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사랑의 기술 / 2판 (Loan 50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Fromm, Erich, 1900-1980 황문수, 역
Title Statement
사랑의 기술 / 에리히 프롬 ; 황문수 옮김
판사항
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문예출판사,   2000  
Physical Medium
214 p. ; 23 cm
Varied Title
The art of loving
ISBN
8931001142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806676
005 20211110131434
007 ta
008 030307s2000 ulk 000c kor
020 ▼a 8931001142 ▼g 03180
040 ▼a 211009 ▼d 211009 ▼c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31012399 ▼f 의학 ▼l 121078019 ▼f 과학 ▼l 121078020 ▼f 과학 ▼l 111284654 ▼1 11284655
082 0 4 ▼a 152.41 ▼2 21
085 ▼a 152.41 ▼2 DDCK
090 ▼a 152.41 ▼b 2000a
100 1 ▼a Fromm, Erich, ▼d 1900-1980 ▼0 AUTH(211009)113330
245 1 0 ▼a 사랑의 기술 / ▼d 에리히 프롬 ; ▼e 황문수 옮김
246 1 9 ▼a The art of loving
246 3 9 ▼a Art of loving
250 ▼a 2판
260 ▼a 서울 : ▼b 문예출판사, ▼c 2000
300 ▼a 214 p. ; ▼c 23 cm
700 1 ▼a 황문수, ▼e
900 1 0 ▼a 프롬, 에리히,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2.41 2000a Accession No. 1210780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2.41 2000a Accession No. 12107802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18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1/ Call Number 152.41 2000a Accession No. 13101239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0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2.41 2000a Accession No. 1210780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2.41 2000a Accession No. 12107802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18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1/ Call Number 152.41 2000a Accession No. 131012399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04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사랑의 본질을 분석하고 사랑에 대한 기술을 논의한 책. 인류의 영원한 화두인 '사랑'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보여주는 저작으로, 1956년 처음 발표되어 고전으로 자리잡았다. 출간 5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출간된 기념판에는 프롬의 마지막 조수를 지낸 라이너 풍크 박사의 후기가 실려 있다.

사회철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인 에리히 프롬은 사랑을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자연적 현상으로 보지 않고, 기술적 문제라는 측면에서 접근한다. 사랑은 빠지는 것이 아니라 행하는 것,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단순히 강렬한 감정만이 아니라, 결의이고 판단이며 약속이라는 것이다.

<사랑의 기술>에는 에리히 프롬이 <자유로부터의 도피>, <자립적 인간>, <건전한 사회> 등의 이전 저작들에서 밝힌 사상, 그리고 그것을 넘어선 또 다른 사상이 제시된다. 그리고 이것들은 사랑의 기술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집중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

50주년 기념판에 수록된 풍크의 글은 에리히 프롬의 생애를 다루면서 프롬 자신은 과연 어떻게 사랑했는지, 자신의 저서 <사랑의 기술>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실천하면서 살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진정한 사랑을 원하는 젊은이들의 필독서!

성숙한 사랑을 꿈꾸는 모든 이들의 필독서로 우리 시대의 대표적 스테디셀러이자 현대의 고전 가운데 하나. 이 책은 34개 언어로 번역되었고, 판매부수만 최소 250만 부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권의 책으로 폭넓은 토론이 시작될 수는 있지만, 그런 책들이 저자보다 오래 살아남는 경우는 드물다. 《사랑의 기술》은 이와 같이 드문 경우에 속하는 현대의 고전이다. 그러나 《사랑의 기술》의 성공담을 이 책의 내용만으로 설명하는 것은 과연 충분할까. 풍크 박사에 따르면 그렇지 않다. 그것은 프롬 자신의 사랑에 대한 경험이 독자들에게 어떤 감응을 일으키기 때문이고, 그렇게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무엇인가가 규명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풍크 박사는 프롬의 조수로 있으면서 나누었던 사적인 대화에서 프롬이 상대에게 주의와 관심을 기울이고 그를 대신하여 직접 질문을 던짐으로써 직접성과 친밀성을 형성했다는 사실을 경험했다. 그러한 시선과 질문은 곧 《사랑의 기술》에서 말하는 ‘인식’에의 소망이다. 인식에의 소망이 감지되는 질문은 자신이 인식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해받았다고 느끼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이 프롬의 심리치료 활동의 특수성이자 그의 사랑의 능력을 특징짓는 점이다. 그렇다면 프롬의 그렇게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프롬의 생애를 볼 필요가 있다.

프롬은 어렸을 때 아버지에게 다정한 애정과 불안한 배려를, 어머니에게서는 과도한 이상화로 말미암은 강한 자신감과 자의식을 형성한다. 프롬이 탈무드 학자가 되길 바랐던 소심한 성격의 아버지에게서 벗어나는 것은 쉬웠는데, 내면의 아버지 상에서 벗어나는 데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큰 영향을 끼쳤다. 부성애의 억압에서 해방된 프롬은 비로소 고유의 창의력과 사랑의 능력을 발전시켰다. 가령 1930년대 초에 (아도르노보다 훨씬 전인) 이미 권위주의적 성격에 대한 이론을 완성했는가 하면 프로이트의 충동 이론을 비판했다.

