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法哲學

法哲學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종윤 정태욱
서명 / 저자사항
法哲學 / 全鐘潤 編著.
발행사항
서울 :   이화문화출판사 ,   2001.  
형태사항
302 p. ; 26 cm.
ISBN
8981452776
000 00520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803904
005 20100805064158
007 ta
008 030205s2001 ulk 000a kor
020 ▼a 8981452776 ▼g 03100: ▼c \1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33765
085 ▼a 340.1 ▼2 21
090 ▼a 340.1 ▼b 2001L
100 1 ▼a 전종윤
245 1 0 ▼a 法哲學 / ▼d 全鐘潤 編著.
260 ▼a 서울 : ▼b 이화문화출판사 , ▼c 2001.
300 ▼a 302 p. ; ▼c 26 cm.
700 1 ▼a 정태욱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1L 등록번호 1112337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종윤(엮은이)

<법철학 총정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Ⅰ편 법철학 서론
 제1장 법철학 서론
  1. 법철학이란 무엇인가 = 3
  2. 법학의 영역 = 4
  3. 법철학 연구의 필요성 = 6
제Ⅱ편 서양 법사상
 제2장 고대의 법사상
  제1절 그리스의 자연철학자
   1. 자연법의 탄생 = 11
   2. 피타고라스 = 11
   3. 헤라클레이토스 = 11
   4. 파르메니데스 = 12
   5. 레우키포스 = 12
   6. 데모크리토스 = 13
  제2절 소피스트
   1. 개요 = 13
   2. 프로타고라스 = 13
   3. 트라시마코스 = 13
   4. 고르기아스 = 14
   5. 칼리클레스 = 14
   6. 안티폰 = 14
   7. 히피아스 = 14
  제3절 아테네 시대의 법사상
   1. 소크라테스 = 14
   2. 플라톤 = 16
   3. 아리스토텔레스 = 19
  제4절 스토아학파
   1. 개요 = 21
   2. 도덕론 = 22
   3. 법의 분류 = 22
   4. 키케로 = 23
   5. 세네카 = 23
   6.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23
  제5절 로마의 법사상
   1. 특징 = 23
   2. 켈수스 = 25
   3. 울피아누스 = 25
   4. 가이우스 = 25
   5. 파울루스 = 25
   (참고) 문학속의 법 = 26
 제3장 중세의 법사상
  제1절 중세의 사상적 기초
   1. 게르만 법사상 = 27
   2. 중세법의 구조 = 28
  제2절 교부철학
   1. 교부 = 28
   2. 아우구스티누스 = 28
   3. 이시도르 = 30
  제3절 스콜라철학
   1. 볼로냐 학파 = 30
   2. 초기 스콜라학파의 등장 = 30
   3. 토마스 아퀴나스 = 31
  제4절 중세말의 철학
   1. 마르실리우스 파타비누스 = 33
   2. 둔스 스코투스 = 34
   3. 오캄 = 34
 제4장 근대의 법사상
  제1절 근대의 법상황
   1. 개요 = 36
   2. 휴머니즘 법학 = 36
  제2절 종교개혁과 법사상
   1. 마틴 루터 = 36
   2. 캘빈 = 37
   3. 비토리아 = 38
   4. 수아레즈 = 39
  제3절 르네상스, 과학혁명과 법사상
   1. 마키아벨리 = 40
   2. 보댕 = 40
   3. 베이컨 = 41
 제5장 근대 자연법 사상
  제1절 자연법 선구자
   1. 개요 = 42
   2. 알투지우스 = 42
   3. 그로티우스 = 43
