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축사〔번역문·원문〕 / 코피 아난 = 5
발간사 / 박수길 = 9
권두논문 지구촌 시대와 유엔의 역할 증대 / 박수길 = 11
제1편 평화와 안보를 위한 유엔의 역할
제1장 유엔체제의 발전과 평가 / 박흥순
Ⅰ. 서론 = 31
Ⅱ. 국제기구의 발전과 유엔체제의 형성 = 33
Ⅲ. 유엔체제의 발전과 변화 = 38
Ⅳ. 유엔과 국제사회의 협력 = 54
Ⅴ. 유엔의 변화와 개혁 쟁점 = 63
Ⅵ. 유엔과 탈냉전시대 국제정치의 현실 = 70
Ⅶ. 유엔의 역할과 기여 = 75
Ⅷ. 결론 = 81
제2장 유엔 평화유지활동과 신국제질서 / 최영진
Ⅰ. 냉전종식과 PKO 활동의 확장 = 86
Ⅱ. 1993년 소말리아 PKO = 90
Ⅲ. 1994년 르완다 PKO = 92
Ⅳ. 1995년 보스니아 PKO = 96
Ⅴ. 제2기 PKO 출현 = 99
Ⅵ. 브라하미 보고서와 PKO의 개혁 = 102
Ⅶ. 대 테러 질서와 유엔 PKO = 105
제3장 유엔 제재의 효용성과 윤리성 / 임성남
Ⅰ. 서론 : 1990년대 국제 정치 환경의 변화 = 109
Ⅱ. 대 이라크 제재의 성립 과정 = 113
Ⅲ. 대 이라크 제재의 효용성 = 117
Ⅳ. 대 이라크 제재의 윤리성 = 124
Ⅴ. Oil-for-Food Program = 127
Ⅵ. UNMOVIC 체제의 등장 = 131
Ⅶ. 결론 = 133
제4장 유엔의 군축활동 / 이서항
Ⅰ. 서론 = 139
Ⅱ. 유엔의 군축 관련 기구 = 142
Ⅲ. 유엔주도 군축논의 및 협상의 성과 = 152
Ⅳ. 결론 : 향후 유엔 군축활동의 과제 = 170
제5장 다자조약의 산실로서의 유엔 / 김두영
Ⅰ. 다자조약 제정에 관한 유엔의 역할 = 175
Ⅱ. 다자조약 제정 개요 = 178
Ⅲ. 법률전문기구에서의 다자조약 성안 과정 = 194
Ⅳ. 주요 다자조약 제정 사례 : 유엔해양법협약 = 207
Ⅴ. 결론 = 214
제2편 유엔체제의 변화와 개혁
제6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개혁 / 김원수
Ⅰ. 서론 = 219
Ⅱ. 토의배경 = 224
Ⅲ. 안보리 개혁의 미로 = 233
Ⅳ. 안보리 개혁의 장래 전망 = 246
Ⅴ. 한국의 시각 = 255
제7장 유엔 재정위기와 분담금 제도 개편 / 박해윤
Ⅰ. 유엔 재정상황 = 259
Ⅱ. 유엔 재정위기 연혁 = 261
Ⅲ. 미국의 연체 분담금 문제와 유엔 개혁 = 263
Ⅳ. 제55차 총회 분담금 제도 개편 교섭 = 266
Ⅴ. 분담금 제도 개편 평가 및 향후 전망 = 275
제8장 개발을 위한 재원 문제 / 박재영
Ⅰ. 서론 = 279
Ⅱ. 개도국의 개발을 위한 유엔의 노력 = 281
Ⅲ. 몬테레이 개발재원회의(2002년) = 292
Ⅳ. 몬테레이 이후의 노력 = 310
Ⅴ. 결론 = 314
제3편 인도적 개입과 인권신장을 위한 노력
제9장 유엔과 인도적 개입 / 박희권
Ⅰ. 서론 = 321
Ⅱ. 인도적 개입의 의의와 역사적 사례 = 324
Ⅲ. 현대 국제법상 인도적 개입의 적법성 = 332
Ⅳ. 최근의 인도적 개입 문제 논의 = 341
Ⅴ. 결론 = 348
제10장 인도적 개입의 국제정치적 의미 / 김성한
Ⅰ. 인도적 개입과 국가주권 = 351
Ⅱ. 인도적 개입의 의미와 원칙 = 359
Ⅲ. 인도적 군사 개입의 양태 = 364
Ⅳ. 인도적 개입과 9·11 테러사태 = 368
Ⅴ. 한국외교에 대한 시사점 = 371