반면 그를 이상화하고 그에게 집착하는 모성애를 벗어 던지는 데는 오랜 시간과 고통이 필요했다. 열한 살 연상인 정신과 의사인 프리다와 치료상의 감정 전이적 사랑으로 결혼했지만 파국 이후, 헤어짐을 인정하려 들지 않는 과정을 겪으면서 프롬은 결핵을 앓았다. 그 후 열다섯 살 연상인 경쟁적인 정신분석가 카렌 호니와의 연애는 과격한 다툼 끝에 파국을 맞았다. 《자유로부터의 도피》가 출간된 후 미국에서 자리를 잡은 프롬은 동갑인 헤니 구어란트와 행복한 결혼 생활을 시작했지만 헤니의 발병으로 함께 투병생활에 들어갔다. 프롬은 자신의 생활 전부를 그녀를 보살피는 데 바쳤다. 그러나 헤니는 결국 사망했다. 이렇게 프롬의 사랑을 찾으려는 시도는 실패와 무력감, 고독만을 남겨주었고, 그 과정은 감탄하는 모성애에 정위되었던 자아상에서 탈피하는 과정이었으며 특히 헤니의 죽음은 프롬 자신의 한계와 실패를 인정하게 만들었다.

몇 달 후 프롬은 그때까지 사귀었던 어떤 여자와도 다른 애니스라는 새로운 미국 여성을 만나 미국 정치 및 군비축소운동, 평화운동과 관련된 활동을 함께 해나간다. 헤니와의 무력한 이별과 애니스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사랑이 비로소 프롬으로 하여금 어린아이의 애착에서 벗어난 사랑의 능력을 발견하게 했으며 사랑하는 능력의 실천과 사랑의 이론이 일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아주었다. 《사랑의 기술》이 1956년에 처음 출간된 이후 프롬은 애니스와 사랑하며 결합되어 있었던 27년 동안(1953년에 결혼했다) 그의 사랑 이론을 한층 더 발전시켰다.

프롬은 《사랑의 기술》을 출간한 이후에 두 가지 사건으로 흔들렸다. 하나는 아내 애니스가 유방암에 결려, 암을 남몰래 삶을 위협하는 역학을 따르는 병으로 인식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당시 첨예화하는 냉전과 핵군비 증강이었다. 특히 1960년대 초 쿠바 사태는 프롬이 갖고 있는 인간의 일차적 사랑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뒤흔들어놓았다. 그의 절망은 당시에 쓴 편지에 잘 드러난다. “인류 다수가 삶을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전쟁의 위험에 그토록 수동적이라는 생각이 갑작스레 떠올랐고 그 점을 느꼈습니다.”나치로부터 달아난 프롬은 이제 핵전쟁에서 도피해야 하는 상황을 맞았다. 그러나 핵전쟁의 오염을 전이하는 암세포처럼 인식한 프롬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랑의 능력의 집단적 상실에 대한 저항에 나섰다.

프롬이 1967년 미국 잡지 《맥콜스》에 기고한‘우리가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라는 글은 인간의 사랑하는 능력을 삶을 사랑하고 살아 있는 것에 이끌리는 특수한 능력(Biophilia)으로 입증하려는 노력이 잘 드러나 있다. “삶이 본질상 성장 과정이고, 완전해지는 과정이며, 통제와 폭력 수단으로는 사랑받을 수 없다면 삶에 대한 사랑은 모든 종류의 사랑의 핵심이다. 사랑은 인간, 동물, 식물 안의 생명에 대한 사랑이다. 삶에 대한 사랑은 추상적인 것과는 아주 거리가 멀고, 모든 종류의 사랑에 포함되어 있는 아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핵심이다. 자기가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삶을 사랑하지 않는 자는 타인을 욕망하고 원하고 집착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사랑이 아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에리히 프롬(지은이)

사회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사회심리학이라는 새로운 장을 열었다. 자본주의사회에서 현대인이 소외당하는 이유를 파헤치고, 인간 내면의 진정한 해방과 사회 변혁을 동시에 추구하는 인본주의적 공동체를 꿈꿨다. 자유 대신 복종을 선택하며 나치를 탄생시킨 독일인의 심리를 분석하고, 베트남전쟁과 핵무기 확산에 반대하는 평화운동에 앞장섰으며, 소비주의에 빠진 미국 사회를 비판하는 등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 실천적 학자다. 1900년 프랑크푸르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해 철학 박 사학위를 받았고, 졸업 후에는 베를린 정신분석연구소 등을 거치며 정신분석학을 공부했다. 1930년대에는 호르크하이머가 소장으로 있는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에서 일하며 본격적으로 사회심리학을 연구했다. 나치가 집권하자 1934년 미국으로 망명해 컬럼비아대학교에 재직하다가 1946년부터 윌리엄 앨런슨 화이트 연구소에서 정신분석학자로 일했다. 이후 멕시코국립대학교, 미시간주립대학교, 뉴욕대학교 등에서 정신분석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74년에 스위스로 이주해 살다가 1980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소유냐 존재냐To Have or to Be?》 《자유로부터의 도피Escape from Freedom》 외에 수많은 저서를 남겼다.

황문수(옮긴이)

고려대학교 문리대 철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 고려대, 한양대 강사. 경희대학교 문리대 교수 역임. 저서로 《고균(古均) 김옥균》 《동학운동의 이해》가 있으며, 역서로 《오이디푸스 왕》 외 《유토피아》 《이성과 실천》 《역사란 무엇인가》 《철학 이야기》 《실존철학》 《역사철학》 《독일국민에게 고함》 《행복의 정복》 등 다수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Ⅰ. 사랑은 기술인가 = 11
Ⅱ. 사랑의 이론 = 21
 1. 사랑, 인간의 실존문제에 대한 해답 = 23
 2. 어버이와 자식사이의 사랑 = 59
 3. 사랑의 대상 = 69
  형제애 = 70
  모성애 = 73
  성애 = 77
  자기애 = 82
  신에 대한 사랑 = 89
Ⅲ. 현대 서양사회에서의 사랑의 붕괴 = 113
Ⅳ. 사랑의 실천 = 141
(해설) 현대의 인간과 소외 = 175
옮긴이의 말 = 20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