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까자흐스딴의 고려인

까자흐스딴의 고려인 (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경수 全京秀 , 1949-.
서명 / 저자사항
까자흐스딴의 고려인 / 전경수 편.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2.  
형태사항
xi, 574 p. : 삽도 ; 23 cm.
ISBN
8952103688
일반주기
부록: 푸쉬킨 도서관에 보관된 漢籍 자료  
서지주기
참고문헌(p. 501-504)과 색인수록
000 00767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803670
005 20100805063732
007 ta
008 021126s2002 ulka AK 001a kor
020 ▼a 8952103688 ▼g 93300 : ▼c \20000
035 ▼a KRIC08497292
040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049 1 ▼l 111234771 ▼f 개가 ▼l 111234772 ▼f 개가 ▼l 121070656 ▼f 과학 ▼l 121070657 ▼f 과학
082 0 4 ▼a 325.2519095845 ▼2 21 ▼a 325.253095845
090 ▼a 325.2530958 ▼b 2002
245 0 0 ▼a 까자흐스딴의 고려인 / ▼d 전경수 편.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부 , ▼c 2002.
300 ▼a xi, 574 p. : ▼b 삽도 ; ▼c 23 cm.
500 ▼a 부록: 푸쉬킨 도서관에 보관된 漢籍 자료
504 ▼a 참고문헌(p. 501-504)과 색인수록
700 1 ▼a 전경수 ▼g 全京秀 , ▼d 1949-. ▼0 AUTH(211009)44759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112347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1123477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210706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210706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112347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1123477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210706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5.2530958 2002 등록번호 1210706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전경수(엮은이)

