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 희곡의 모더니즘
1960년대 한국 모더니즘 희곡 연구
Ⅰ. 서론 = 11
1. 문제 제기 = 11
2. 연구사 검토 = 13
3. 연구 방법과 범위 = 21
Ⅱ. 모더니즘의 개념과 미학 = 24
1. 모더니즘의 개념 = 24
2. 모더니즘의 미학적 특성 = 31
1) 실존주의적 세계관 = 31
2) 미학적 자의식과 일상성 = 34
3) 동시성의 체험 = 36
3. 한국 모더니즘극의 형성과정과 성격 = 38
Ⅲ. 1960년대 모더니즘 희곡의 세계 = 46
1. 가족해체로 그려지는 현대인의 내면풍경 : 이근삼의 〈원고지〉 = 46
1) 가족해체로 그려지는 현대인의 내면풍경 = 46
2) 물신주의로 인한 소외된 일상의식 = 49
3) 대조와 왜곡으로 나타나는 표현주의 미학 = 52
2. 이상향에 대한 동경과 좌절 : 윤대성의 〈출발〉 = 59
1) 이상향에 대한 동경과 좌절 = 59
2) 인간관계의 단절로 그려진 파편화된 일상 = 64
3) 황무지 이미지와 죽음의식으로 표현된 낯설게 하기 = 67
3. 현대인의 구원의식과 통일 염원 : 박조열의 〈모가지가 긴 두 사람의 대화〉 = 75
1) 현대인의 구원의식과 통일 염원 = 75
2) 동일성 논리에 지배된 권태로운 일상 = 80
3) 알레고리적 비유로 그려진 우화의 세계 = 82
4. 황폐화된 세계상과 등장인물의 파편화 : 박조열의 〈흰둥이의 방문〉 = 85
1) 황폐화된 세계상과 등장인물의 파편화 = 85
2) 통제된 일상으로 조망한 부조리 세계 = 87
3) 시간의 공간화 = 91
5. 현대인의 불안과 모호한 존재성에 대한 탐색 : 오태석의 〈환절기〉 = 94
1) 현대인의 불안과 모호한 존재성에 대한 탐색 = 94
2) 부조화로 표현된 변형된 일상 = 100
3) 언어의 유희를 통한 낯설게 하기 = 103
6. 일상의 붕괴로 인한 분열과 죽음 의식 : 오태석의 〈유다여 닭이 울기 전에〉 = 108
1) 일상의 붕괴로 인한 분열과 죽음 의식 = 108
2) 일상적 교통의 소외 = 111
3) 공간화 기법으로서의 표현주의 수용 = 113
7. 소외된 주체의 자의식 : 이현화의 〈요한을 찾습니다〉 = 118
1) 소외된 주체의 자의식 = 118
2) 병리화된 인간관계로 그려지는 탈일상성 = 123
3) 열린 연극을 위한 코러스 활용 = 125
8. 감옥으로 조망한 현대인의 실존적 조건 : 이현화의 〈라마 사박다니〉 = 129
1) 감옥으로 조망한 현대인의 실존적 조건 = 129
2) 단절감으로 그려지는 일상성 = 133
3) 극중극으로 그려지는 연극놀이 = 135
Ⅳ. 1960년대 모더니즘 희곡의 특성과 의의 = 137
1. 실존주의적 세계관 = 137
2. 일상성 = 141
3. 형식적 특질 = 144
Ⅴ. 결론 = 148
참고문헌 = 152
제2부 한국 희곡의 비사실주의
이근삼 희곡 〈대왕은 죽기를 거부했다〉에 나타난 희극성 연구
1. 서론 = 163
2. 희극적 성격 : 그로테스크이미지와 축제적 결말 = 165
3. 희극적 기법 = 170
4. 극적구조와 작가의식 : 원형적 아이러니와 주제에 대한 천착 = 182
5. 결론 = 185
이근삼 희곡 〈원고지〉연구
1. 머리말 = 189
2. 〈원고지〉의 표현주의적 성격 = 190
3. 맺음말 = 205
윤대성 희곡 〈신화 1900〉의 서사성 연구
1. 서론 = 209
2. 서사극 이론의 적용범위 = 210
3. 서사적 특성 = 213
4. 결론 = 228
장정일 희곡의 표현주의
1. 머리말 = 231
2. 자아의 통일에 근거한 구성 = 233
3. 퇴행적 삶을 살아가는 인물 = 235
4. 언어의 고의적인 인위성 = 237
5. 일상적 의식의 파괴를 위한 낯설게 하기 = 244
6. 맺음말 = 247
제3부 남도의 창작극
자연주의풍으로 그려진 우리들의 일그러진 아버지 - 〈차코〉 = 253
'엽기'시대에 응전한 순수 연극 - 〈세상을 뒤집어 보는 연극 세 편〉 = 256
'신명'과 '난장'이 어우러진 한판 굿 - 〈통일 다시래기〉 = 259
제3회 '광주 우수 마당극 큰잔치'를 보고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