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法哲學 序論
Ⅰ. 法哲學의 意義 = 21
1. 法哲學의 意義 = 21
2. 法哲學과 法學 = 22
3. 法哲學과 哲學 = 23
Ⅱ. 法學에서의 法哲學의 위치 = 23
1. 법학의 분류 = 23
2. 法學(法解釋學)의 學問性 論議 = 25
Ⅲ. 法哲學의 課題 = 27
1. 存在論的 次元에서의 과제 = 28
2. 價値論的 次元에서의 과제 = 28
3. 認識論的 次元에서의 과제 = 28
4. 法哲學史的 次元에서의 과제 = 29
Ⅳ. 法哲學 方法論 = 29
1. 說明的 態度와 變革的 態度 = 29
2. 觀察者的 態度와 參與者的 態度 = 30
3. 兩者의 結合 = 30
제2장 古代의 法哲學
제1절 Orient의 법철학 = 31
Ⅰ. Egypt의 법사상 = 31
Ⅱ. Babilonia의 법사상 = 31
Ⅲ. Hebrai의 법사상 = 32
제2절 Greece의 법철학 = 33
Ⅰ. 개관 = 33
Ⅱ. 기원전 7세기 이전 = 34
1. 서양법사상의 기원 = 34
2. Homer = 35
3. Hesiodos = 35
4. Solon = 35
Ⅲ. 소크라테스 以前(Vorsokratik) = 36
1. 自然哲學(Naturphilosophie) = 36
2. Anaximandros = 37
3. Pythagoras = 37
4. Xenophanes = 38
5. Anaxagoras = 38
6. Herakieitos = 38
7. 原子論(Leukippos, Demokritos) = 39
Ⅳ. Sophist의 사상(Sophistik) = 40
1. 啓蒙期의 法思想 = 40
2. Protagoras = 40
3. 급진적 상대주의(실력주의) = 41
4. 懷疑主義 = 42
5. 평등자연법주의 = 42
Ⅴ. 아테네 哲學(古典 哲學) = 42
1. Socrates = 42
2. Platon = 44
3. Aristoteles = 47
Ⅵ. Hellenism期 = 50
1. 개관 = 51
2. 견유학파(Cynics, Kynik) = 51
3. 회의학파(Pyrrhon) = 51
4. Stoa학파(Stoicism) = 52
5. Epikuros학파(Epikourian) = 54
제3절 Rome의 법철학 = 54
Ⅰ. Rome法의 법철학 = 55
Ⅱ. 로마의 법학자 = 55
1. Celsus = 56
2. Gaius = 56
3. Paulus = 56
4. Cicero = 56
5. Seneca = 57
6. Uipianus = 57
제3장 中世의 法哲學
제1절 中世의 槪觀 = 58
제2절 敎父哲學 = 60
Ⅰ. 기독교 교의의 확립 = 60
Ⅱ. Augustinus = 60
Ⅲ. St. Isidorus = 62
제3절 게르만 법사상 = 62
Ⅰ. 게르만법의 특징 = 62
Ⅱ. Eike von repgow = 64
제4절 Scholar哲學 = 64
Ⅰ. 개관 = 64
Ⅱ. 初期(발전기) = 65
1. 신앙과 이성의 조화 = 65
2. 普遍(Universals)槪念論爭(Universalienstreit) = 65
Ⅲ. 中期(전성기) = 67
1. 신앙과 이성의 조화에서 통일로 = 67
2. Thomas Aquinas = 67
Ⅳ. 後期(쇠퇴기) = 71
1. 명목론, 유명론 = 71
2. John Duns Scotus = 72
3. William of Occam = 73
4. Marsiglio di Padadova = 74
5. 스페인의 後期스콜라學派 = 74
제4장 近代의 法哲學
제1절 近代의 槪觀 = 75
Ⅰ. 近代의 法狀況(時代背景) = 75
Ⅱ. 시대구분 = 78
제2절 改革期(過渡期)의 法哲學 = 80
Ⅰ. 종교개혁의 법철학 = 80
1. Martin Luther = 80
2. Melanchton = 81
3. Zwingli = 81
4. Jean Calvin = 81
Ⅱ. 가톨릭의 개혁운동 = 82