1949년생 서울대학교 문리대 및 동대학원 졸 Univ. of Minnesota 인류학박사 서울대학교 교수(1982년 이후 현재) 제주학회 회장 역임 문화재위원 역임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 역임 근대서지학회 회장 역임 류큐․오키나와학회 회장 역임 운남대학(중국) 객좌교수 역임 귀주대학(중국) 특빙교수 역임 예일대학(미국) 방문교수 역임 카나가와대학(일본) 객원연구원 역임 유이딴대학(베트남) 외국어․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현) 주요저서로는 『브라질의 한국이민』, 『베트남일기』, 『한국문화론(4권)』, 『환경친화의 인류학』, 『똥도 자원이라니까』, 『한국인류학 백년』, 『혼혈에서 다문화로』(공저), 『백살의 문화인류학』(200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사멸위기의 문화유산』(편), 『탐라․제주의 문화인류학』, 『파푸아에서 배운다』(편), 『우즈베키스탄에서 배운다』(편), 『인류학자 말리노브스키』, 『울릉도 오딧세이』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제Ⅰ장 고려인이 까자흐스딴에 정착하는 과정 = 1
 1. 머리말 = 1
 2. 고려인이 까자흐스딴에 정착하는 과정 = 3
 3. 구소련 해체가 고려인 사회에 미친 영향 = 36
 4. 까자흐스딴 고려인 사회의 인구변화와 이농현상 = 40
 5. 소수민족으로서의 고려인 = 53
 6. 맺음말 = 59
제Ⅱ장 까자흐스딴 지역사회로서의 우슈또베 = 63
 1. 머리말 = 63
 2. 위치와 인구 = 64
 3. 다민족 사이의 민족관계 = 70
 4. 군수를 정점으로 하는 행정조직 = 76
 5. 여당이 독주하는 정치조직 = 82
 6.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조직 = 83
 7. 빈약한 시민조직 = 92
 8. 맺음말 = 94
제Ⅲ장 까자흐스딴 고려인의 경제생활 = 97
 1. 머리말 = 97
 2. 까라딸군의 경제규모 = 98
 3. 까라딸군 고려인의 직업은 무엇인가 = 104
 4. 가장 중요한 농업생산활동 = 107
 5. 커져 가는 상업활동 = 128
 6. 맺음말 = 136
제Ⅳ장 고본질은 고려인 경제발전의 원동력 = 139
 1. 머리말 = 139
 2. 고본질은 어떻게 발전해 왔나 = 141
 3. 고본질의 생산체계 = 166
 4. 고본질의 현장사례 = 193
 5. 고본질의 역사적 의의 = 203
 6. 맺음말 = 208
제Ⅴ장 고려인이 짓는 농사 = 211
 1. 머리말 = 211
 2. 조합에서 농업생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 213
 3. 조합의 농기계 현황 = 224
 4. 가내농업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 234
 5. 맺음말 = 246
제Ⅵ장 고려인의 결혼과 친척 = 249
 1. 머리말 = 249
 2. 함경북도식 친척 용어 = 251
 3. 크게 변하여 온 친척관계 = 256
 4. 복잡해진 혼인과 재혼 = 272
 5. 맺음말 = 277
제Ⅶ장 고려인의 신앙생활 = 281
 1. 머리말 = 281
 2. 전통신앙과 현대의 종교생활 = 284
 3. 출생에서 죽음의례 및 제례(祭禮)의 지속과 단절 = 290
 4. 신앙과 의례의 큰 변화 = 323
 5. 맺음말 = 326
제Ⅷ장 고려인의 세시와 놀이 = 329
 1. 머리말 = 329
 2. 세시풍속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 332
 3. 놀이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 340
 4. 세시풍속 및 놀이의 큰 변화 = 351
 5. 맺음말 = 354
제Ⅸ장 고려인이 입는 옷 = 359
 1. 머리말 = 359
 2. 어떻게 옷을 입고 있나 = 360
 3. 전 갈리나 가족은 무엇을 입고 있나 = 364
 4. 의생활의 특징은 무엇인가 = 368
 5. 최근에 생긴 변화들 = 375
 6. 바자르와 백화점의 옷장수들 = 378
 7. 맺음말 = 386
제Ⅹ장 고려인이 먹는 음식 = 389
 1. 머리말 = 389
 2. 일상생활에서 먹는 음식 = 391
 3. 저장음식으로 무엇이 있나 = 398
 4. 의례에서 먹는 음식 = 399
 5. 맺음말 = 410
제XI장 고려인이 살고 있는 집 = 413
 1. 머리말 = 413
 2. 우슈또베의 일반적 주거상황 = 414
 3. 손 발레리아 집의 경우 = 417
 4. 전 갈리나 집의 경우 = 424
 5. 새로운 건축물로서의 교회 = 429
 6. 도회지의 일반적 주거생활 = 431
 7. 고본질 현장의 주거와 움집 = 433
 8. 맺음말 = 435
제XII장 고려인이 사용하는 언어 = 439
 1. 머리말 = 439
 2. 다중언어를 사용하는 환경 = 440
 3. 우슈또베 고려어는 함경북도 방언의 일종 = 444
 4. 한글은 어떻게 가르치나 = 459
 5. 맺음말 = 461
제XIII장 변화하는 고려인의 의식 = 463
 1. 머리말 = 463
 2. 조사대상 = 465
 3. 생활 전반에 대한 의식변화 = 467
 4. 사회상황 변화에 대한 이해 = 469
 5. 민족차별 = 470
 6. 민족관계에 대한 인식 = 473
 7. 소수민족으로서의 민족정체성 = 477
 8. 고려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 = 480
 9. 고려인의 친인척 관계 = 487
 10. 민족 미디어 = 489
 11. 고려인협회에 대한 인식 = 492
 12. 까자흐스딴 국민으로서의 귀속의식 = 494
 13. 이주문제 = 495
 14. 맺음말 = 498
참고문헌 = 501
부록 : 푸쉬킨 도서관에 보관된 漢籍 자료 = 505
찾아보기 = 537


관련분야 신착자료

Ivanovna, Din Yuliya (2022)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