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35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803345 | |
005 | 20100805063054 | |
007 | ta | |
008 | 021129s2002 ulka 001a bkor | |
020 | ▼a 8936800876 ▼g 03910 : ▼c \20,000 | |
035 | ▼a KRIC08484266 | |
040 | ▼a 211019 ▼d 211009 | |
049 | 1 | ▼l 111234310 ▼f 개가 ▼l 111234311 ▼f 개가 ▼l 121070403 ▼f 과학 ▼l 121070404 ▼f 과학 |
082 | 0 4 | ▼a 951.901092 ▼2 21 ▼a 953.032/091 |
090 | ▼a 953.032092 ▼b 2002 | |
100 | 1 | ▼a 지배선 ▼g 池培善 , ▼d 1947-. ▼0 AUTH(211009)124587 |
245 | 2 0 | ▼a (유럽 문명의 아버지) 고선지 평전 / ▼d 지배선 지음. |
260 | ▼a 서울 : ▼b 청아 , ▼c 2002. | |
300 | ▼a 359 p. : ▼b 색채삽도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p 346-354, 색인수록 | |
600 | 1 4 | ▼a 고선지 ▼g 高仙芝, ▼d 700?-755.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112343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1123431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04-11-22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410188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210704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210704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511333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511333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112343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1123431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04-11-22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410188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210704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210704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511333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32092 2002 | 등록번호 1511333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구려의 유민으로 당나라의 장수가 된 고선지는 실크로드를 개척하고 사라센제국과 일대 결전을 치른 후 비록 좌절의 쓴맛을 보았으나 오히려 그 결과로 세계 문명사의 또 다른 물결을 일으켰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책은 한국학자에 의해 쓰여진 고선지의 삶과 업적에 관한 것으로, 지은이 지배선 교수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관련 사료들을 검토하여 기존의 연구 업적에 도전하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지 교수는 고선지의 패배를 둘러싼 제반 상황을 주의깊게 검토하지도 않은 채 이를 비난했던 중국측 자료들의 편견을 지적한다. 뿐만 아니라 고선지가 실크로드를 통해 일찍이 서양에 종이를 전파하여 종교개혁, 르네상스,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해 세계사의 무대에서도 또한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여느 평전과는 달리 3차원 디지털 복원 전문가와 동양화가를 동원해 책의 내용을 좀 더 생생히 살릴 수 있도록 삽화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이와 함께 준비한 여러 도판들 또한 보는 재미를 더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지배선(지은이)
연세대학교 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86 년「모용연의 중국화정책과 대외관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성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교수를 거쳐(1980~1992년), 1992년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세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역사문화학과 교수 그리고 명예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동경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객원교수(1990~1991 년)와 인디애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객원교수(1999~2000년)를 지냈다. 저서로는 『중세동북아사연구-모용완국사』, 『중세중국사연구-모용연과북연사』,『유럽문명의 아버지 고선지평전』,『고구려 백제 유민 이야기』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고구려인 이정기의 발자취」, 「고구려인 고선지(1)- 대토번 정벌을 중심으로」, 「고구려인 고선 지(2)-대 아랍전쟁을 중심아로」,「사마르칸트와 고 구려 관계에 대하여-고구려 사신의 방문 이유」등이 있다.
박진호(그림)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3차원 문화재 디지털 복원 전문가로 활동중이다. <이븐 바투타 여행기>(창작과 비평사)의 주인공인 이븐 바투타를 세계 최초로 영상 복원해냈으며, <고대문명교류사> 등의 책에 들어가는 삽화, <KBS역사스페셜>의 문화재 등을 디지털로 복원한 이력의 소유자다. 2006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문화재콘텐츠학과 강사이며, (주)CG WAVE '앙코르와트 디지털콘텐츠' 개발실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신라인의 실크로드>(공저), <고구려는 중국사인가>(공저)가 있다.
김현아(그림)
충남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지금은 화실을 경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시대 복원 화가로 활발히 활동할 계획이다.

