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 3
1부 역사의 주체로서 민중과 해방전통
동학혁명운동의 관점에서 본 예수 운동 - 마르코 복음을 중심으로 하여 -
Ⅰ. 머리말 = 17
Ⅱ. 동학혁명운동의 형성과 그 이념의 발전단계 = 19
1. 동학혁명운동의 형성 = 19
2. 동학이념의 발전과정 = 21
(1) 최제우의 동학사상 = 21
(2) 최시형의 동학운동론 = 22
(3) 전봉준의 동학혁명 이념과 운동론 = 23
3. 평가 및 문제제기 = 25
Ⅲ. 예수운동의 형성과 그 이념의 발전단계 = 27
1. 예수운동의 형성 = 27
2. 예수운동의 이념의 발전단계 = 30
(1) 요한의 민중종교사상 = 30
(2) 세례자 교단의 종파운동론 = 32
(3) 예수의 민중해방 이념과 운동론 = 33
Ⅳ. 맺음말 - 요약 및 평가 = 36
역사 주체로서의 민중과 교회사
Ⅰ. 하나님의 해방사와 민중 = 41
Ⅱ. 역사해석의 원칙과 한국 기독교사 = 44
Ⅱ. 한국 기독교사의 민중민족사관적 인식 = 52
1. 한국 기독교사의 민중민족사관적 인식의 전 단계 = 52
2. '민중민족사관'에 의한 한국 기독교 100년사 = 56
3. 한국 기독교 역사의 변화발전 법칙과 실천 = 58
4. 한국 기독교사의 변화발전의 주체와 해방 역사의 삶 = 60
한국 신학에 있어서의 "민족" 문제의 인식
Ⅰ. 머리말 = 65
Ⅱ. 신학의 주제와 한국 민족주의 = 67
1. 신학의 주제로서의 민족 = 67
2. 한국 민족주의 운동과 기독교 = 72
Ⅲ. 민족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기독교사 = 78
Ⅳ. 한국 신학의 민족 문제 인식 = 81
1. 초기 기독교와 민족문제 = 81
2. 해방이전까지의 기독교와 민족문제 = 85
3. 해방직후의 한국 교회와 민족문제 = 87
4. 4·19 이후 한국 기독교와 민족적 민중주의를 향한 노력 = 89
Ⅴ. 오늘날 한국 신학에 있어서의 민족 문제에 대한 인식 = 95
1. 민중신학의 민족문제 = 95
2. 통일신학의 민족문제 = 98
3. 민족신학의 민족문제 = 102
Ⅵ. 맺음말 = 103
현대 신학사의 문제와 전망 - 한국신학형성의 과제를 중심하여 -
Ⅰ. 머리말 = 115
Ⅱ. 계시와 학문으로서의 신학 = 118
1. 현대신학의 분기점과 변증 = 118
2. 슐라이엘마허 = 120
3. 리츨 = 121
4. 트륄치 = 122
5. 평가와 전망 = 123
Ⅲ. 교회의 위기와 말씀의 신학 = 124
1. 칼 바르트 = 124
2. 브룬너 = 126
3. 불트만 = 128
4. 틸리히 = 129
5. 평가와 전망 = 130
Ⅳ. 신의 세속화와 정치신학 = 132
1. 본회퍼 = 132
2. 콕스 = 134
3. 알타이저 = 135
4. 몰트만 = 136
5. 판넨베르그 = 137
6. 샤르댕 = 139
7. 평가와 전망 = 140
Ⅴ. 신학의 해방과 해방의 실천 = 142
1. 쿠띠에레즈 = 142
2. 송천성(宋泉盛) = 143
3. 서남동 = 145
4. 류우터 = 146
5. 콘 = 147
6. 평가와 전망 = 148
Ⅵ. 맺음말 - 몇 가지의 방법적 통찰 = 150
2부 한국 교회사의 해방전통
3·1운동과 제3의 길
Ⅰ. IMF와 한국 교회 = 159
Ⅱ. 3·1운동과 '성찰적 근대화' = 161
Ⅲ. 3·1운동 이후 한국 교회의 근대화론 = 164
Ⅳ. 한국 교회의 개혁과 제3의 길 = 166
한국 교회 개혁운동과 '예수 교회'
Ⅰ. 머리말 = 171
