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 세계의 평생교육

현대 세계의 평생교육 (Loan 3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新海英行 목야 독 牧野 篤 김영주, 역
Title Statement
현대 세계의 평생교육 = Modern world lifelong education / 新海英行, ; 牧野 篤 著 ; 김영주 譯.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지구문화사 ,   2002.  
Physical Medium
372 p. : 삽도 ; 25 cm.
Series Statement
평생교육시리즈 = Lifelong education series
Varied Title
現代世界の生涯學習
ISBN
8970062912
000 00855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804035
005 20100805064445
007 ta
008 030206s2002 ulka 000a kor
020 ▼a 8970062912 ▼g 94380 : ▼c \17000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jpn
049 1 ▼l 111235170 ▼f 개가 ▼l 111235171 ▼f 개가 ▼l 121071453 ▼f 과학 ▼l 121071454 ▼f 과학
082 0 4 ▼a 374.9 ▼2 21
090 ▼a 374.9 ▼b 2002
100 1 ▼a 新海英行
245 1 0 ▼a 현대 세계의 평생교육 = ▼x Modern world lifelong education / ▼d 新海英行, ; ▼e 牧野 篤 著 ; ▼e 김영주 譯.
246 1 9 ▼a 現代世界の生涯學習
260 ▼a 서울 : ▼b 지구문화사 , ▼c 2002.
300 ▼a 372 p. : ▼b 삽도 ; ▼c 25 cm.
440 0 0 ▼a 평생교육시리즈 = ▼x Lifelong education series
700 1 ▼a 목야 독 ▼g 牧野 篤
700 1 ▼a 김영주, ▼e▼0 AUTH(211009)75485
940 ▼a 현대세계노생애학습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9 2002 Accession No. 1112351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9 2002 Accession No. 1112351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74.9 2002 Accession No. 1210714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9 2002 Accession No. 1112351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9 2002 Accession No. 1112351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74.9 2002 Accession No. 1210714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기 : 현대 평생학습의 창조와 전개 = 11

 1. 서론 = 11

 2. 평생에 걸친 학습과 자기실현 = 12

 3. 평생학습의 정책과 실천 = 15

 4. 결론 = 23

제1장 21세기 평생학습의 과제와 전망

 1. 서론 - 국제적 동향파악의 관점 = 26

 2. EU, UNESCO, OECD의 동향(정책적)과 과제 = 27

 3. 제플리(Gepli) 재고의 현대적 의미와 평생학습의 가능성 = 33

 4. 결론 - 평생학습의 전망에 관련된 과제 = 36

제2장 교육기본법과 평생학습

 1. 교육 기본법에 나타난 국가와 국민 = 39

 2. 평생학습 정책에 있어 국가와 국민 = 43

 3. 국가와 국민의 중립적인 지역사회 = 48

 4. 교육기본법 제7조와 평생학습의 연구과제 = 49

제3장 일본과 영국의 평생학습 연구

 1. 서론 = 53

 2. 일·영 평생학습 연구의 비교연구에 관한 약간의 방법적 시점 = 53

 3. 영국 '성인 계속교육'의 선행연구와 그 계보 = 61

 4. 일·영 평생학습 연구의 비교연구에 있어서 향후의 검토과제 = 65

제4장 평생학습 진흥정비법 10 여년의 검증

 1. 서론 = 71

 2. 일본 평생학습 정책의 기본적 성격 = 72

 3. 지방분권 일괄법에 의한 개정경위와 문제점 = 74

 4. 중앙省廳 등 개혁관계법에 의한 법개정과 그 문제점 = 76

 5. 히로시마현지역 평생학습진흥 기본구상 그 후의 전개 = 78

 6. 결론 = 82

제5장 자치단체의 사회교육·평생학습정책의 동향

 1. 서론 = 84

 2. 평생학습센터의 구청 이관을 둘러싼 동향 = 84

 3. '청년의 집' 통폐합 문제를 둘러싼 동향 = 87

 4. 새로운 동향에 이르는 사회교육·평생학습 시책의 개관 = 89

 5. 향후의 과제를 대신하여 = 93

제6장 자치단체의 평생학습 행정과 주민참가

 1. 서론 = 95

 2. 평생학습 정책과 지방 자치단체 = 96

 3. 지방 자치단체 평생학습 행정의 동향 = 99

 4. 주민 스스로 형성한 새로운 학습사업의 움직임 = 107

 5. 결론 = 112

제7장 평생학습과 공민관 활동

 1. 서론 = 115

 2. 평생학습 시대의 공민관 = 117

 3. 공민관의 역사적 성격 = 119

 4. 사회교육법과 공민관 = 120

 5. 결론 - 평생학습과 공민관 = 123

제8장 지역조성과 사회교육

 1. 서론 = 126

 2. 강좌의 준비과정 = 127

 3. 강좌의 실시과정 = 130

 4. 강좌종료 후의 학습과 실천 = 135

 5. 지역조성과 사회교육(강좌가 끝난 후 느낀 점) = 136

제9장 평생학습 시대의 청년교육

 1. 서론 = 138

 2. 청년교육이란 무엇인가 = 138

 3. 청년교육의 위기 = 140

 4. 청년(기)의 역사성 = 141

 5. 청년교육의 '세 가지 과제' = 145

 6. 청년교육의 환경정비 = 147

 7. 결론 - 미래를 그리는 공동작업 = 148

[미국]

