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 현대 평생학습의 창조와 전개 = 11
1. 서론 = 11
2. 평생에 걸친 학습과 자기실현 = 12
3. 평생학습의 정책과 실천 = 15
4. 결론 = 23
제1장 21세기 평생학습의 과제와 전망
1. 서론 - 국제적 동향파악의 관점 = 26
2. EU, UNESCO, OECD의 동향(정책적)과 과제 = 27
3. 제플리(Gepli) 재고의 현대적 의미와 평생학습의 가능성 = 33
4. 결론 - 평생학습의 전망에 관련된 과제 = 36
제2장 교육기본법과 평생학습
1. 교육 기본법에 나타난 국가와 국민 = 39
2. 평생학습 정책에 있어 국가와 국민 = 43
3. 국가와 국민의 중립적인 지역사회 = 48
4. 교육기본법 제7조와 평생학습의 연구과제 = 49
제3장 일본과 영국의 평생학습 연구
1. 서론 = 53
2. 일·영 평생학습 연구의 비교연구에 관한 약간의 방법적 시점 = 53
3. 영국 '성인 계속교육'의 선행연구와 그 계보 = 61
4. 일·영 평생학습 연구의 비교연구에 있어서 향후의 검토과제 = 65
제4장 평생학습 진흥정비법 10 여년의 검증
1. 서론 = 71
2. 일본 평생학습 정책의 기본적 성격 = 72
3. 지방분권 일괄법에 의한 개정경위와 문제점 = 74
4. 중앙省廳 등 개혁관계법에 의한 법개정과 그 문제점 = 76
5. 히로시마현지역 평생학습진흥 기본구상 그 후의 전개 = 78
6. 결론 = 82
제5장 자치단체의 사회교육·평생학습정책의 동향
1. 서론 = 84
2. 평생학습센터의 구청 이관을 둘러싼 동향 = 84
3. '청년의 집' 통폐합 문제를 둘러싼 동향 = 87
4. 새로운 동향에 이르는 사회교육·평생학습 시책의 개관 = 89
5. 향후의 과제를 대신하여 = 93
제6장 자치단체의 평생학습 행정과 주민참가
1. 서론 = 95
2. 평생학습 정책과 지방 자치단체 = 96
3. 지방 자치단체 평생학습 행정의 동향 = 99
4. 주민 스스로 형성한 새로운 학습사업의 움직임 = 107
5. 결론 = 112
제7장 평생학습과 공민관 활동
1. 서론 = 115
2. 평생학습 시대의 공민관 = 117
3. 공민관의 역사적 성격 = 119
4. 사회교육법과 공민관 = 120
5. 결론 - 평생학습과 공민관 = 123
제8장 지역조성과 사회교육
1. 서론 = 126
2. 강좌의 준비과정 = 127
3. 강좌의 실시과정 = 130
4. 강좌종료 후의 학습과 실천 = 135
5. 지역조성과 사회교육(강좌가 끝난 후 느낀 점) = 136
제9장 평생학습 시대의 청년교육
1. 서론 = 138
2. 청년교육이란 무엇인가 = 138
3. 청년교육의 위기 = 140
4. 청년(기)의 역사성 = 141
5. 청년교육의 '세 가지 과제' = 145
6. 청년교육의 환경정비 = 147
7. 결론 - 미래를 그리는 공동작업 = 148
[미국]
제10장 대학의 지역 연대기능에 관한 연구
1. 전환기의 지역사회와 대학 = 152
2. 미국 주립대학의 지역연대 = 156
3. 결론 - 요구되는 지역주민의 '생활'을 파악한 대학교육과 연구 = 166
제11장 미국의 복지제도 개혁과 성인교육
1. 서론 = 167
2. 연방 복지제도 개혁 = 168
3. 새로운 복지 체제 형성과 노동력 교육 = 171
4. 복지개혁의 문제와 대처방안 = 176
5. 결론 = 178
제12장 미합중국의 장애자교육
1. 서론 = 180
2. 원조취로 도입의 배경 = 181
3. 내재 원조력에 대한 주목과 그 배경 = 182
4. 내재 원조 활용방안의 실태와 방안결정에 관련되는 요인 = 185
5. 내재원조 활용방안을 둘러싼 실천과 연구과제 = 188
[영국]
제13장 영국의 성인교육
1. 서론 = 190
