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이더넷의 발전
1.1 ALOHA(1968-1972) = 18
1.2 최초의 제록스 이더넷 = 19
1.3 Dec, Intel, Xerox(DIX) 연합의 이더넷 표준화작업(1979-1983) = 20
1.4 3Com사의 이더넷(1980-1982) = 21
1.5 StarLAN(1984-1987) = 22
1.6 10Base-T 및 Netware(1986-1990) = 22
1.7 이더넷 스위치와 전이중 이더넷(1990-1994) = 23
1.8 고속 이더넷(1992-1995) = 24
1.9 기가비트 이더넷(1996-1998) = 25
1.10 10기가비트 이더넷(2000-2002) = 26
1.11 Ethernet PON(2001-2003) = 26
1.12 RPR(2002-2003) = 27
1.13 보안기술(802.1x) = 28
1.14 이더넷의 추가기능(∼2002) = 29
1.15 이더넷의 종류 = 32
제2장 10Base-n MAC
2.1 관련표준 = 36
2.2 CSMA/CD 동작 = 37
2.3 이더넷 프레임의 구조와 전송순서 = 39
2.4 MAC 프레임의 역다중화 = 46
2.5 CSMA/CD 파라미터 = 50
2.6 CSMA/CD MAC의 동작순서도 = 54
2.7 10Mbps 이더넷의 계층구조 = 57
2.8 맨체스터 부호(10Mbps) = 59
2.9 이더넷 카드의 구성 = 61
2.10 MAC 제어기의 기능 = 63
2.11 8390MAC 제어기의 구성 = 66
2.12 3C503 카드의 MAC 부분의 구성 = 71
제3장 10 Mbps PHY
3.1 관련표준 = 76
3.2 Physical Layer Signaling(PLS) 계층 = 78
3.3 PLS의 실제 = 79
3.4 Attachment Unit Interface(AUI) = 82
3.5 10Base5 Physical Medium Attachment(PMA) = 83
3.6 PMA의 상세 = 85
3.7 충돌감지 과정 = 89
3.8 Jabber/SQE Test 기능 = 91
3.9 10Base-T의 동작 = 94
3.10 10Base-T MDI = 96
3.11 10Base-T PMA 상세 = 97
3.12 10Base-T 허브 = 102
제4장 100Base-T 이더넷과 RS/MII
4.1 관련표준 = 106
4.2 개요 = 107
4.3 계층구조 = 109
4.4 100Base-T용 RS 및 NII의 기능 = 113
4.5 송수신 타이밍 = 115
4.6 PCS Encapsulation = 120
4.7 Reducde Media Independent Interface(RMII) = 121
4.8 MDIO/MDC의 기능 = 122
제5장 100Base-T4 PHY
5.1 관련표준 = 124
5.2 동작원리 = 125
5.3 100Base-T4 PCS(physical coding sublayer) = 128
5.4 PMA의 기능 = 134
5.5 MDI = 138
제6장 100Base-X PHY
6.1 관련표준 = 140
6.2 100Base-X의 개요 = 141
6.3 100Base-X의 계층구조 = 142
6.4 PCS계층 = 146
6.5 PMA = 150
6.6 100Base-X용 PMD 및 MDI = 154
6.7 100Base-TX용 PMD 및 MDI = 155
6.8 100Base-FX용 PMD 및 MDI = 161
6.9 100Base-X의 기능블록 = 162
6.10 FDDI(참고) = 163
제7장 100Base-T2 PHY
7.1 관련표준 = 167
7.2 개요 = 168
7.3 100Base-T2의 특징 = 169
7.4 100Base-T의 기능블럭 = 175
7.5 Loop 타이밍 = 182
7.6 계층구조 = 183
7.7 각 계층의 개요 = 184
7.8 PCS의 상세 = 186
7.9 PMA = 188
7.10 PHY Control 기능부 상세 = 163
7.11 PMA 서비스 인터페이스 프리미티브 = 195
7.12 MDI = 197
제8장 100Base-VG
8.1 IEEE802.12 100BASE-VG/AnyLAN 프로토콜 = 199
8.2 Encapsultation 방법 = 200
8.3 100Base-VG 송신부의 구성 = 200
8.4 Demand priority 프로토콜(DPP)의 동작 = 201
8.5 100Base-VG제품 = 203
제9장 기가비트 이더넷 MAC
9.1 관련표준 = 205
9.2 기가비트 이더넷의 개요 = 206
9.3 기가비트 이더넷의 고려사항 = 206
9.4 기가비트 이더넷의 종류 = 210
9.5 계층구조 = 211
9.6 기가비트 이더넷 MAC의 실제 = 214
9.7 RS/GMII = 216
9.8 송신타이밍 = 220
9.9 수신타이밍 = 225
제10장 1000Base-X PCS
10.1 관련표준 = 230
10.2 1000Base-X PHY의 개요 = 231
