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국제정치이론 증보판

현대국제정치이론 증보판 (8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하영선
서명 / 저자사항
현대국제정치이론 / 하영선 편.
판사항
증보판
발행사항
서울 :   사회비평사 ,   1995.  
형태사항
435p. ; 23cm.
총서사항
사회비평신서 ; 30
ISBN
8930070302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비통제주제어
현대 , 국제정치 , 이론,,
000 00729pamccc200277 k 4500
001 000000800779
005 20100805055525
007 ta
008 950724s1995 ulk 000 kor
020 ▼a 8930070302 ▼g 03300 : ▼c \10000
035 ▼a KRIC00929477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49 1 ▼l 111138246 ▼f 개가 ▼l 111112939
052 0 1 ▼a 349 ▼b 하238ㅎㄷ ▼c 1995
056 ▼a 349 ▼2 3
082 0 4 ▼a 327 ▼2 21
090 ▼a 327 ▼b 1995e
100 1 ▼a 하영선 ▼0 AUTH(211009)144133
245 1 0 ▼a 현대국제정치이론 / ▼d 하영선 편.
250 ▼a 증보판
260 ▼a 서울 : ▼b 사회비평사 , ▼c 1995.
300 ▼a 435p. ; ▼c 23cm.
440 0 0 ▼a 사회비평신서 ; ▼v 30
504 ▼a 참고문헌수록
653 ▼a 현대 ▼a 국제정치 ▼a 이론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7 1995e 등록번호 111138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7 1995e 등록번호 1111129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하영선(엮은이)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판을 내며 = 7

머리말 = 8

제1장 현실주의 국제 정치 이론 / 강경희 = 15

 제1절 머리말 = 15

 제2절 현실주의 사상의 고전 = 16

 제3절 20세기 현실주의의 전개 = 26

 제4절 2차대전 이후의 이론화 작업 = 33

 제5절 현실주의에 대한 도전과 응전 = 53

 제6절 결론 = 66

제2장 자유주의 국제 정치 이론 / 마상윤 = 71

 제1절 서론 = 71

 제2절 자유주의적 사고의 원형 = 73

 제3절 통합 이론 = 82

 제4절 상호의존론 = 89

 제5절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 99

 제6절 결론 = 113

제3장 사회주의 국제 관계론 / 김성배 = 123

 제1절 서론 = 123

 제2절 고르바쵸프 등장 이전 소련의 국제 관계론의 전개 = 127

 제3절 고르바쵸프의 새로운 정치적 사고와 국제 관계론 = 142

 제4절 소련의 국제 관계론에 대한 평가 = 156

 제5절 결론 = 166

제4장 장주기 국제 정치 이론 / 김상배 = 173

 제1절 머리말 = 173

 제2절 자본주의 경제의 장기파동 이론 = 177

 제3절 세계 체제학파 = 185

 제4절 세계 지도력의 장주기학파 = 200

 제5절 국력 전이학파 = 214

 제6절 맺음말 = 228

제5장 역사 사회학적 국제 정치론 / 박세훈 = 237

 제1절 서론 : 국제정치학과 역사사회학 = 237

 제2절 분석 단위로서의 국가 = 244

 제3절 분석 단위로서의 국가 체제 = 260

 제4절 역사 사회학의 총체적 분석틀-IEMP 모델 = 272

 제5절 결론 = 278

제6장 비판 국제 정치 이론 / 장형원 = 283

 제1절 서론 = 283

 제2절 비판 국제 정치 이론의 등장 배경 = 286

 제3절 서구 좌파적 비판 국제 정치 이론 = 296

 제4절 구성주의 비판 국제 정치 이론 = 309

 제5절 해체주의 비판 국제 정치 이론 = 318

 제6절 결론 : 친화성과 차별성 = 332

제7장 규범 국제 정치 이론 / 하동완 = 343

 제1절 서론 = 343

 제2절 규범국제정치이론의 역사적 전개 = 346

 제3절 현대 규범국제정치이론 : 공동체주의와 코스모폴리타니즘 = 364

 제4절 인도적 개입의 윤리성 문제 = 394

 제5절 요약과 결론 = 405

제8장 한국 국제 정치학의 새로운 방향 모색 / 하영선 = 411

 제1절 문제의 제기 : 허학에서 실학으로 = 411

 제2절 한국 국제 정치학의 빈곤 = 412

 제3절 한국 국제 정치학의 당면 과제 = 417

 제4절 새로운 분석틀의 정립 = 421

 제5절 끝맺는 말 = 430

부록 : 한국 국제정치학 교과서의 목차 비교 = 431



관련분야 신착자료

민귀식 (2022)
임갑수 (2023)
五百旗頭薫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