2. 평생교육 정책과 성인교육 = 191
3. 성인교육의 개념과 조직형태에 관한 탐구 = 194
제14장 영국의 성인교육 연구 30 년의 변천사
1. 서론 = 198
2. SCUTREA 설립의 배경 = 198
3. 1970년대의 연구동향 = 200
4. 1980년대의 연구동향 = 202
5. 1990년대의 연구동향 = 206
6. 결론 = 210
[프랑스]
제15장 프랑스의 민중교육
1. '또 하나의 평생교육'인 프랑스 민중교육의 역사 = 211
2. 민중교육과 애니메이션(animation : 평생교육 활동)의 제도화 = 213
3. 평색직업 교육법과 민중교육 = 216
4. 지방 분권화와 민중교육 = 219
5. 결론 = 221
제16장 프랑스의 애니메이터직업화 과정의 특징
1. 서론 = 223
2. 민중교육 봉사자에서 직업으로서의 애니메이터로 = 225
3. 애니메이터 직업화의 전개와 그 양상 = 227
4. 애니메이터 성격의 변용과 그 의미 = 234
5. 결론 = 237
[독일]
제17장 독일 성인·계속교육제도개혁의 경위와 도달점
1. 서론 = 239
2. 1960년대 - 성인교육의 공적 관심에 대한 증가 = 239
3. 70년대 - 계속교육 구상의 전개 = 241
4. 州 단위의 계속교육 법제화 - Bremen 州의 경우 = 247
5. 1980년대 이후 = 250
6. 결론 = 253
7. 부론(付論) - 시민대학의 현상과 과제 = 254
[이탈리아]
제18장 이탈리아 성인교육의 역사적 형성
1. 서론 = 259
2. 이탈리아 성인교육의 현주소 = 260
3. Umanitaria 협회의 역사와 오늘날 = 264
4. Umanitaria 협회의 역사적 의의와 이탈리아 성인교육의 과제와 전망 = 268
[북유럽]
제19장 북유럽의 성인교육 이념과 현상
1. 서론 = 270
2. 텐마크의 FHS(민중대학)의 상황 = 271
3. 스웨덴의 학습 서클제도 = 274
4. 결론 = 279
[브라질]
제20장 브라질 민중교육 운동의 현주소
1. 서론 = 282
2. 노동자당 시정하의 교육개혁 = 283
3. 학교 민주화와 자치 = 286
4. 學除籍 접근에 의한 커리큘럼의 개혁 = 290
5. 결론 = 293
제21장 브라질의 청년 및 성인교육
1. 서론 = 294
2. 브라질의 교육법과 현상 = 295
3. 브라질의 청년 및 성인교육 = 299
4. 결론 = 304
[중국]
제22장 현대 중국의 평생교육 정책전개
1. 서론 = 306
2. 교육보충으로서의 성인 교육기(1978∼87년) = 306
3.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는 인재양성에 부합된 성인 교육기(1987∼1995년) = 310
4. 교육기획의 확대와 다양한 필요성에 대응한 평생 교육기(1995년∼) = 315
5. 중국의 성인교육과 평생교육·평생학습의 행방 = 319
제23장 중국 성인교육의 새로운 움직임
1. 서론 = 322
2. 성인 고등교육의 정의 = 323
3. 성인 고등교육이 의미하는 것 = 326
4. 성인 고등교육의 새로운 동향 = 230
5. 결론 - 중국 성인 고등교육이 직면한 과제 = 238
[한국]
제24장 한국의 평생교육 동향과 과제
1. 서론 = 341
2. 평생 교육론의 등장과 '사회교육법'의 제정 = 342
3. 평생교육 체제로의 이행 = 343
4. 결론 = 350
특론 : 현대'평생학습' 연구의 시점
1. 소론 = 354
2. 그를 보고 깨달은 것 - 일본의 현주소는 = 355
3. 공교육 '전후 100년'의 시점·20 세기 우리들의 선행자는 어떻게 살았을까 = 360
4. 구전 교육과학의 창조 = 364
5. 후기 =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