  제2절 자연법의 전성기
   Ⅰ. 자연주의의 흐름
    1. 토마스 홉스 = 45
    2. 스피노자 = 47
   Ⅱ. 법이성주의의 흐름
    1. 푸펜도르프 = 47
    2. 토마지우스 = 49
    3. 라이프니쯔 = 50
    4. 크리스챤 볼프 = 51
    5. 바텔 = 51
    6. 비코 = 52
  제3절 자연법과 이데올로기
   1. 몽테스키외 = 52
   2. 루소 = 53
   3. 존 로크 = 55
  제4절 미국의 자연법 철학
   1. 대륙 자연법 사상의 영향 = 56
   2. 제임스 윌슨 = 56
   3. 기타 자연법론자 = 57
  제5절 근대자연법론의 영향
   1. 개요 = 57
   2. 절대주의적 자연법론의 영향 = 57
   3. 자유주의적 자연법론의 영향 = 57
 제6장 관념주의 법사상
  1. 의의 = 58
  2. 역사 = 58
  3. 칸트 = 58
  4. 피히테 = 61
  5. 쉘링 = 62
  6. 헤겔 = 62
 제7장 실증주의 시대
  제1절 역사법학파의 법사상
   1. 역사법학의 성립 = 65
   2. 사비니 = 66
   3. 푸흐타 = 68
   4. 판덱티즘 = 68
   5. 게르마니스텐 = 69
   6. 영국·미국의 역사법학파 = 69
   7. 비교법학 = 70
  제2절 법실증주의
   Ⅰ. 개요
    1. 배경 = 71
    2. 특징 = 71
    3. 평가 = 71
   Ⅱ. 개념법학
    1. 개요 = 72
    2. 개념법학의 주창자 = 72
   Ⅲ. 일반법학(보통법학)
    1. 개요 = 73
    2. 메르켈 = 73
    3. 베르그봄 = 73
    4. 빈딩 = 74
    5. 비얼링 = 74
    6. 라운 = 74
    7. 솜로 = 74
    8. 데른부르크 = 75
   Ⅳ. 국가적 실증주의
    1. 기본논리 = 75
    2. 게르버 = 75
    3. 라반트 = 76
    4. 옐리네크 = 76
   Ⅴ. 주석적 실증주의
    1. 개요 = 77
    2. 뷰너 = 78
    3. 로랑 = 78
    4. 오브리 = 78
    5. 기타 = 78
   Ⅵ. 분석법학
    1. 개요 = 78
    2. 오스틴 = 78
    3. 랭델 = 80
  제3절 공리주의
   1. 개요 = 80
   2. 벤담 = 81
   3. 존 스튜어트 밀 = 82
   4. 예링 = 85
   5. 헤크, 뤼멜린 = 87
 제8장 사회학적 법이론
  제1절 사회학적 법이론의 기초
   1. 배경 = 89
   2. 초기 사회학적 법이론가 = 89
  제2절 사회학적 법사상
   1. 에밀 뒤르껭 = 90
   2. 레온 뒤기 = 91
   3. 에얼리히 = 92
   4. 막스 베버 = 93
   5. 진츠하이머 = 94
   6. 귀르비치 = 96
  제3절 제도학파
   1. 오리유 = 97
   2. 르나르 = 98
  제4절 미국의 사회학적 법학
   1. 개요 = 99
   2. 로스코 파운드 = 99
   3. 홈즈 = 100
   4. 카도조 = 101
   5. 흘 = 101
 제9장 자유법 운동
  제1절 자유법론의 의의
  제2절 독일의 자유법론
   1. 키르히만 = 102
   2. 오스카 블로우 = 103
   3. 칸토로빅쯔 = 103
   4. 푹스 = 103
  제3절 프랑스의 자유법론
   1. 제니 = 104
   2. 살레이유 = 104
   3. 이자이 = 105
   4. 게오르그 리페르트 = 105
 제10장 현대의 법철학
  제1절 신칸트학파
   1. 개요 = 106
   2. 스탐러 = 106
   3. 켈젠 = 108
   4. 라스크 = 110
   5. 라드브루흐 = 110
   (참고) 문학 속의 법 : 세익스피어의 베니스상인에서 법리논쟁 = 114
  제2절 신헤겔주의 법철학
   1. 개요 = 115
   2. 코올러 = 115
   3. 자우어 = 116
   4. 마이어 = 116
   5. 빈더 = 117
