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5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806125 | |
005 | 20100805071935 | |
007 | ta | |
008 | 030115s2002 ulka b 001a kor | |
020 | ▼a 8930309097 ▼g 93330 : ▼c \7000 | |
035 | ▼a KRIC08518614 | |
040 | ▼a 211019 ▼d 211009 | |
049 | 1 | ▼l 111232790 ▼f 개가 |
082 | 0 4 | ▼a 658.16 ▼2 21 |
090 | ▼a 658.16 ▼b 2002b | |
100 | 1 | ▼a 박원우 ▼0 AUTH(211009)20769 |
245 | 1 0 | ▼a M&A와 문화충돌 관리 / ▼d 박원우 저. |
260 | ▼a 서울 : ▼b 집문당 , ▼c 2002. | |
300 | ▼a 175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아산재단 연구보고서 ; ▼v 제76집 |
504 | ▼a 참고문헌(p. 162-173) 및 색인 수록 | |
740 | ▼a M and A와 문화충돌 관리 | |
740 | ▼a Merger and aquisition와 문화충돌 관리 | |
940 | ▼a 앰 앤 에이와 문화충돌 관리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8.16 2002b | 등록번호 11123279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06-12-1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원우(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학사(1982년)와 석사(1984년)를 취득한 후,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1년간 근무하면서 미국정부의 Fulbright 장학금을 받고 Pittsburgh대학 경영대학원에서 수학하여 인사조직 분야 박사취득(1989년)를 취득하였다. Pittsburgh대학에서 조교수로 근무한 후 귀국하여 중앙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수를 거쳐 1998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학계에선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한국인사조직학회 부회장, 한국윤리경영학회 회장 등으로 봉사하였으며, 응용과학자로서 자문교수, 사외이사, 상임/비상임위원 등 제 역할을 통해 국내 다양한 영리/비영리조직의 발전을 지원하여 왔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group- think, empowerment, trust, efficacy, goal orientation, culture change, 및 happiness인데, 그간 130여 편의 국내외 학술논문과 15편의 단행본 도서를 출간하였고,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의 우수강의상을 수차례, 2018년엔 서울대학교 교육상을 수상하였다.

목차
목차 제1장 M&A의 추세와 성과 1. M&A의 의미와 유형 = 15 1) M&A의 의미 = 15 2) M&A의 유형 = 18 2. M&A를 하는 이유 = 23 1) 이론적 측면 = 24 2) 실무적 측면 = 32 3. M&A의 추세 = 39 1) 국외의 추세 = 39 2) 국내의 현황 = 41 4. M&A의 성과 = 43 제2장 M&A 과정에서 핵심적 성공/실패 요인 1. 서론 = 47 2. M&A 성공/실패 요인에 대한 전략적 접근 = 49 1) 선택 관점(Choice Perspective)에서의 성공/실패 요소 = 52 2) 과정 관점(Process Perspective)에서의 성공/실패 요소 = 59 3. M&A 성공/실패 요인에 대한 인사/조직적 접근 = 64 1) 개념적 연구 = 65 2) 실증적 연구 = 67 4. 추가로 연구해야 할 사항 = 69 5. 결론 = 71 제3장 기업문화 충돌의 효과, 유형 및 측정 1. 기업문화의 충돌과 경영성과 = 75 2. 기업문화 충돌의 유형 = 80 3. 문화충돌 유형별 기존 연구의 내용 = 83 1) 국가 내-기업 내 문화충돌 = 83 2) 국가 내-기업간 문화충돌 = 93 3) 국가간-기업 내 문화충돌 = 98 4) 국가간-기업간 문화충돌 = 100 4. 기업문화 충돌에 관한 기존 연구의 종합 : 논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 = 105 제4장 M&A와 문화충돌 1. M&A에 따른 문화충돌 = 113 2. 문화충돌에 따른 부정적 영향 = 115 1) M&A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 116 2) M&A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 117 3) 일반적인 M&A 증후군 = 119 제5장 M&A시의 성공적 통합과정 1. HR Due Diligence = 124 1) HR Due Diligence의 필요성 = 124 2) HR Due Diligence의 내용 = 132 2. Cultural Due Diligence = 136 1) 문화(변화)관리의 제 유형 = 136 2) 조직문화 통합의 유형 = 138 3) 문화관리/변화 방법론 = 142 참고문헌 = 162 찾아보기 =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