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시민사회와 NGO 논쟁 : 주요 개념, 모델 및 이론

시민사회와 NGO 논쟁 : 주요 개념, 모델 및 이론 (4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주성수
서명 / 저자사항
시민사회와 NGO 논쟁 : 주요 개념, 모델 및 이론 / 주성수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출판부,   2001  
형태사항
221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시민사회시리즈 ;7
ISBN
8972181609
서지주기
참고문헌(p. 211-221)수록
000 00831camcc2200265 c 4500
001 000000802663
005 20101101113858
007 ta
008 011017s2001 ulka b AX 000c kor
020 ▼a 8972181609 ▼g 04330
035 ▼a KRIC08008238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d 244002
049 1 ▼l 111233691
082 0 4 ▼a 303.484 ▼2 20
085 ▼a 303.484 ▼2 DDCK
090 ▼a 303.484 ▼b 2001c
100 1 ▼a 주성수 ▼0 AUTH(211009)126664
245 1 0 ▼a 시민사회와 NGO 논쟁 : ▼b 주요 개념, 모델 및 이론 / ▼d 주성수 지음
260 ▼a 서울 : ▼b 한양대학교출판부, ▼c 2001
300 ▼a 221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시민사회시리즈 ; ▼v 7
504 ▼a 참고문헌(p. 211-221)수록
940 ▼a 시민사회와 엔지오 논쟁
949 ▼a 한양대 제삼섹터연구소 시민사회시리즈 ; ▼v 7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84 2001c 등록번호 1112336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4 2001c 등록번호 1511050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4 2001c 등록번호 1511050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84 2001c 등록번호 1112336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4 2001c 등록번호 1511050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84 2001c 등록번호 1511050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주성수(지은이)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1989~2019)로 재직한 이후 지금은 명예교수로, 학술지 <시민사회와 NGO> 편집위원장으로 있다. 시민사회에서는 1992년 경실련 사회복지위원회와 강동송파 경실련 공동대표, 1995년 한국자원봉사포럼 총무,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전문위원, 1998년 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기획위원, 1999년 KOPION 자문위원, 2007년 아시안프렌즈 이사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13년에는 서울시NPO지원센터 운영위원장, 2018년 국무총리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법제도 분과위원장으로 일했다. 대학에서는 1997년 제3섹터연구소를 창설해 1차(2004~2006)와 2차(2008~2010)에 걸쳐 글로벌 시민사회연대 네트워크 CIVICUS의 48개국 글로벌 시민사회지표 조사분석에 한국 대표로 연구활동을 진행했다. 주요 저서로 『기업시민정신과 NGO』(2003),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2005), 『아래로부터의 시민사회』(2008),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임팩트』(2017), 『사회적경제: 이론, 제도, 정책』(2010, 2019 개정), 『시민사회, 제3섹터, 비영리섹터, 사회적경제』(2019), 『글로벌 개발 임팩트 투자』(2020), 『사회적 가치 임팩트 투자』(2020), 『공공정책의 사회적 임팩트』(2022)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시민사회시리즈 제7권을 내면서) = 3
Ⅰ. 시민사회와 NGO의 시대 = 9
 1. 시민사회와 NGO의 등장 = 10
 2. 글로벌 패러다임의 이동 = 21
 3. 시민사회 이론의 논의 = 32
Ⅱ. 국가, 시장, 시민사회 모델 = 41
 1. 2대 섹터에서 3대 섹터로 = 41
 2. 반 틸의 4대 섹터 모델 = 43
 3. 재노스키의 4대 섹터 모델 = 44
 4. 오커넬의 5대 섹터 모델 = 46
 5. 페이턴의 6대 섹터 모델 = 52
 6. 빌리스-글렌네스터의 수요공급 모델 = 53
 7. 스미스, 슈페터, 페스토프, 빌리스, 바우어 모델 = 57
Ⅲ. 국가, 시장, 시민사회 관계 = 63
 1. '제3섹터'로서의 시민사회 = 64
 2. 개인과 국가의 중재조직 = 69
 3. 시장에 대한 견제세력 = 73
 4. 정부, 기업, 시민사회 관계 = 76
Ⅳ. 시민사회 개념의 모호성 = 83
 1. 정파에 따른 대조적인 의미 = 83
 2. 문화권에 따른 다양한 의미 = 86
 3. 각국 전통에 따른 용어의 혼용 = 89
 4. 국제적 용어의 통일? = 91
Ⅴ. 시민사회의 다양한 얼굴 = 93
 1. 정치적 얼굴 : 민주화와 시민권 = 94
 2. 문화적 얼굴 : 시민성과 커뮤니테리어니즘 = 96
 3. 경제적 얼굴 : 사회경제 = 99
 4. 시민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적 가치 = 103
Ⅵ. NGO, NPO, VO, CSO 개념 = 107
 1. NGO(비정부조직) 개념 = 107
 2. NPO(비영리조직) 개념 = 110
 3. VO(자원조직) 개념 = 112
 4. CSO(시민사회조직) 개념 = 114
 5. MBO(회원조직)와 PBO(공익조직) = 115
 6. PSC(공공서비스용역기관) 등 = 116
Ⅶ. 시민사회와 NGO의 유형 분류 = 119
 1. 시민사회와 NGO의 일반적 특성 = 120
 2. 세계은행의 CSO 기능 분류 = 124
 3. 유럽연합(EU)의 사회경제 분류 = 126
 4. 국제NPO분류(ICNPO) = 128
 5. 영국 NCVO와 자선위원회 분류 = 129
 6. 미국 세법의 NPO 분류 = 132
 7. 한국의 NGO(NPO) 조사 = 134
Ⅷ. 시민사회와 NGO의 정당성과 역할 = 139
 1. 시민사회와 NGO의 정당성 = 139
 2. NGO의 주요 기능 분류 = 144
 3. 사회적 기능과 서비스 제공 = 149
 4. 정부의 책무성과 투명성 제고 = 151
 5. 정부정책과 공공서비스 전달 = 155
 6. 국제사회에서의 NGO 역할 = 159
Ⅸ. 시민사회와 NGO의 한계와 과제 = 165
 1. 참여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 = 166
 2. NGO의 활성화와 경제적 측면 = 175
 3. NGO의 정치화와 권익주창 = 181
 4. NGO의 상업화와 정체성 논쟁 = 188
 5. NGO 자체의 책무성과 투명성 = 196
 6. 가버넌스의 파트너 역할 과제 = 200
참고문헌 = 211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규연 (2023)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