   6. 칼 슈미트 = 117
   7. 라렌쯔 = 118
  제3절 현상학적 법철학
   1. 개요 = 119
   2. 후설 = 119
   3. 라이나흐 = 122
   4. 슈라이어 = 122
   5. 카우프만 = 122
  제4절 실질적 가치론
   1. 개요 = 123
   2. 막스 셀러 = 123
   3. 하르트만 = 123
   4. 헬무트 코잉 = 124
   5. 벨첼 = 125
   6. 헹켈 = 126
  제5절 실존주의 법철학
   1. 개요 = 126
   2. 마이호퍼 = 127
   3. 코온 = 128
   4. 페흐너 = 128
  제6절 신자연법론
   1. 개요 = 129
   2. 델 베키오 = 130
   3. 롬멘 = 130
   4. 아투르 카우프만 = 131
   5. 풀러 = 132
   6. 드워킨 = 133
   7. 헥켈 = 135
   8. 스멘트 = 135
   9. 볼프 = 136
   10. 엘룰 = 137
 제11장 현실주의
  제1절 법현실주의
   1. 개요 = 138
   2. 르웰린 = 138
   3. 프랭크 = 138
   4. 아놀드 = 139
  제2절 스칸디나비아의 법현실주의
   1. 개요 = 139
   2. 해거스트룀 = 139
   3. 룬트스테트 = 140
   4. 로스 = 140
   5. 반대론자 = 140
  제3절 법과 사회운동
   1. 법정책학 = 140
   2. 법과 사회운동 = 141
   3. 비판법이론 = 141
   4. 해체주의 법학 = 143
 제12장 신합리주의
   1. 피벡 = 144
   2. 하버마스 = 144
   3. 페를만 = 147
   4. 알렉시 = 148
   5. 하트 = 148
   6. 제도적 법실증주의(Weinberger, McCormick) = 151
 제13장 자유주의 법사상
  제1절 자유주의 기본원리
   1. 자유주의의 개요 = 152
   2. 방법론적 자유주의 = 152
   3. 자유주의의 원칙 = 152
  제2절 고전적 자유주의
   1. 애덤 스미스 = 153
  제3절 신자유주의
   1. 하이에크 = 156
   2. 롤즈 = 159
   3. 루만 = 161
   4. 뷰캐넌 = 164
   5. 포스너 = 166
  제4절 사회적 자유주의
   1. 토니 블레어 = 167
 제14장 사회주의 법사상
  제1절 공상적 사회주의
   1. 개요 = 169
   2. 오우엔 = 169
   3. 생시몽 = 169
   4. 푸리에 = 169
   5. 블랑 = 170
   6. 프루동 = 170
   7. 라살레 = 170
  제2절 고전적 마르크스주의
   1. 마르크스 = 170
   2. 엥겔스 = 173
  제3절 법조파 사회주의
   1. 의의 = 174
   2. 멩거 = 174
   3. 레너 = 175
   4. 슈타인 = 175
  제4절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1. 베른슈타인 = 177
   2. 플레하노프 = 178
   3. 트로츠키 = 178
   4. 블라디미르 레닌 = 179
   5.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특징 = 180
  제5절 서구 마르크스주의
   1. 개요 = 181
   2. 루카치 = 181
   3. 프랑크푸르트학파 = 181
   4. 그람시 = 182
  제6절 공산주의
   1. 스투츠카 = 183
   2. 파슈카니스 = 183
   3. 비신스키 = 184
   4. 유물론적 법철학의 비판 = 184
  제7절 법치국가적 사회주의
   1. 고르바쵸프 = 185
제Ⅲ편 동양의 법사상
 제15장 중국의 법사상
  제1절 고대의 법사상
   Ⅰ. 개요
    1. 유교 = 189
    2. 자연적 질서로서의 예 = 189
    3. 중국 법사상의 특징 = 189
   Ⅱ. 유가사상
    1. 공자 = 189
    2. 맹자 = 190
    3. 순자 = 191
   Ⅲ. 묵가사상