Ⅱ. 한국 교회의 형성과 그 성격 = 173
Ⅲ. 한국 교회의 개혁전통 = 176
1. 김교신의 무교회주의 운동 = 176
2. 최태용의 복음교회운동 = 177
3. 이용도의 예수교회운동 = 179
Ⅳ. 예수 교회와 한국 교회의 개혁 = 181
1. 해방적 영성 공동체 = 183
2. 평신도 중심의 공동체 = 185
3. 민족적 토착 공동체 = 187
Ⅴ. 맺음말 = 190
해방후 북한사회 건설과 교회 박해 : (1945∼1948)
Ⅰ 머리말 = 193
Ⅱ. 공산주의 세력의 집권과 북한사회 건설 = 195
Ⅲ. 북한교회의 정치 세력화와 신앙 자유의 제한 = 198
Ⅳ. 북한교회의 박해와 그 평가 = 201
1) 이영록 재판사건 = 203
2) 조봉환 재판사건 = 205
Ⅴ. 맺음말 = 208
한국교회의 민족통일운동과 평화문제 - 「민족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 기독교회의 선언」(1988)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 213
Ⅱ. 통일문제에 대한 KNCC의 문제 제기 = 215
Ⅲ. 도잔소 회의와 통일운동의 지평 확대 = 218
Ⅳ. 「민족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 기독교회의 선언」에 있어 '평화'의 문제 = 223
Ⅴ. 맺음말 = 231
3부 세계 교회사의 해방전통
교회사에 나타난 해방전통
Ⅰ. 머리말 = 237
Ⅱ. 예수 운동과 그 계승 = 238
Ⅲ. 교회 공동체의 제도화와 몬타니즘 = 242
Ⅳ. 교회 공동체의 세속화와 도나티스트 = 244
Ⅴ. 맺음말 = 246
루터와 Iustitia Dei
Ⅰ. 서론 = 249
Ⅱ. 『저작집선언』(1545)에 나타난 루터의 개혁적 원리 발견 = 252
Ⅲ. Iustitia Christi의 발견과정 = 260
1. 초기 신학작품에 나타난 신학적 갈등 = 260
2. 『제1시편 강해(Dictata super Psalterium)』에서의 "Iustitia Dei"의 문제화 = 262
Ⅳ. Iustitia Dei의 신학적 형성 = 272
1. 새로운 신학적 발단 = 272
2. 『로마서 강해』에 나타난 "의로우신 하나님" = 277
3. 갈라디아서와 히브리서 강해에 나타난 "구속으로서의 Iustitia Christi" = 284
Ⅴ. 결론 = 292
WCC 50년과 한국교회
Ⅰ. 전환점에 선 에큐메니칼운동 = 303
Ⅱ. 1948년 이전의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의 전통 = 305
1. 한국 교회 에큐메니칼운동과 선교 = 305
2. 한국 교회 에큐메니칼운동의 제도화 = 306
3. 한국 교회 에케메니칼운동과 근대성 = 308
Ⅲ. WCC 50년과 한국 교회 에큐메니칼운동 = 309
1. WCC창립과 해방후 한국 교회 = 309
2. 뉴델리 총회 이후와 한국교회의 민주화, 인권운동 = 313
3. 벵쿠버 총회 이후와 한국 교회의 통일운동 = 317
Ⅳ. 평화통일 희년운동과 WCC의 희년 = 321
하나님의 계시와 역사 이해 - 해방신학자 G. Gutierrez를 중심하여 -
Ⅰ. 머리말 = 329
Ⅱ. 역사 이해의 기초로서 "구원" = 331
Ⅲ. 그리스도를 목표로 하는 단일한 역사 = 334
1. 창조와 구원 = 334
2. 종말론적 약속 = 338
Ⅳ. 맺음말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