630
 제6절 미국 군사전략의 변천과 주한미군의 어제와 오늘, 1945-2002년 = 647
  1. 미국의 군사전략의 변천과 한미군사관계 = 647
  2. 서울 용산(龍山)지역과 외국군 주둔 역사 = 667
  3. 주한미군 55년의 역사, 1945-2002년 = 672
부록 = 715
 1. 한·미 기본조약 및 협정 = 717
 2. 한미연례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서, 제1∼34차 = 737
 3. 한·미 군사관계 연표, 1871-2002년 = 810
참고문헌 = 820
찾아보기 = 84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Grossman, Dave (2023)
井上孝司 (2023)
日本経済新聞社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