1. 트리앤트 공의회 = 82
2. Francisco de Vittoria = 83
3. Francisco Suarez = 83
Ⅲ. 휴머니즘 철학 = 84
1. 로마법의 繼受 = 84
2. 휴머니즘 법학(Humanistische Jurisprudence) = 86
Ⅳ. 絶對主義 法哲學 = 87
1. 개관 = 87
2. Niccolo Machiavelli = 87
3. Jean Bodin = 88
4. Johannes Althusius = 90
5. Francis Bacon = 91
제3절 自然法論(Naturrechtslehre) = 92
Ⅰ. 개관 = 92
Ⅱ. 近代自然法論의 分類 = 94
1. 절대주의적 자연법론과 자유주의적 자연법론 = 97
2. 자연주의와 법이성주의 = 95
Ⅲ. 近代自然法論의 特色 = 96
1. 神의 權威로부터의 解放 = 96
2. 合理主義(rationalism) = 96
3. 個人主義(individualism) = 97
4. 急進主義(radicalism) = 97
Ⅳ. 絶對主義的 傾向의 自然法論 = 98
1. 절대주의적 자연법론의 특징 : 법학적 자연법론 = 98
2. Hugo Grotius = 99
3. Thomas Hobbes = 100
4. Baruch Benedict Spinoza = 101
5. Samuel Pufendorf = 102
6. Gottfried Wilhelm Leibniz = 103
7. Christian Thomasius = 104
8. Christian Wolff = 105
9. Giambattista Vico = 107
10. Emmeric de Varttel = 107
Ⅴ. 自由主義的 傾向의 自然法論 = 108
1. 자유주의적 자연법론의 특징 : 政治的 自然法論 = 108
2. John Loke = 109
3. Montesquieu = 110
4. Rousseau = 112
Ⅵ. 近代自然法論의 影響(業績) = 115
1. 槪要 = 115
2. 絶對主義的 自然法論의 影響 = 116
3. 自然主義的 自然法論의 影響 = 116
Ⅶ. 近代自然法論의 限界 = 118
1. 二元論 = 118
2. 可變的 內容 = 118
3. 非歷史的 單線性 - 역사성의 문제 = 118
제4절 觀念主義(Idealismus) 法哲學 = 119
Ⅰ. 槪觀 = 119
Ⅱ. Imannuel Kant = 123
Ⅲ. Johan Fichte = 127
Ⅳ. Friedrich W. J. v. Schelling = 127
Ⅴ. Georg W. Hegel = 128
제5절 歷史法學派 = 133
Ⅰ. 槪觀 = 133
Ⅱ. Romanisten = 134
1. Gustav Hugo = 134
2. Friedrich Karl Savigny = 135
3. Georg Friedrich Puchta = 136
Ⅲ. Germanisten = 137
1. 先驅者 = 137
2. Otto von Gierke = 138
Ⅳ. 영미의 역사법학 = 138
1. Henry Maine = 138
2. James Coolige Carter = 138
제6절 法實證主義 = 138
Ⅰ. 槪觀 = 138
Ⅱ. 法實證主義의 特徵 = 140
1. 法解釋論(法解釋學)의 분야 - 槪念法學 = 140
1) 普通法學 = 141
2) 註釋法學 = 142
2. 一般理論의 분야 = 142
1) 一般法學(Allgemeine Rechtslehre) = 142
2) 分析法學(analitical Jurisprudence) = 145
Ⅲ. 法實證主義의 評價 = 147
제7절 功利主義法學 = 147
Ⅰ. 歷史法學의 克服 = 147
Ⅱ. Jeremy Bentham = 148
Ⅲ. John S. Mill = 150
Ⅳ. Rudolf v. Jhering = 151
제5장 現代의 法哲學
제1절 現代의 槪觀 = 153
Ⅰ. 현대의 문제상황 = 153
Ⅱ. 현대법철학의 개관 = 154
제2절 自由法論과 利益法論 = 158