10.3 계층구조 = 233
10.4 8B10B 블록코딩 = 235
10.5 1000BASE-XPCS 계층의 구성 = 250
10.6 PCS의 기능 상세 = 255
10.7 PCS 수신부 = 258
제11장 1000Base-X PMD/PMA/MDI
11.1 관련표준 = 265
11.2 1000Base-X PMA = 266
11.3 1000Base-X PMA 프리미티브
11.4 PMA 타이밍 = 272
11.5 PMA 예 = 272
11.6 1000Base-X PMD = 274
11.7 MDI = 278
제12장 1000Base-T PHY
12.1 관련표준 = 280
12.2 개요 = 281
12.3 1000Base-T의 동작원리 = 283
12.4 1000Base-T의 기능블럭 = 289
12.5 루프 타이밍 = 297
12.6 Encapsulation = 298
12.7 1000Base-T의 계층구조 = 308
12.8 PHY계층의 개요 = 309
12.9 PCS의 상세 = 311
12.10 PMA = 316
12.11 PMA 서비스 프리미티브 = 325
12.12 MDI = 328
12.13 AUTOMATIC MDI CROSSOVER = 328
12.14 1000Base-T용 상용 칩들의 예 = 332
제13장 10기가비트 이더넷
13.1 관련표준 = 336
13.2 개요 = 337
13.3 10Gbps에서의 MAC 파라미터 = 338
13.4 10기가비트 이더넷의 종류 및 계층구조 = 339
13.5 10기가비트용 MAC = 343
13.6 Reconsilliation Sublayer(RS) = 345
13.7 XGMII = 347
13.8 XGSX/XAUI = 355
13.9 10Gbase-X PCS/PMA = 359
13.10 10Gbase-X PCS의 기능상세 = 362
13.11 10Gbase-X용 PMA = 371
13.12 10Gbase-LX4 PMD = 374
13.13 10Gbase-R/W PCS = 376
13.14 10Gbase-W용 WIS = 382
13.15 10Gbase-R/W용 PMA = 387
13.16 10Gbase-R/W용 PMD = 390
13.17 10Gbase-X/R/W용 통합 PMD(XENPAK) = 391
13.18 10기가비트 이더넷용 MDIO/MDC = 391
제14장 Auto-Negotiation/PHY Management
14.1 관련표준 = 393
14.2 개요 = 394
14.3 Station Management(STA)와 기본 매니지먼트 레지스터 = 395
14.4 Highest common denominator(HCD) = 401
14.5 NLP, FLP, LCW, Base Page = 402
14.6 Auto-Negotiation의 절차 = 406
14.7 AN의 예 = 407
14.8 Parallel Detection 기능 = 409
14.9 확장된 매니지먼트 레지스터 = 410
14.10 AN 계층구조 = 421
14.11 100Base-X의 AN 상세 = 422
14.12 Next Page = 423
14.13 100Base-T2의 AN = 429
14.14 1000Base-T의 AN 상세 = 430
14.15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절차 = 434
14.16 1000Base-X의 AN = 437
14.17 AN용 서비스 프리미티브 = 444
14.18 10기가비트 이더넷용 MDIO/MDC = 446
제15장 MAC Control 계층과 Ethernet Flow Control
15.1 관련표준 = 451
15.2 개요 = 452
15.3 MAC control 계층의 구조 = 453
15.4 MAC control 프레임의 형식 = 454
15.5 이더넷의 흐름제어 = 455
15.6 반이중 이더넷에서의 흐름제어 = 456
15.7 전이중 이더넷에서의 흐름제어 = 457
15.8 PAUSE 프레임의 형식 = 458
15.9 PAUSE를 사용하는 경우의 고려사항 = 459
15.10 Flow control symmetry = 461
제16장 Link Aggregation
16.1 관련표준 = 464
16.2 개요 = 464
16.3 LA에서의 고려사항 = 465
16.4 망 토폴로지에 따른 분배 알고리듬의 종류 = 472
16.5 Link Aggregation 계층의 구조 = 474
16.6 Link Aggregation 기능부의 구성 = 475
16.7 LA의 원칙 = 478
16.8 LA Control 기능부의 구성요소와 역할 = 478
16.9 LA Control 기능부의 동작절차 = 483
16.10 LA 기능부의 상태천이도 = 486
16.11 LACP = 492
16.12 LACP 프레임의 형식 = 493
16.13 LACP의 구성요소 및 동작절차 = 497
16.14 동작 예 = 505
16.15 Marker 프로토콜 = 509