목차
목차 추천사 = 5 머리말 = 8 프롤로그 = 14 01. 출생과 성장 1. 고구려인 포로 노예의 아들 = 23 2. 구당서가 전하는 고선지론 = 26 1) 〈고선지전〉의 기록 = 26 2) 〈봉상청전〉의 기록 = 42 02. 고선지의 토번 정벌 1. 당과 토번의 관계 = 51 1) 당이 토번 정벌에 나선 이유 = 51 2) 토번과 사라센제국의 연합 = 55 2. 토번과 소발률국의 관계 = 57 1) 출정 직전 토번 - 소발률국의 정세 = 57 3. 고선지 부대의 출정 = 64 1) 고선지의 출정 배경 = 64 2) 고선지 부대의 원정 루트 = 68 3) 원정 루트 분석 = 71 4) 고선지 부대의 식량 조달법 = 77 4. 고선지 부대의 토번 연운보 공략법 = 79 1) 토번의 요새 연운보와 당의 삼군법 = 79 5. 토번 연운보의 함락 = 85 1) 하늘이 도운 도하 작전 = 85 2) 고선지 부대의 연운보 함락 = 90 3) 연운보 함락이 갖는 의미 = 92 6. 계속되는 진군 = 95 1) 고선지 부대의 탄구령 횡단 = 95 7. 고선지 부대의 소발률국 점령 작전 = 107 1) 제1차 작전 - 평화적 담판과 교로 수축 = 107 2) 제2차 작전 - 왕성 포위와 선무 공작 = 111 3) 제3차 작전 - 수령 참수와 등교 절단 = 114 8. 소발률국 정복을 둘러싼 이견과 영향 = 119 1) 항복이 먼저냐, 등교 절단이 먼저냐? = 119 2) 고선지의 업적에 대한 왜곡된 평가 = 122 3) 소발률국 정복이 불러온 변화 = 124 9. 고선지 부대의 회군 = 127 10. 개선장군 고선지가 당한 수모 = 129 1) 부몽영찰의 부당한 핍박 = 129 2) 연운보 정벌은 이사업의 공이다? = 132 3) 부몽영찰의 시대착오적인 협박전술 = 134 11. 환관 변령성의 고선지 구명 = 137 1) 변령성의 도움과 고선지의 승진 = 137 2) 고선지, 서역의 새 주인으로 부상 = 143 03. 사진절도사 고선지의 활약 1. 고구려인 지휘관에 대한 반발 = 153 1) 장수들의 반발 = 153 2) 고선지의 처방 - 훈계와 용서 = 156 3) 고선지의 처방 - 재물을 통한 회유 = 157 4) 고선지의 처방 - 징계와 사면 = 159 2. 사진절도사 고선지의 서역 경략 = 161 1) 고선지의 연전연승 = 161 2) 소발률국을 둘러싼 주변 정세의 변화 = 165 3. 현종의 추가 포상과 토번의 굴복 = 167 04. 고선지의 석국 정벌 1. 석국 정벌과 그 배경 = 175 1) 석국의 친이슬람화 = 175 2) 석국 정벌 = 177 3) 석국 정벌의 의미 = 178 4) 석국 정벌 후 중앙아시아의 판도 변화 = 182 2. 석국 정벌을 둘러싼 오해와 곡해 = 185 1) 베크위즈의 악평 = 185 2) 샤반느의 악평 = 188 3) 《자치통감》의 악평 = 191 4) 《구당서》의 악평 = 193 3. 고선지의 진면목 = 197 1) 노랫말에 비친 진면목 = 197 2) 봉상청의 일화에 비친 진면목 = 200 05. 동서 문명의 대회전, 탈라스 전투 1. 8세기초 이슬람 세계의 표정 = 207 2. 탈라스 전투와 고선지의 참패 = 212 1) 탈라스 전투의 성격과 패인 = 212 3. 탈라스의 참패는 전적으로 고선지의 책임? = 219 1) 《구당서》의 고선지 비난 = 219 2) 스튜어트 레그의 고선지 비난 = 221 3) 오렐 스타인의 고선지 비난 = 223 4. 문명 전파의 교량, 탈라스 전투 = 225 1) 제지술의 전파 = 230 2) 화약 제조술의 전파 = 232 3) 나침반의 전파 = 233 5. 탈라스 전투가 불러온 동서 문명의 변화 = 235 1) 중앙아시아의 무슬림화 = 235 2) 중국에 소개된 아랍의 풍물 - 《경행기》 = 237 6. 탈라스 이후 중앙아시아의 세력 판도 = 239 7. 패전 후 고선지 장군의 동정 = 240 06. 안록산의 반란과 고선지의 최후 1. 고선지의 재등장 = 249 1) 고선지를 밀운군공에 봉한 이유 = 249 2) 봉상청의 출정 = 252 3) 고선지의 출정 = 253 2. 고선지의 대 반란군 작전 = 259 1) 섬주에서 동관으로의 퇴락 = 259 2) 동관 입성과 반란군의 퇴각 = 266 3) 고선지에게 우호적인 《당서》의 기록 = 271 3. 고선지와 환관 변령성의 갈등과 대립 = 273 1) 변령성의 지나친 간섭 = 273 2) 변령성의 추악한 모함 = 274 4. 고선지 장군의 최후 = 280 1) 봉상청의 최후 = 280 2) 고선지의 최후 - 100명의 칼잡이를 풀다 = 282 3) 고선지의 최후 - 결백함을 토로하다 = 284 4) 고선지의 최후 - 모든 장졸들이 고선지의 결백을 외치다 = 285 5) 고선지의 최후 - 고선지는 안록산이 아니었다 = 287 6) 고선지의 최후 - 봉상청의 시신에 대고 독백하다 = 288 5. 고선지의 사후에 빚어진 혼란상 = 291 6. 고선지 장군의 행적 = 293 1) 《탐라국 왕세기》에 적힌 행적 = 293 2) 〈이임보전〉에 적힌 행적 = 294 07. 제지술의 발명과 전파 1. 종이의 기원 = 301 2. 제지술의 한반도 및 일본 전파 = 307 3. 제지술의 이슬람 전파 = 312 4. 제지술의 유럽 전파 = 324 5. 제지술의 아메리카 전파 = 330 에필로그 = 334 기고문 = 340 참고문헌 = 346 Index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