Ⅰ. 自由法論(Freirechtslehre) = 158
1. 개관 = 158
2. 독일의 자유법론 = 159
3. 프랑스의 자유법론 = 160
4. 평가 = 460
Ⅱ. 利益法學 = 161
1. 자유법론과 이익법학 = 161
2. 이익법학의 내용 = 161
3. Philip von Heck = 162
4. 비판 = 162
제3절 法社會學(Rechtssoziologie) = 162
Ⅰ. 槪觀 = 162
Ⅱ. 法社會學 = 165
1. 개관 = 165
2. Eugen Ehrlich = 166
3. Max Weber = 168
4. Georges Gurvitch = 171
Ⅲ. 社會的 法學 = 172
1. 개관 = 173
2. 社會學的 法學 = 173
3. 法現實主義, 現實主義 法學 = 175
4. 統合法學 - Jerome Hall = 176
5. 過程法學 - Lon Fuller = 176
6. 法政策學 = 178
Ⅳ. 스칸디나비아의 법현실주의 = 178
1. 개관 = 178
2. Axel Hagerstr$\ddot{o}$m = 179
3. Vihelm Lund Stedti = 179
4. Alf Ross = 179
5. F. Vinding Kruse = 179
6. Frede Castberg = 180
Ⅴ. 사회주의 법학 = 180
1. 유물론 = 180
2. 법조파 사회주의 = 181
3. Neo Marxism = 182
Ⅵ. 사회연대주의와 제도적 법이론 = 182
1. 사회연대주의 = 182
2. 제도적 법이론 = 184
제4절 新Kant學派 = 186
Ⅰ. 개관 = 186
Ⅱ. Rudolf Stammler = 189
Ⅲ. Hans Kelsen = 190
Ⅳ. Emil Lask = 193
Ⅴ. Gustav Radbruch = 194
제5절 新Hegel學派 = 197
Ⅰ. 槪觀 = 197
Ⅱ. Josef Kohler = 198
Ⅲ. Wilhelm Sauer = 198
Ⅳ. Max Ernst Mayer = 199
Ⅴ. Julius Binder = 200
Ⅵ. Carl Schmitt = 200
Ⅶ. Karl Larenz = 202
제6절 現象學的 法哲學 = 203
Ⅰ. 槪觀 = 203
Ⅱ. Adolf Reinach = 205
Ⅲ. Fritz Schreier = 205
Ⅳ. Felix Kaufmann = 206
Ⅴ. 批判 = 206
제7절 實質的 價値論의 法哲學 = 207
Ⅰ. 개관 = 207
Ⅱ. Helmut Coing = 211
Ⅲ. Hans Welzel = 213
Ⅳ. Heinrich Henkel = 214
Ⅴ. 批判 = 216
제8절 實存主義의 法哲學 = 216
Ⅰ. 개관 = 216
Ⅱ. Werner Maihofer = 220
Ⅲ. Georg Cohn = 220
Ⅳ. Erich Fechner = 221
Ⅴ. Athur Kaufmann = 222
제9절 新Thomas主義의 自然法論 = 225
Ⅰ. 개관 = 225
Ⅱ. Heinrich Rommen = 227
Ⅲ. Johannes Messner = 229
Ⅳ. Louis Le Fur = 229
Ⅴ. Giorgio Del Vecchio = 230
제10절 프로테스탄트적 자연법론 = 230
Ⅰ. 개념 = 230
Ⅱ. Emil Brunner = 231
Ⅲ. J. Ellul = 231
제11절 新實證主義 = 231
Ⅰ. 制度的 法實證主義 = 231
Ⅱ. H. L. A. Hart = 235
Ⅲ. Ronald Dworkin = 239
Ⅳ. 분석철학 = 244
제12절 포스트모더니즘 法學 = 246
Ⅰ. 槪觀 = 246
Ⅱ. 法과 社會理論 = 248
1. 법과 사회 운동 = 248
2. Philip Selznick = 248
3. Lawrence Friedman = 249
Ⅲ. 批判法理論 1 - 批判理論 = 249
1. 개관 = 249
2. Jurgen Habermas = 249
Ⅳ. 批判法理論 2 - 批判法學運動(미국) = 252
1. 개관 = 252
