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9namcc2200205 c 4500 | |
001 | 000000806833 | |
005 | 20111107162514 | |
007 | ta | |
008 | 030310s2002 ulkj 000c kor | |
020 | ▼a 8948309773 ▼g 936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0 | ▼l 111235373 ▼l 111235374 |
082 | 0 4 | ▼a 780.9519 ▼2 22 |
085 | ▼a 780.953 ▼2 DDCK | |
090 | ▼a 780.953 ▼b 2002c ▼c 2 | |
100 | 1 | ▼a 김형주 ▼0 AUTH(211009)77351 |
245 | 1 0 | ▼a 김형주 음악평론전집 : ▼b 시사평론편, 연주평론편. ▼n 2 / ▼d 김형주 글 |
260 | ▼a 서울 : ▼b 현대음악출판사, ▼c 2002 | |
300 | ▼a 399 p. : ▼b 연표 ; ▼c 23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0c 2 | Accession No. 1112353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0c 2 | Accession No. 1112353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형주(지은이)
1925년 전남 순천 출생. 호는 송암松岩. 작곡가. 음악평론가. 1942년 순천공립농업학교(현 순천대학교 전신), 1949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했다. 작곡집으로 《추도》(가곡집, 현대음악출판사, 1975), 《김형주 동요 작곡집》(세광음악, 1980), 《김형주 피아노작품집》(재순악보, 1994), 피아노모음곡 《고귀한 초상》(재순악보, 1994) 등이 있다. 음반은 《김형주 가곡집》(1989), 《김형주 피아노작품집》(1989)이 출반되었다. 저서로 《명곡해설전서》(현대음악,1962), 《전통화성학》(현대음악, 1975), 《세계대작곡가》(현대음악, 1977), 《협주곡 역사와 명곡》(현대음악, 1982), 《음악감상법》(세광음악, 1963), 《한국가곡》(성음사, 1975), 《전통화성학》(현대음악, 1975), 《레코드 명곡해설 전집》(현대음악, 1976), 《방송음악회》(삼호음악, 1989), 《음악에 얽힌 희한한 이야기》(1995), 《김형주 음악평론》(현대음악, 2005) 전집이 있다. 2012년 현재, 한국국민악회 회장, 한국음악평론가협의회 회장, 한국작곡가회 명예회장, 한국음악저작권협회평의회 의장. 한국가곡학회 고문, 한국기타협회 고문, 음악박물관건립추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Volume. 2]---------- 목차 시사평론편 연주에 있어서의 주관과 객관 = 13 민족주의 음악과 시벨리우스 = 16 잃어가는 청중 -교향악단의 위기- = 19 영필하모니오케스트라 창립을 보고 -아쉬운 창의적 활동- = 21 1965년 문화계-음악-궤도에 오른오페라- = 23 한일 음악교류의 문제점 = 25 재고해야 할 교향악단 운영 = 28 국립오페라단의 '춘향전'과 예그린악단의 '살짜기 옵서예' = 30 베를린 도이치 오페라단 '피가로의 결혼' 공연 = 33 서울음대의 오페라 '카르멘'을 보고 = 36 서울음악제 총평 = 39 70년대의 음악 = 41 국제적 음악활동의 의의 = 45 제2회 서울음악제를 보고 -기구운영의 재검토- = 49 오페라 '아이다' 공연 = 53 제2회 서울음악제 = 55 현제명 박사 추모연주회 = 57 회고와 전망 -1970년 악단 동향과 개관- = 58 지휘자의 문제 = 64 외르크 데무스 피아노 독주회 = 66 피아노 음악 정착의 가능성 = 67 베토벤 음악제 = 71 창악회 작품 발표회 = 73 고향악단과 지휘자 = 74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76 중진들의 연주활동 = 78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 80 관악운동의 부재 속에서 = 87 오페라 '원효대사' 초연 = 91 윤기선 귀국 독주회 = 93 한국 음악지의 발자취 = 94 런던 교향악단 내한연주 = 100 이유선 독창회 = 102 뉴욕필하모닉오케스트라의 새 지휘자 = 103 상반기의 악단 = 105 연주가와 평론가 = 107 세계의 국제음악제 = 112 박민종 귀국 연주회 = 114 국제 현대음악제 = 115 두 개의 외래연주 = 116 정명화 국제 콩쿠르 수석입상 = 117 제3회 서울음악제 = 118 오페라 '사랑의 묘약' 공연 = 120 회고와 전망 = 121 음악활동은 역사적 창조의식에서 -젊은 신인들에게 보내는 말- = 125 1971년 한국악단의 회고 = 129 국향의 '제9' 연주 = 135 황병덕 귀국 독창회 = 137 정희석 관현악보 출판 = 138 연주평론편 베티 알렌 독창회 = 141 한동일 피아노 독주회 = 141 제3회 국제음악제(1) = 142 제3회 국제음악제(2) = 144 피바디대학 합창단 연주회 = 145 국립오페라단 '루치아' 공연 = 146 유태열 독창회 = 147 벌 세놉스키 바이올린 독주회 = 148 죠섭 불록흐 피아노 독주회 = 149 국립오페라단 '토스카' 공연 = 150 장미영 피아노 독주회 = 151 소프라노 손윤열 독창회 = 152 심인섭(沈仁攝) 피아노 독주회 = 153 소프라노 박노경 독창회 = 153 전봉초 첼로 독주회 = 154 런던교향악단 연주회 = 155 바리톤 조상현 독창회 = 157 오라토리오합창단 연주회 = 158 한정강 귀국 피아노 독주회 = 159 메시아 합동 연주회 = 160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61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62 스렌친스카 피아노 독주회 = 163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65 베렌트 기타 독주회 = 166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67 테너 임만섭 독창회 = 168 서울시립어린이합창단 창단연주회 = 169 이춘성 독창회 = 170 박지혜 귀국 피아노 독주회 = 171 서울브라스앙상블 창단연주회 = 172 양해엽 바이올린 독주회 = 174 서울시립 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75 김대진 독창회 = 176 국립오페라단 '라 보엠' 공연 = 177 중앙여중고심포니오케스트라 정기 연주회 = 178 '현대음악' 발표회 = 180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81 코리아목관5중주단 연주회 = 182 강동석 바이올린 독주회 = 183 정희석 지휘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84 아더 피들러 지휘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85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87 원경수 지휘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188 이소벨 벨리 독창회 = 189 피아노 협주곡의 밤 = 190 김옥자 귀국 독창회 = 191 정진우·임춘원·양재표 트리오 연주회 = 192 오태균 지휘 영필하모니오케스트라 연주회 = 193 슈트로스, 슈토이러 연주회 = 194 국립오페라단 '아이다' 공연 = 195 서울시립교향악단 제122회 정기연주회 = 197 고려오페라단 '춘향전' 공연 = 198 한국오라토리오합창단 창단 20주년 기념연주회 = 199 이상춘 독창회 = 200 정명숙 피아노 독주회 = 201 한미 현대음악의 밤 = 202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203 강상복 독창회 = 203 이인범 테너 독창회 = 204 전봉초 첼로 독주회 = 204 신인 국악 연주회 = 205 곽미정 지휘 교향악의 밤 = 206 지그몬디 바이올린 독주회 = 207 안 샤인 피아노 독주회 = 208 김동진 가곡발표회 = 209 제16호 신인음악회 총평 = 210 레즈리 라이트 피아노 독주회 = 214 서울시립교향악단 제129회 정기연주회 = 215 백병동 작품 연주회 = 216 서울시립교향악단 제130회 정기연주회 = 217 루빈스타인 피아노 독주회 = 218 옥인걸 귀국 독창회 = 219 양천종 독창회 = 220 한나 피아라 고슈 독창회 = 221 정명화·정경화 자매 귀국 연주회 = 223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224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225 아사히나 다까시(朝比奈 隆) 지휘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226 헬무트 롤로프 피아노 독주회 = 227 루지에로 리치 바이올린 독주회 = 227 서울바로크합주단 연주회 = 228 국립오페라단 '춘향전' 공연 = 229 박재열 작곡발표회 = 230 베를린도이치오페라단 내한공연 = 231 조상현 바리톤 독주회 = 232 서울음대·일본 오사카 음대 합동연주회 = 233 곽은수 피아노 독주회 = 234 김호성 귀국 독창회 = 234 김순열 피아노 독주회 = 235 김춘선 피아노 독주회 = 236 김혜자 귀국 피아노 독주회 = 237 서울현악4중주단 연주회 = 238 김금환 독창회 = 239 서울심포니에타 연주회 = 240 미야자와 아키꼬 피아노 연주회 = 241 한국 교향취주악단 정기연주회 = 242 김자경오페라단 '토스카' 공연 = 243 국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244 송진혁 독창회 = 245 이상춘 독창회 = 246 김자경오페라단 '나비부인' 공연 = 247 김대진 독창회 = 250 정경화 트리오 연주회 = 251 국립오페라단 '라 보엠' 공연 = 252 황은영 귀국 피아노 연주회 = 253 김기순 플루트 독주회 = 255 서울시립교향악단 제160회 정기연주회 = 256 대한오페라단 창립공연 '카르멘' = 258 베를린아마티앙상블 연주회 = 259 창악회 작품발표회 = 261 이영조 작곡발표회 = 263 정희석 바이올린 소나타의 밤 = 264 임옥빈 피아노 독주회 = 265 신봉애 피아노 독주회 = 265 박혜수 바이올린 협주곡의 밤 = 266 이영인 피아노 독주회 = 266 황은영 피아노 독주회 = 267 베토벤음악제 제8회 연주회 = 267 서울음악제 작품평 = 268 이명학 피아노 독주회 = 271 이순희 독창회 = 272 강영희 플루트 독주회 = 273 문초자 피아노 독주회 = 273 김생려 지휘 서울시립교향악단 연주회 = 274 국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275 한성석 작품 발표회 = 276 김복희 독창회 = 277 김옥자 독창회 = 278 김성애 독창회 = 279 이남주 피아노 독주회 = 279 창악회 작품발표회 = 280 헬렌 꽈 지휘 국립교향악단 연주회 = 282 정영모 독창회 = 284 한동일 귀국 피아노 독주회 = 284 심포닉 재즈의 밤 = 285 시온합창단 합창제 = 287 페트로시앙 피아노 독주회 = 288 이동희 독창회 = 289 서울시립교향악단 연주회 = 290 권영숙 작곡 발표회 = 291 김혜경 독창회 = 292 단명진 독창회 = 293 페라 바이올린 독주회 = 294 윤기선 피아노 독주회 = 295 박지수 피아노 독주회 = 296 미셀마르강현악4중주단 연주회 = 297 김은경 귀국 독창회 = 298 월터 하우직 피아노 협주곡의 밤 = 299 런던교향악단 연주회 = 299 켄트너 피아노 독주회 = 301 전봉초 고전소나타의 밤 = 301 이유선 독창회 = 302 이성균 피아노 독주회 = 303 레지느 크레스팽 독창회 = 304 최준상 바이올린 독주회 = 305 김창환·노신옥 소나타 아벤트 = 306 이영애 독창회 = 307 원용성 첼로 독주회 = 308 한국남성합창단 연주회 = 309 신계휴·유정희 2인음악회 = 310 창악회 작곡발표회 = 311 서울시립교향악단 제170회 정기연주회 = 312 스테파노 독창회 = 313 베렌트 기타 독주회 = 315 곽은수 오르간 독주회 = 316 육현주 초청 음악회 = 317 박민종 귀국 바이올린 독주회 = 318 아이작 스턴 트리오 연주회 = 319 후고 시토이러 피아노 협주곡의 밤 = 320 김석 귀국 피아노 독주회 = 321 김자경 오페라단 '사랑의 묘약' 공연 = 323 바로크합주단 정기연주회 = 324 국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326 박승유 고별 독창회 = 327 프랑코 코렐리 독창회 = 328 국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329 박지혜 피아노 독주회 = 331 왕경화 피아노 독주회 = 332 차재균 첼로 독주회 = 333 황병덕 귀국 독창회 = 334 국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 335 조남희 독창회 = 337 유리 부코프 피아노 독주회 = 338 박로경 독창회 = 339 김자경오페라단 '나비부인' 공연 = 341 김옥현 피아노 독주회 = 343 팜부크장 피아노 독주회 = 345 이경숙 독창회 = 346 박재훈 작곡 창작오페라 '에스더' 공연 = 347 정진우 피아노 독주회 = 349 이순희 독창회 = 350 이정희 독창회 = 351 이기원 피아노 독주회 = 352 이수철 바이올린 소나타의 밤 = 353 이와사키 고 첼로 연주회 = 354 숭의여전 글라클럽 합창 연주회 = 355 김정규 피아노 독주회 = 356 이종국 독창회 = 357 국립교향악단 제111회 정기연주회 = 358 신인철 독창회 = 359 한경진 독창회 = 360 조상현 독창회 = 361 안형일 독창회 = 362 김인완, 이길자 귀국 발표회 = 362 박세선 첼로 독주회 = 364 김영호 피아노 독주회 = 365 오현명 독일가곡의 밤 = 366 죠르쥬 산도르 피아노 독주회 = 367 장인정 피아노 독주회 = 368 어거스틴 아니버스 피아노 독주회 = 369 조길자 독창회 = 370 박미애 귀국 피아노 독주회 = 371 유순희 피아노 독주회 = 372 알렉장드르 마넹 플루트 연주회 = 373 아마데우스 현악4중주단 연주회 = 374 신영자 귀국 독창회 = 375 저자 김형주 연보 = 376 [Volume.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