 제10장 대학의 지역 연대기능에 관한 연구

  1. 전환기의 지역사회와 대학 = 152

  2. 미국 주립대학의 지역연대 = 156

  3. 결론 - 요구되는 지역주민의 '생활'을 파악한 대학교육과 연구 = 166

 제11장 미국의 복지제도 개혁과 성인교육

  1. 서론 = 167

  2. 연방 복지제도 개혁 = 168

  3. 새로운 복지 체제 형성과 노동력 교육 = 171

  4. 복지개혁의 문제와 대처방안 = 176

  5. 결론 = 178

 제12장 미합중국의 장애자교육

  1. 서론 = 180

  2. 원조취로 도입의 배경 = 181

  3. 내재 원조력에 대한 주목과 그 배경 = 182

  4. 내재 원조 활용방안의 실태와 방안결정에 관련되는 요인 = 185

  5. 내재원조 활용방안을 둘러싼 실천과 연구과제 = 188

[영국]

 제13장 영국의 성인교육

  1. 서론 = 190

  2. 평생교육 정책과 성인교육 = 191

  3. 성인교육의 개념과 조직형태에 관한 탐구 = 194

 제14장 영국의 성인교육 연구 30 년의 변천사

  1. 서론 = 198

  2. SCUTREA 설립의 배경 = 198

  3. 1970년대의 연구동향 = 200

  4. 1980년대의 연구동향 = 202

  5. 1990년대의 연구동향 = 206

  6. 결론 = 210

[프랑스]

 제15장 프랑스의 민중교육

  1. '또 하나의 평생교육'인 프랑스 민중교육의 역사 = 211

  2. 민중교육과 애니메이션(animation : 평생교육 활동)의 제도화 = 213

  3. 평색직업 교육법과 민중교육 = 216

  4. 지방 분권화와 민중교육 = 219

  5. 결론 = 221

 제16장 프랑스의 애니메이터직업화 과정의 특징

  1. 서론 = 223

  2. 민중교육 봉사자에서 직업으로서의 애니메이터로 = 225

  3. 애니메이터 직업화의 전개와 그 양상 = 227

  4. 애니메이터 성격의 변용과 그 의미 = 234

  5. 결론 = 237

[독일]

 제17장 독일 성인·계속교육제도개혁의 경위와 도달점

  1. 서론 = 239

  2. 1960년대 - 성인교육의 공적 관심에 대한 증가 = 239

  3. 70년대 - 계속교육 구상의 전개 = 241

  4. 州 단위의 계속교육 법제화 - Bremen 州의 경우 = 247

  5. 1980년대 이후 = 250

  6. 결론 = 253

  7. 부론(付論) - 시민대학의 현상과 과제 = 254

[이탈리아]

 제18장 이탈리아 성인교육의 역사적 형성

  1. 서론 = 259

  2. 이탈리아 성인교육의 현주소 = 260

  3. Umanitaria 협회의 역사와 오늘날 = 264

  4. Umanitaria 협회의 역사적 의의와 이탈리아 성인교육의 과제와 전망 = 268

[북유럽]

 제19장 북유럽의 성인교육 이념과 현상

  1. 서론 = 270

  2. 텐마크의 FHS(민중대학)의 상황 = 271

  3. 스웨덴의 학습 서클제도 = 274

  4. 결론 = 279

[브라질]

 제20장 브라질 민중교육 운동의 현주소

  1. 서론 = 282

  2. 노동자당 시정하의 교육개혁 = 283

  3. 학교 민주화와 자치 = 286

  4. 學除籍 접근에 의한 커리큘럼의 개혁 = 290

  5. 결론 = 293

 제21장 브라질의 청년 및 성인교육

  1. 서론 = 294

  2. 브라질의 교육법과 현상 = 295

  3. 브라질의 청년 및 성인교육 = 299

  4. 결론 = 304

[중국]

 제22장 현대 중국의 평생교육 정책전개

  1. 서론 = 306

  2. 교육보충으로서의 성인 교육기(1978∼87년) = 306

  3.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는 인재양성에 부합된 성인 교육기(1987∼1995년) = 310

  4. 교육기획의 확대와 다양한 필요성에 대응한 평생 교육기(1995년∼) = 315

  5. 중국의 성인교육과 평생교육·평생학습의 행방 = 319

 제23장 중국 성인교육의 새로운 움직임

  1. 서론 = 322

  2. 성인 고등교육의 정의 = 323

  3. 성인 고등교육이 의미하는 것 = 326

  4. 성인 고등교육의 새로운 동향 = 230

  5. 결론 - 중국 성인 고등교육이 직면한 과제 = 238

[한국]

 제24장 한국의 평생교육 동향과 과제

  1. 서론 = 341

  2. 평생 교육론의 등장과 '사회교육법'의 제정 = 342

  3. 평생교육 체제로의 이행 = 343

  4. 결론 = 350

특론 : 현대'평생학습' 연구의 시점

 1. 소론 = 354

 2. 그를 보고 깨달은 것 - 일본의 현주소는 = 355

 3. 공교육 '전후 100년'의 시점·20 세기 우리들의 선행자는 어떻게 살았을까 = 360

 4. 구전 교육과학의 창조 = 364

 5. 후기 = 37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