2. Mark Tushnet = 253
3. David Trubek = 253
4. Duncan Kennedy = 253
5. Robert Unger = 253
6. 解體主義 法學 = 255
Ⅴ. 新自由主義論 = 255
1. F. A. v. Hayek와 신자유주의 = 255
2. N. Luhmann과 system이론 = 256
3. Richard A. Posner - 法經濟學 = 258
4. J. Rawls - 實質的 正義論의 復權 = 259
Ⅵ. 論議理論 - 新合理主義 法哲學 = 262
1. 개관 = 262
2. Theodor Viehweg과 토픽법학 = 263
3. Robert Alexy의 法的 論議理論 = 264
4. Chaim Perelman = 265
Ⅶ. 법과 실천이성 - Stephen. C. Hicks = 266
제6장 東洋의 法哲學
제1절 韓國의 法哲學 = 267
Ⅰ. 한국법의 철학적 기초 = 267
Ⅱ. 불교적 법철학 - 원효 = 267
Ⅲ. 유교적 법철학 = 267
1. 최치원 = 267
2. 정몽주 = 268
Ⅳ. 성리학적 법철학 = 268
1. 정도전 = 268
2. 양성지 = 268
3. 조광조 = 268
4. 이황 = 269
5. 이이 = 269
Ⅴ. 실학의 법철학 = 270
1. 이익 = 270
2. 유형원 = 270
3. 정약용 = 270
Ⅵ. 그리스도교적 법철학 = 272
1. 황사영 : 백서사건 = 272
2. 정하상 = 272
Ⅶ. 한말 민족주의의 법철학 = 272
1. 이항로 = 272
2. 유인석 = 273
3. 이인재(1870-1929) = 273
4. 최재우 = 273
5. 최시형 = 273
6. 전봉준 = 273
Ⅷ. 한국에 있어서 서양법의 수용 = 274
1. 김옥균 = 274
2. 유길준 = 274
3. 서재필 = 275
4. 유치형 = 276
5. 이준 = 276
Ⅸ. 현대 한국의 법철학 = 276
1. 이시영 = 276
2. 김병로 = 277
3. 조소앙 : 3균주의 = 277
4. 김홍섭 = 277
5. 이항녕 : 풍토법론 = 277
6. 전봉덕 : 한국적 자연법론 = 277
7. 유기천 : 샤머니즘법론 = 278
8. 황산덕 : 법도구론 = 278
9. 함병춘 : 유교법문화론 = 278
제2절 中國의 法哲學 = 278
Ⅰ. 중국 법철학의 개관 = 278
1. 시대구분 = 278
2. 중국법철학의 특징 = 279
Ⅱ. 古代의 법철학 = 280
1. 중국 고대 법사상의 특징(덕치주의의 영향) = 280
2. 儒家의 법철학 = 280
3. 法家의 법철학 = 283
4. 道家의 법철학 = 285
5. 墨家의 법철학 : 묵자 = 285
Ⅲ. 中世의 법철학 = 285
1. 漢 = 285
2. 唐의 法制 : 율령격식예 = 285
3. 宋 : 性理學 = 286
Ⅳ. 近代의 법철학 = 286
1. 明의 법제 = 286
2. 陽明學 : 王陽明 = 287
3. 考證學 = 287
Ⅴ. 現代의 법철학 = 287
1. 春秋公羊學 = 287
2. 康有爲 = 288
3. 譚嗣同 = 288
4. 梁啓超 = 288
5. 孫文 : 삼민주의 = 288
6. 沈家本 = 289
7. 吳經熊(John C. H. Wu) = 289
제3절 Islam의 법철학 = 290
Ⅰ. 이슬람 법문화의 특징 = 290
Ⅱ. 이슬람의 法制度 = 290
1. 法源 = 290
2. 회교법학자의 저술형식 = 291
3. 회교의 법률가 = 291
제4절 印度의 법철학 = 292
Ⅰ. 개관 = 292
Ⅱ. Brahman-Hinduism의 법제도 = 292
Ⅲ. 불교의 법철학 = 293
Ⅳ. 근대의 법철학 = 293
1. Gupte = 293
2. Tagore = 293
3. Mohandas Gandhi = 293
제7장 法哲學의 課題
제1절 法의 槪念 = 295
Ⅰ. 序 = 295
Ⅱ. 법개념의 先驗性과 經驗性 = 295
1. 선험적 법개념(순수형식으로서의 법개념) = 295
2. 경험적 법개념 = 296