제11장 유엔인권협약의 제 권리에 대한 비교분석 / 마영삼
Ⅰ. 인권개념의 발전 = 375
Ⅱ.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범 = 378
Ⅲ. 시민적·정치적 권리와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의 비교 = 381
Ⅳ.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의 이행 문제 = 392
Ⅴ. A규약 이행에 관한 모니터링상의 문제점 = 399
Ⅵ. 결론 = 402
제12장 국제형사재판소 / 신각수
Ⅰ. 국제형사재판소 설립의 의의 및 배경 = 405
Ⅱ. 재판소 설립 경과 = 414
Ⅲ. 재판소 설립상의 주요 쟁점 = 420
Ⅳ. 주요 국가 및 한국의 입장 = 442
Ⅴ. 금후 전망 = 446
제13장 인권과 국제테러리즘 / 박수길 ; 박기갑
Ⅰ. 서론 = 451
Ⅱ. 반테러 전쟁과 인권 그리고 국가안보 = 455
Ⅲ. 테러리즘과 유엔 그리고 국제법 = 462
Ⅳ. 결론 = 470
제4편 새로운 과제와 유엔의 대응
제14장 국제테러리즘과 유엔의 역할 / 백진현
Ⅰ. 서론 = 475
Ⅱ. 국제테러리즘의 정의 및 최근 양태 = 476
Ⅲ. 국제테러리즘과 유엔의 역할 = 481
Ⅳ. 결론 = 195
제15장 유엔과 취약그룹(The Vulnerables) / 이신화
Ⅰ. 서론 = 497
Ⅱ. 취약그룹이란 누구인가? = 499
Ⅲ. 취약그룹문제와 유엔의 역할 = 506
Ⅳ. 결론 = 521
제16장 변화하는 기후체계와 유엔의 대응 / 최석영
Ⅰ. 기후변화와 유엔 = 525
Ⅱ. 기후변화의 메커니즘과 영향 = 529
Ⅲ. 기후변화협약 = 531
Ⅳ. 교토의정서 = 539
Ⅴ. 교토회의 이후(POST-Kyoto) 프로세스 = 547
Ⅵ. 우리나라의 여건과 대응 = 559
제17장 글로벌 협약(Global Compact)의 가능성과 한계 / 최영종
Ⅰ. 서론 = 563
Ⅱ. 유엔-초국적기업 관계의 변천 = 565
Ⅲ. 글로벌 협약 = 571
Ⅳ. 글로벌 협약의 주요 쟁점 = 580
Ⅴ. 성과와 전망 = 588
제5편 21세기 유엔과 한국외교
제18장 유엔과 한국외교 / 강성학
Ⅰ. 서론 = 593
Ⅱ. 국제평화기구와 한국 : 고고학 = 595
Ⅲ. 유엔의 변질 : "고슴도치"에서 "여우"로 = 599
Ⅳ. 정회원국으로서의 한국의 대유엔정책 : "고슴도치"에서 "여우"로 = 602
Ⅴ. 유엔에서의 한국의 프로파일 = 606
Ⅵ. 한국의 국제적 역할 : 제약과 기회 = 612
Ⅶ. 한국의 대유엔정책은 어떻게 : "자칼"처럼 편승하기? = 616
Ⅷ. 결론 = 623
제19장 유엔의 범세계적 이슈와 한국의 국가이익 / 이근
Ⅰ. 서론 = 627
Ⅱ. 국제기구의 독립적 영향력에 관한 이론적 논의 = 628
Ⅲ. 유엔의 범세계적 문제에 관한 담론 : 개발, 인권, 환경 = 633
Ⅳ. 유엔의 범세계적 이슈와 한국의 국가이익 = 642
Ⅴ. 결론 = 651
제20장 유엔의 미래와 미국의 역할 / 홍규덕
Ⅰ. 서론 = 653
Ⅱ. 유엔의 역할에 대한 평가 = 656
Ⅲ. 유엔 개혁 : 가능성과 한계 = 669
Ⅳ. 근본적인 정치변화의 필요성 = 683
Ⅴ. 결론 : 소외와 배제로부터 참여와 포용으로 = 700
용어해설 = 707
필자 소개 = 721
색인 =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