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78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803503 | |
005 | 20100805063459 | |
007 | ta | |
008 | 030122s2002 ulkd b 000a kor | |
020 | ▼a 8971608625 ▼g 93330 | |
035 | ▼a KRIC08530146 | |
040 | ▼a 244015 ▼c 244015 ▼d 211009 | |
049 | 1 | ▼l 111235384 ▼f 개가 |
082 | 0 4 | ▼a 370.113 ▼2 21 |
090 | ▼a 370.113 ▼b 2002 | |
100 | 1 | ▼a 이재근 |
245 | 1 0 | ▼a 통일을 대비한 북한 인적자원 개발 방안 / ▼d 이재근 연구. |
260 | ▼a 서울 : ▼b 한국산업인력공단 , ▼c 2002. | |
300 | ▼a xxiv, 146 p. : ▼b 챠트 ; ▼c 26 cm. | |
490 | 1 0 | ▼a 기본연구 ; ▼v 02-6 |
504 | ▼a 참고문헌 : p. 123-127 | |
653 | ▼a 인적자원 | |
710 | ▼a 한국산업인력공단 | |
830 | 0 | ▼a 기본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v 02-6 |
950 | 1 | ▼a 비매품 ▼b \44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13 2002 | 등록번호 1112353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0.113 2002 | 등록번호 1511657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13 2002 | 등록번호 1112353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0.113 2002 | 등록번호 1511657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2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제한점 = 4 1. 연구의 내용 = 4 2. 연구의 제한점 = 6 제2장 북한의 교육과 직업 = 9 제1절 북한의 교육정책 = 9 1. 교육정책 = 9 2. 교육제도 = 11 3. 교육내용 = 16 4. 학교생활 = 20 제2절 북한의 직업 = 24 1. 직업분류 = 24 2. 복지제도 = 26 3. 직장생활 = 28 4. 직업의식의 변화 = 39 제3장 북한의 직업훈련 정책과 특성 = 43 제1절 북한의 직업훈련 정책 = 43 1. 당 방침의 기본 내용 = 43 2. 직업훈련 현황 및 체제 = 47 제2절 북한의 직업훈련 특성 = 53 1. 직업훈련 정책의 특성 = 53 2. 직업훈련 내용의 특성 = 56 제4장 통일을 대비한 외국의 직업훈련 = 61 제1절 통일 독일의 정책 = 62 1. 독일 통일 과정상 직업훈련분야 문제점 = 62 2. 통독 이전의 교류·협력에서 본 시사점 = 66 3. 통독 이후의 문제점에서 본 시사점 = 67 제2절 중국과 양안간의 직업훈련분야 교류·협력 = 69 1. 중국의 對 대만 교류·협력 = 71 2. 대만의 對 중국 교류·협력 = 73 3. 양안간 직업훈련 분야의 교류·협력이 주는 시사점 = 74 제5장 북한 이탈주민을 위한 직업훈련 정책 = 77 제1절 북한 이탈주민의 직업훈련 지원정책 = 78 1. 북한 이탈주민의 실태 및 체계 = 78 2. 북한 이탈주민의 직업훈련 정책 = 80 제2절 직업훈련 정책상 문제점 = 84 1. 직업훈련 지원정책의 문제점 = 84 2. 이탈주민 직업훈련시 문제점 = 86 제6장 한반도 성장거점 중심 직업훈련 연계방안 = 89 제1절 통일대비 북한지역 성장거점 육성 방안 = 90 1. 성장거점 육성정책 = 90 2. 북한지역 성장거점 육성 = 93 3. 개성공단 경제특구지정 = 100 제2절 북한의 신 성장거점 연계 직업훈련지원정책 = 106 1. 직업훈련방안 = 107 2. 재원조달방안 = 110 3. 개성공단 활용방안 = 113 제7장 결론 = 119 〈참고문헌〉 = 123 〈부록〉 =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