16.16 Marker 프레임의 형식 = 511
16.17 리눅스용 Link Aggregation 패키지 = 512
제17장 Prioritized Ethernet
17.1 관련표준 = 518
17.2 개요 = 518
17.3 이더넷에서의 우선순위 제공방법 = 518
17.4 Prioiry Tagged 프레임의 형식 = 520
17.5 우선순위를 지원하는 스위치의 구조 = 521
제18장 Port-based Network Access Control(802.1x)
18.1 관련표준 = 526
18.2 개요 = 526
18.3 IEEE802.1X 시스템의 구성요소 = 527
18.4 포트레벨의 보안기술 = 529
18.5 802.1x의 프로토콜 동작 = 533
18.6 802.1x의 시스템 역할 및 기본동작 = 537
18.7 802.1x의 프로토콜 동작 = 539
18.8 상태천이도의 타이머 및 변수정의 = 543
18.9 Authenticator의 상태천이도 = 545
18.10 Backend authenticator의 상태천이도 = 550
18.11 Supplicant의 상태천이도 = 554
18.12 RADIUS(참고) = 559
18.13 802.1x의 프로토콜 동작 실행과정 예 = 563
제19장 리피터
19.1 관련표준 = 569
19.2 리피터의 기본동작 = 570
19.3 10Base-5 방식의 10Mbps 리피터 = 573
19.4 10Base-T 리피터 = 574
19.5 10Mbps 리피터의 동작절차 상세 = 578
19.6 100Mbps 리피터 = 582
19.7 100Mbps 리피터의 구분(class-Ⅰ, -Ⅱ) = 584
19.8 100Base-TX 리피터의 상태천이도 = 587
19.9 1000Mbps 리피터 = 595
19.10 Full-duplex 리피터(FDR) = 596
19.11 10Mpbs 리피터의 예 = 596
19.12 100Mbps 리피터의 예1 = 597
19.13 100Mbps 리피터의 예2 = 599
19.14 Stackable 허브 = 599
제20장 브리지
20.1 관련표준 = 602
20.2 브리지의 개요 = 603
20.3 브리지의 기본동작 과정 = 606
20.4 스패닝 트리 알고리듬의 필요성 = 608
20.5 브리지 동작 상세 = 610
20.6 브리지의 계층구조 = 611
20.7 MAC Relay 기능부의 상세 = 616
20.8 브리지 관련주소 및 식별자 = 623
20.9 스패닝 트리 알고리듬의 기본개념 = 626
20.10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형식 = 631
20.11 브리지/포트 파라미터와 타이머 및 최대허용 값 = 635
20.12 STP의 동작절차 = 639
20.13 포트상태 = 650
20.14 Topology Change 이벤트에 대한 처리동작 = 652
20.15 브리지의 성능 = 657
20.16 브리지의 주소 테이블 구현 방법 = 659
20.17 원격 브리지(Remote Bridge) = 662
20.18 LAn 스위치 = 664
20.19 브리지의 구현 예 = 666
20.20 리눅스 브리지 모듈 = 669
제21장 802.1Q/VLAN
21.1 관련표준 = 681
21.2 개요 = 681
21.3 VLAN Association 방법 = 681
21.4 다중 스위치들간 VLAN 그룹정보의 전달 = 686
21.5 Inter-VLAN = 687
21.6 802.1Q 태그 프레임의 형식 = 688
21.7 VLAN 망에서의 스패닝 트리 = 691
21.8 802.1Q Filtering Database(FDB) = 692
21.9 Asymmetric/Overlapped/Multi-netted VLANs = 694
21.10 vLAN 링크의 종류 = 696
21.11 일반 브리지와 VLAN 브리지가 연결된 경우의 문제점 = 697
21.12 802.1Q VLAN의 기본기능 = 699
21.13 VLAN 브리지의 기본구조 = 700
21.14 VLAN 브리지의 기본동작 = 703
21.15 필터링 데이터베이스(FDB) = 707
21.16 vLAN 브리지의 계층 인터페이스 = 708
21.17 VLAN 토폴로지 관리 = 710
21.18 GARP VLAN Registration Protocol(GVRP) = 713
21.19 GVRP 프레임 형식 = 717
21.20 VLAN 환경에서의 멀티캐스트 지원 = 718
21.21 기타 VLAN 프로토콜 = 719
21.22 InterVLAN 실험 = 724
제22장 Wake-On-LAN
22.1 관련문서 = 732
22.2 개요 = 732
22.3 WOL 기능부의 구성 = 732
22.4 WOL용 매직패킷 = 733
22.5 WOL 지원 MAC 제어기 = 733
22.6 WOL 매니저용 프로그램 = 734
22.7 시험 = 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