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들어가며
II. 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번역의 중요성
III. 번역 전문가 양성: 국학분야를 중심으로
1. 국학분야 번역문제의 심각성: 개관
2. 현행 국학관계 번역 및 번역인력 현황
1) 국학관계 번역물의 절대적 부족
2) 전문분야의 개념어 발굴과 현대적 번역의 필요성
3) 번역자의 노령화와 세대 단절 위기
3. 신진 국역인력 양성 실태와 대책
1) 4년제 대학 한문학과의 경우
2) 국가 지원 국역인력 양성기관: 민족문화추진회의 경우
3) 대학부설연구소: 한림대 부설 태동고전연구소 / 한서대 부설 동양고전연구소의 경우
4) 민간운영 연수원: 유도회(儒道會) 부설 한문연수원의 경우
IV. 대학교수의 업적평가에 나타난 번역물 평가: 기준의 검토 및 개선방안 모색
1. 교수의 업적 평가에서 나타난 번역서의 위상
2. 교수 업적 평가에 나타난 번역 문제의 분석
3. 번역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 교수 업적 평가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1) 교수업적평가의 중요 사항으로 규정
2) 번역 평가 기준의 세분화
V. 번역지원정책에 대한 검토 및 개선방안
1. 번역지원정책 현황
1) 상업적 출판에 의한 번역사업
2) 공공기관에 의한 번역지원사업
2. 공공기관에 의한 번역지원사업
1) 현재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
3. 중장기적 관점에서 본 번역지원정책의 구상
1) 지속성·일관성의 확보
2) 학진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 검토
3) 이미 번역-출간된 동서양 고전 및 전문학술도서에 대한 평가 제도의 수립
4) 번역 서평문화의 활성화
5) 번역 개념 및 용어의 체계화
6) 기초 외국어 교육의 강화와 전문 번역 기구(''번역청'')의 신설
VI. 결론
1. 번역전문가 집단 양성: 국학 분야를 중심으로
2. 대학의 번역 평가 제도
3. 각종 번역지원사업에 대한 검토와 개선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