    1. 목자 = 191
   Ⅳ. 도가사상
    1. 노자 = 192
    2. 장자 = 193
   Ⅴ. 법치주의
    1. 개요 = 194
    2. 관자 = 194
    3. 이사, 상앙 = 194
    4. 한비자 = 194
  제2절 중세의 법사상
   Ⅰ. 한의 훈고학
    1. 개요 = 195
    2. 회남자 = 196
    3. 동중서 = 196
   Ⅱ. 당의 법제
    1. 개요 = 197
    2. 한퇴지의 법사상 = 197
   Ⅲ. 송의 성리학
    1. 돈이 주렴계 = 197
    2. 횡거 장재 = 198
    3. 명도 정호 = 198
    4. 이천 정이 = 199
    5. 주희 = 199
    6. 상산 육구연 = 201
  제3절 근대의 법사상
   Ⅰ. 양명학
    1. 명의 법제 = 202
    2. 양명 왕수인 = 202
   Ⅱ. 고증학
    1. 개요 = 203
    2. 황종희 = 203
    3. 고염무 = 204
    4. 왕부지 = 204
    5. 대진 = 205
  제4절 현대의 법사상
   1. 춘추공양학 = 205
   2. 강유위 = 205
   3. 담사동 = 205
   4. 양계초 = 206
   5. 중산 손문 = 206
   6. 모택동 = 207
   7. 등소평 = 209
 제16장 한국의 법사상
  제1절 한국법의 사상적 기초
   1. 홍익인간 사상 = 211
   2. 수기치인 사상 = 211
   3. 향약(과실상규 사상) = 211
   4. 성과 경의 사상 = 211
   5. 인내천 사상 = 211
  제2절 고·중대의 사상
   1. 원효 = 212
   2. 의상 = 212
   3. 의천 = 213
   4. 지눌 = 213
  제3절 근대의 사상
   1. 삼봉 정도전 = 213
   2. 정암 조광조 = 214
   3. 남명 조식 = 214
   4. 퇴계 이황 = 214
   5. 율곡 이이 = 217
   6. 우암 송시열 = 218
   7. 하곡 정제두 = 218
  제4절 실학사상
   1. 개요 = 219
   2. 반계 유형원 = 220
   3. 성호 이익 = 220
   4. 다산 정약용 = 221
   5. 담헌 홍대용 = 222
   6. 연암 박지원 = 223
   7. 초정 박제가 = 223
  제5절 양명학
   1. 혜강 최한기 = 223
  제6절 동학사상
   1. 개요 = 224
   2. 수운 최제우 = 224
  제7절 개화사상
   1. 개요 = 225
   2. 김옥균 = 225
   3. 구당 유길준 = 225
   4. 송재 서재필 = 227
  제8절 현대의 법사상
   1. 조소앙의 삼균주의 = 227
   2. 이항녕의 풍토법론 = 227
   3. 황산덕의 법도구론 = 227
   4. 전봉덕의 한국적 자연법론 = 228
   5. 유기천의 샤머니즘법론 = 228
   6. 함병춘의 유교법문화론 = 228
제Ⅳ편 법철학의 중심문제
 제17장 법철학의 중심문제
  제1절 법과 도덕
   1. 개요 = 231
   2. 법과 도덕의 개념적 문제 = 231
   3. 법과 도덕의 관계 = 233
   4. 결론 = 235
  제2절 법의 이념
   1. 개요 = 235
   2. 정의 = 235
   3. 합목적성 = 236
   4. 법적 안정성 = 236
  제3절 법과 정의
   1. 개요 = 237
   2. 정의의 분류 = 237
   3. 결론 = 242
제Ⅴ편 사법시험 기출문제
 제18장 사법시험 1차시험 기출문제
  1. 제11회 사법시험 = 245
  2. 제14회 사법시험 = 250
  3. 제25회 사법시험 = 255
  4. 제26회 사법시험 = 260
  5. 제27회 사법시험 = 268
  6. 제28회 사법시험 = 274
  7. 제35회 사법시험 = 282
  8. 제42회 사법시험 = 287
  9. 제43회 사법시험 = 29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