3. 선험과 경험의 종합 = 297
Ⅲ. 법개념의 價値性과 現實性 = 297
1. 가치적 법개념 = 297
2. 현실적 법개념 = 299
3. 가치와 현실의 종합으로서의 법개념 = 299
제2절 法의 效力 = 300
Ⅰ. 序 = 300
Ⅱ. 法效力의 槪念 = 300
1. 법의 실효성(사실적 효력설) = 300
2. 합법성(법률학적 효력개념) = 301
3. 당위적 구속성(존재론적 효력개념) = 301
Ⅲ. 법효력의 근거 = 302
1. 사실적 동기설 = 302
2. 실력설 = 303
3. 실정법 내재설 = 304
4. 법이념설(정당성설) = 304
5. 승인설 = 305
6. 기타 이론 = 307
제3절 事物의 本性 = 307
Ⅰ. 序 = 307
1. 事物의 본성 = 307
2. 事物의 本性論 = 307
Ⅱ. 종래의 사물의 본성론 = 308
1. Montesquieu = 308
2. Jhering = 308
3. Adickes = 309
4. Otto B$\ddot{a}$hr = 309
5. Zitelmann = 309
6. Reinach = 309
Ⅲ. 사물의 본성론의 전개 = 309
1. 2차대전후의 사물의 본성론의 경향 = 309
2. 사회학적 고찰로서의 사물의 본성론 = 310
3. 자연법론으로서의 사물의 본성론 = 311
4. 사물의 본성 비판론 = 312
Ⅳ. 事物의 本性과 法 = 313
1. 事物의 本性에 대한 개념 = 313
2. 사물의 본성과 법의 관계 = 314
3. 結 = 314
제4절 法과 道德 = 314
Ⅰ. 序 = 314
Ⅱ. 법과 도덕의 개념적 구별 = 315
1. 외면성과 내면성(영역설) = 315
2. 합법성과 도덕성 - Kant(형식설), Henkel = 316
3. 강제성과 비강제성 = 317
4. 양면성과 일면성(Del Vecehio) = 317
5. 타율성과 자율성 = 318
6. 제정성과 비제정성(Hart, Kriele) = 318
7. 분리적 의욕과 결합적 의욕(Stammler) = 318
Ⅲ. 법과 도덕의 상호관계 = 318
1. 도덕의 분류 = 318
2. 법과 도덕의 사실상의 관계 = 319
3. 교차원의 관계, 동심원의 관계 = 320
4. 법과 도덕의 당위적 관계 = 320
5. 반도덕적 법률의 효력 = 321
제5절 法과 正義 = 322
Ⅰ. 序 = 322
1. 정의의 개념 = 322
2. 법과 정의의 관계 = 322
Ⅱ. 古代의 正義論 = 323
1. 自然哲學(Naturphilosophie) = 323
2. Sophist = 323
3. Socrates = 323
4. Platon = 323
5. Aristoteles = 324
6. Cicero = 325
7. Ulpianus = 325
Ⅲ. 中世의 正義論 = 326
1. Augustinus = 326
2. Thomas Aquinas = 326
3. German = 326
4. Occam, Scotus, Luther, Calvin = 326
Ⅳ. 近代의 正義論 = 327
1. Hobbes, Spinoza = 327
2. Thomasius - 정의의 황금을 = 327
3. Leibniz = 327
4. Locke, Rousseau = 327
5. Kant = 328
6. Hegel = 328
7. 공리주의 = 328
Ⅴ. 現代의 正義論 = 328
1. Hans Kelsen = 328
2. Radbruch = 329
3. Helmut Coing = 329
4. Tourtoulon = 330
5. Messner = 330
6. C. Perelman = 331
7. J. Rawls - 「正義論」(A Theory of Justice) = 331
(부록) 西洋法哲學史 槪觀
Ⅰ. 古代의 법철학 = 333
Ⅱ. 中世의 法哲學 = 334
Ⅲ. 近代의 法哲學 = 335
Ⅳ. 現代의 法哲學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