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론
제1장 현실과 가치 = 30
1. 가치맹목적·가치평가적·가치관계적·가치초월적 태도 = 30
2. 법과학·법철학·법의 종교철학 = 34
제2장 법의 가치고찰로서의 법철학 = 36
1. 방법이원주의 = 36
2. 상대주의 = 39
제3장 법철학의 경향들 = 45
1. 자연법론 = 45
2. 역사학파 = 47
3. 헤겔 = 49
4. 마르크스·엥겔스 : 유물사관 = 50
5. 일반법학 = 53
6. 예링 = 54
7. 슈탐러 = 56
8. 상대주의 = 57
9. 문화철학 = 58
10. 현대 법철학의 경향들 = 58
제4장 법의 개념 = 62
1. 법 : 법이념에 봉사하는 현실 = 63
2. 법이론으로서의 정의 = 64
3. 형평 = 66
4. 법개념의 연역 = 67
5. 선험적 법개념 = 68
제5장 법과 도덕 = 70
1. 관심방향의 외면성과 내면성 = 71
2. 목적주체에의 외면성과 내면성 = 73
3. 의무방식의 외면성과 내면성 = 74
4. 규범과 명령 = 75
5. 타당원천의 외면성과 내면성 = 76
6. 법의 타당근거로서의 도덕 = 78
7. 법의 목적으로서의 도덕 = 79
제6장 법과 관습 = 81
1. 관습의 이율배반적 성격 = 82
2. 관습의 사회적 기능 = 83
제7장 법의 목적 = 86
1. 개인가치·단체가치·작품가치 = 87
2. 세 가지 세계관 = 89
3. 세 가지 법률관 = 91
4. 세 가지 법률관의 변증법적 관계 = 93
5. 초인격적 견해 = 95
제8장 법철학적 정당이론 = 97
1. 정당 이데올로기의 의의 = 97
2. 개인주의 = 99
3. 개인의 개념 = 100
4.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 102
5. 사회법사상과 사회주의 = 104
6. 보수주의 = 106
7. 정치적 가톨리시즘 = 108
제9장 법이념의 상호모순 = 110
1. 정의·합목적성·법적 안정성 = 110
2. 법가치의 세 이념 사이의 긴장관계 = 112
3. 법철학의 이율배반적 성격 = 115
제10장 법의 효력 = 117
1. 법률적 효력론 = 117
2. 사회학적 효력론 = 119
3. 실력설 = 120
4. 승인설 = 121
5. 철학적 효력론 = 122
6. 효력론의 이율배반 = 125
제11장 법의 역사철학 = 128
1. 문화형으로서의 법 = 128
2. 법의 형식과 소재 = 129
3. 역사학파 = 129
4. 유물사관 = 130
5. 법이념의 실현 = 132
6. 법의 의식적·무의식적 발전 = 132
7. 정통설과 불연속설 = 134
제12장 법의 종교철학 = 136
1. 초기 그리스도교 = 137
2. 톨스토이 = 138
3. 가톨리시즘 = 139
4. 종교개혁 : 루터 = 140
제13장 법률인의 심리학 = 142
1. 생의 형식으로서의 객관적 법 = 142
2. 삶의 형식으로서의 주관적 법 = 146
3. 법감정과 양심 = 147
제14장 법의 미학 = 151
1. 법의 예술 : 법적 경험형식의 미학 = 152
2. 예술에서의 법 : 예술적 소재로서의 법 = 154
제15장 법학의 이론 = 156
1. 법학과 인접과학 = 156
2. 법학적 해석 = 158
3. 법적 구성과 체계화 = 165
4. 법개념 = 167
5. 이해적 문화과학으로서의 법학 = 168
6. 각론에의 입문 = 171
각론
제16장 사법과 공법 = 174
1. 공·사법개념의 선험적 성격 = 175
2. 자유주의적 견해 = 176
3. 보수적 견해와 사회적 견해 = 177
