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70c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00800805 | |
005 | 20100805055603 | |
007 | ta | |
008 | 020117s2001 ulka r001ae kor | |
020 | ▼a 8980381794 ▼g 04190 : ▼c \9000 | |
020 | ▼a 898038050X(현대신서) | |
035 | ▼a KRIC08062761 | |
040 | ▼a 211042 ▼c 211042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232950 ▼f 개가 ▼l 111232951 ▼f 개가 |
082 | 0 4 | ▼a 844.914 ▼2 21 |
090 | ▼a 844.9 ▼b B888 영 | |
100 | 1 | ▼a Bruckner, Pascal , ▼d 1948- ▼0 AUTH(211009)29999 |
245 | 1 0 | ▼a 영원한 황홀 : ▼b 행복의 의무에 대한 에세이 / ▼d 파스칼 브뤼크네르 지음 ; ▼e 김웅권 옮김. |
246 | 1 9 | ▼a (L')euphorie perpetuelle : essai sur le devoir de bonheur |
246 | 3 9 | ▼a Euphorie perpetuelle : essai sur le devoir de bonheur |
260 | ▼a 서울 : ▼b 東文選 , ▼c 2001. | |
300 | ▼a 348 p. : ▼b 삽도 ; ▼c 21 cm. | |
440 | 0 0 | ▼a 현대신서 ; ▼v 81 |
500 | ▼a 색인 : p.345-348 | |
700 | 1 | ▼a 김웅권, ▼e 옮김 |
900 | 1 1 | ▼a 브뤼크네르, 파스칼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44.9 B888 영 | Accession No. 111232950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07-06-15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44.9 B888 영 | Accession No. 1112329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44.9 B888 영 | Accession No. 1511735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44.9 B888 영 | Accession No. 111232950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07-06-15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44.9 B888 영 | Accession No. 1112329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44.9 B888 영 | Accession No. 1511735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행복' 숭배에 빠진 사람들에게 '행복의 의무'를 일러주는 에세이. 글쓴이는 바야흐로 행복이 의무의 영역에 들어와 있다고 확신한다. 절대적 지상 명령처럼 그것이 우리의 일상을 장악해 버렸다는 것. 심지어는 우리의 육체가, 성생활이, 인생의 모든 것이 행복해져야 한다고 굳게 믿으며 만일 그렇지 않으면 곧 죄를 짓는 듯한 기분에 사로잡힐 정도라고.
그가 '불행'도 분명 삶의 일부라고 외친 데에는 이런 뒷배경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는 '불행'은 금새 어딘가로 달아나는 것도 아니니, 우리 모두 '행복의 죄의식'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조건 행복해야 할 의무는 그 누구에게도 없다는 것이다. 좀 행복하지 않더라도 당당하게, 자기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살아가자는 생각이다.
이렇게 브뤼크네르는 개인의 자유로운 안락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사회가 강요하는 행복을 넘어서서 각자 제멋대로 살자는 것. 남들처럼 행복하지 못해 안달하느니 차라리 행복과 무관한 삶을 살겠다는 배짱이기도 하다. 끝으로 그는 빛나지도 지속되지도 않는 우리의 삶, 그것이 지닌 부드러움과 덧없음을 사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파스칼 브뤼크네르(지은이)
소설가이자 철학자로서, 프랑스의 대표적 지성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1948년 파리에서 태어난 그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이 「비터문」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했던 동명소설 『비터문』의 원작자로서, 특유의 재치와 통찰력으로 주목받았다. 1995년에 『순진함의 유혹』으로 프랑스 3대 문학상의 하나인 메디치상을, 1997년에 『아름다움을 훔치는 사람들』로 르노도상을 수상하며 프랑스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했으며, 2002년에는 경제학 에세이 『번영의 비참』으로 최우수 경제학도서상(Prix du livre d'economie)을 수상하기도 했다. 대표작으로는 『영원한 황홀-행복의 의무에 관한 에세이』 『남편이 작아졌다』 『길모퉁이에서의 모험』 등이 있다. 소르본대학과 디드로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인문학도로서 파리 정치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한 바 있으며,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학과 뉴욕대학의 초청 교수를 지냈다. 현재 그라쎄 출판사의 편집인으로, 프랑스 3대 일간지 중 하나인 『르 몽드』와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김웅권(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리모주 대학과 몽펠리에 3대학(폴 발레리 대학)에서 앙드레 말로의 소설 연구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교수, 한남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고 프랑스의 『앙드레 말로 사전 Dictionnaire Malraux』 집필위원으로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 『말로와 소설의 상징시학』 『앙드레 말로의 문학세계: 동서 정신의 대화』 『타자와 나, 숨겨진 진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말로와 드골』 『상상의 박물관』 『몽상의 시학』 등 50여 권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 보이지 않는 회개 = 11 제Ⅰ부 : 낙원은 내가 있는 곳에 있다 1. 꿈과 거짓으로서의 삶 = 21 그리스도교도는 내세의 인간이다(보쉬에) = 21 지극한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고통 = 32 2. 황금 시대, 그리고 그 이후는? = 41 하나의 경이로운 약속 = 41 에덴 동산의 양면성 = 45 고통의 지속 = 49 3. 지복의 훈련 = 55 의지적인 매혹 = 58 자비로운 강제 = 64 건강, 성욕, 그리고 근심 = 68 무심이여, 안녕 = 72 행복감의 십자가 행로 = 79 제Ⅱ부 : 밋밋함의 왕국 혹은 평범함의 고안 4. 음울한 분위기의 부드럽고 쓰디쓴 서사시 = 87 구원과 짐 = 88 광적인 타성 = 95 5. 틀에 박힌 일의 극단주의 = 105 무의미함의 순교자들 = 105 공허의 제왕 = 108 기상학에 대한 열정 = 114 병든 육체의 모험 = 121 6. 진정한 삶이 없는 것은 아니다 = 131 운명과의 놓쳐 버린 약속 = 131 선망의 독 = 137 절정의 신비주의 = 142 정원가꾸기냐 급진성이냐? = 149 신비한 부조리 = 152 제Ⅲ부 : 부르주아 계급 또는 비루한 유복 7. 평균인, 평범한 인간의 푸짐하고 왕성한 육성… = 161 수도사가 아니면 병사가 되어야 한다 = 161 전쟁이 왜 안 된단 말인가? 재미있을 텐데! = 166 쓰디쓴 승리 = 172 8. 어떤 사람들의 행복은 다른 사람들의 저속한 허식이다 = 181 바닥 없는 심연 = 181 찬탈자의 전략 = 183 구원적인 저속한 작품을 위해 = 188 9. 돈이 행복을 주지 못한다면, 돈을 돌려 주어라! = 197 부자들은 행복의 모델인가? = 197 바람직한 것과 가증스러운 것 = 204 한없는 잠재성 = 207 검소함의 새로운 도덕? = 210 제Ⅳ부 : 법의 보호 밖에 있는 불행? 10. 괴로워하는 죄 = 219 쓰레기의 만연 = 220 고통의 새로운 문화를 향하여? = 229 함께 나누는 시련을 통한 인연만들기 = 234 희생자들, 또는 국경을 넘는 자들 = 238 작은 혁명들 = 240 11. 불가능한 지혜 = 245 고통에 대한 가르침이 있는가? = 245 화려하게 고통받은 자들 = 251 일시적 휴전 = 259 결론 : 베르뒤랭 부인의 크루아상 = 269 원주/역자 후기/서평/색인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