4. 사회법 = 177
제17장 인격 = 180
1. 평등개념으로서의 인격 = 180
2. 법인격문제의 목적론적 해석 = 182
3. 사비니, 기이르케, 브린츠 = 183
4. 개인주의적 의제설·초개인주의적 실재설·초인격적 목적재산설 = 184
제18장 소유권 = 186
1. 소유권개념의 선험적 성격 = 186
2. 점유설과 가공설 = 187
3. 개인주의적 소유권론 : 괴테 = 189
4. 개인주의적 소유권론 : 피히테 = 192
5. 사회적 소유권론 = 194
제19장 계약 = 196
1. 법생활의 정태와 동태 = 196
2. 사회계약과 사법적 계약 : 계약의 의제적 요소 = 197
3. 의사설과 표시설 = 199
제20장 혼인 = 202
1. 혼인법의 사회적 기초 = 203
2. 초개인주의적 혼인관 : 회칙 = 205
3. 초개인주의적 혼인관 : 바이마르 헌법 = 206
4. 개인주의적 혼인관 = 207
5. 소비에트 러시아 = 209
제21장 상속법 = 212
1. 유언의 자유 = 212
2. 개인주의적 견해 = 213
3. 초개인주의적·초인격적 견해 = 214
제22장 형법 = 217
1. 형벌의 정당화 = 217
2. 동의설과 응보설 = 218
3. 형벌의 목적 = 219
4. 형법과 정의 = 220
5. 형법과 합목적성 : 일반예방론 = 221
6. 합목적성 : 특별예방론 = 222
7. 합목적성 : 파시스트 형법 = 223
8. 합목적성 : 소비에트 형법 = 224
9. 형법과 법적 안정성 = 225
제23장 사형 = 226
1. 초인주의적 정당화 = 226
2. 사형과 계약이론 : 베카리아·루소·칸트 = 227
3. 사형과 정당방위 = 230
제24장 사면 = 232
1. 법제도로서의 사면 = 232
2. 법 앞에서의 사면 = 234
제25장 소송 = 236
1. 사법의 독립 = 236
2. 소송법관계 = 237
3. 기판력 = 238
제26장 법치국가 = 240
1. 법의 우선과 국가의 우선 = 240
2. 국가와 법의 동일성 = 241
3. 법에 의한 국가의 자기구속 = 244
4. 문제의 해결 : 초실정법에 의한 구속 = 244
5. 형식적 법치국가의 가치 = 245
제27장 교회법 = 247
1. 가톨리시즘 = 247
2. 조옴, 톨스토이 = 249
3. 루터 = 250
4. 복음교회의 헌법 = 253
제28장 국제법 = 255
1. 개인주의 : 세계국가 = 256
2. 초개인주의 : 주권론과 국제법부정 = 258
3. 초인격주의 : 국제법과 국제연맹 = 261
4. 국제법의 실재 = 262
제29장 전쟁 = 264
1. 전쟁의 윤리학 = 265
2. 전쟁의 법철학 = 265
3. 전쟁의 역사철학 = 266
4. 전쟁의 종교철학 = 268
부록 1 = 271
Ⅰ. 5분간의 법철학(1945) = 272
Ⅱ. 정의와 은총(1949) = 275
Ⅲ. 새로운 정당 - 새로운 정신(1945) = 282
Ⅳ. 법률적 불법과 초법률적 법(1946) = 285
Ⅴ. 「법철학」후기의 초안 = 296
부록 2 = 311
Ⅰ. 라드브루흐의 생애와 사상 = 312
Ⅱ. 현대법철학에 미친 라드브루흐의 영향 = 371
Ⅲ. 라드브루흐의 법철학적 저작 = 403
Ⅳ. 라드브루흐에 관한 연구문헌 = 406
Ⅴ. 《법철학》(본문)의 간행과 서평 = 414
Ⅵ. 라드브루흐 연보 = 417
Ⅶ. 라드브루흐에 관한 한국문헌 = 419
역자후기 = 421
역자 추가 후기 = 423
인명색인 = 425
사항색인 =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