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붙이는 글 = ⅲ
표 목차 = xii
그림·사료·사진·부록 목차 = xv
악보 목차 = xvi
第1篇 韓國古樂譜硏究
第1章 古樂譜硏究方法論 序說
1. 머리말 : 古樂譜硏究의 必要性 = 3
2. 古樂譜의 槪觀 = 5
3. 古樂譜의 解讀方法 = 12
4. 맺음말 : 새로운 譯譜의 可能性 = 25
〈부록 Ⅰ-1〉 『山水淸音』의 古樂譜 = 26
第2章 洋琴古樂譜에 關한 硏究
1. 머리말 :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46
2. 古樂譜의 槪觀 = 47
3. 洋琴古樂譜의 考察 = 50
4. 맺음말 : 洋琴古樂譜硏究의 새로운 認識 = 70
〈부록 Ⅰ-2〉 『歐邏鐵絲琴字譜』의 飜譯 = 72
第3章 『三竹琴譜』의 小還入과 兩淸還入의 比較 硏究
1. 머리말 : 『三竹琴譜』硏究의 必要性 = 81
2. 唐樂의 歷史的 受容과 步虛子의 旣存硏究 槪觀 = 84
3. 『三竹琴譜』의 小還入과 兩淸還入의 比較 考察 = 94
4. 맺음말 : 步虛子 變奏曲의 理解 = 134
〈부록 Ⅰ-3〉 『三竹琴譜』 小還入과 兩淸還入의 比較樂譜 = 136
〈부록 Ⅰ-4〉 『韓琴新譜』 步虛子除只와 『三竹琴譜』 羽調加樂除耳의 比較樂譜 = 140
第4章 『韓琴新譜』의 步虛子 除指 硏究
1. 머리말 : 『韓琴新譜』 步虛子 除指의 새로운 解釋 = 144
2. 『韓琴新譜』의 解題 = 147
3. 『韓琴新譜』 步虛子에 대한 考察 = 148
4. 맺음말 : 『韓琴新譜』 步虛子 除指의 새로운 理解 = 159
〈부록 Ⅰ-5〉 『韓琴新報』 步虛子의 變奏曲 五線樂譜 = 161
第2篇 韓國樂器硏究
第1章 國樂器의 새로운 理解
1. 머리말 : 국악기의 분류방법 = 177
2. 관악기 = 181
3. 현악기 = 208
4. 타악기 = 232
5. 기타악기 = 255
6. 맺음말 : 한국의 전통악기 = 260
第2章 國樂器의 새로운 調律方案 摸索
1. 머리말 : 有律打樂器의 調律方案 = 263
2. 有律打樂器의 種類 = 266
3. 音律算定法 = 274
4. 編鐘과 編磬의 調律方法 提示 = 284
5. 맺음말 : 새로운 調律方法의 適用 = 295
第3章 『樂學軌範』의 樂器考
1. 머리말 : 『樂學軌範』의 國樂器 種類 = 298
2. 『樂學軌範』의 解題 = 299
3. 『樂學軌範』의 國樂器 = 303
4. 맺음말 : 『樂學軌範』의 國樂器 內容 = 309
第4章 韓國鐘의 用途와 位相
1. 머리말 : 종의 쓰임새 = 310
2. 종의 역사적 배경 = 312
3. 한국의 범종과 국악기 = 316
4. 맺음말 : 한국종의 의미 = 333
第3篇 朝鮮王朝實錄硏究
第1章 『朝鮮王朝實錄』에 擧論된 文獻硏究
1. 머리말 : 『朝鮮王朝實錄』의 文獻的 價値 = 339
2. 『朝鮮王朝實錄』의 構成內容 및 歷史的 흐름 = 341
3. 『朝鮮王朝實錄』에 擧論된 文獻檢討 = 358
4. 맺음말 : 『朝鮮王朝實錄』의 새로운 理解 = 393
第2章 『朝鮮王朝實錄』의 文獻的 檢討
1. 머리말 : 朝鮮時代 禮樂政策에 反映된 文獻 = 397
2. 『律呂新書』·『文獻通考』·『樂記』의 史料出處 = 399
3. 『律呂新書』·『文獻通考』·『樂記』의 音樂史料 檢討 = 407
4. 맺음말 : 朝鮮時代 禮樂政策의 文獻 理解 = 429
第3章 『朝鮮王朝實錄』의 文獻的 考察
1. 머리말 : 硏究의 選定과 方法 = 432
2. 『周禮圖』·『禮書』·『大晟樂書』·『大晟樂譜』의 史料出處 = 434
3. 『周禮圖』·『禮書』·『大晟樂書』·『大晟樂譜』의 史料檢討 = 441
4. 맺음말 : 音樂的 文獻의 새로운 理解 = 459
第4章 『朝鮮王朝實錄』의 『樂書』 考察
1. 머리말 : 陳暘 『樂書』 硏究의 必要性 = 461
2. 陳暘 『樂書』의 構成內容 및 史料出處 = 463
3. 『朝鮮王朝實錄』에 擧論된 『樂書』의 史料檢討 = 467
4. 맺음말 : 陳暘 『樂書』의 새로운 理解 = 487
第5章 『朝鮮王朝實錄』의 『周禮』 考察
1. 머리말 : 硏究主題의 選定과 硏究課程 = 490
2.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周禮』의 史料出處 = 492
3. 『朝鮮王朝實錄』에 擧論된 『周禮』의 史料檢討 = 499
4. 맺음말 : 周公旦 『周禮』의 새로운 意味 = 524
第4篇 嶺南音樂硏究
第1章 大邱妓生의 音樂史的 考察
1. 머리말 : 향기연구의 과제 = 529
2. 기생의 조합 및 권번 내력 = 531
3. 대구기생의 공연활동 = 539
4. 맺음말 : 향기연구의 디딤돌 역할 = 545
第2章 嶺南 女流名唱의 留聲器音盤 再點檢
1. 머리말 : 영남 여류명창의 유성기음반 = 548
2. 유성기음반의 종류 = 550
3. 영남 여류명창의 유성기음반 내용 = 553
4. 유성기음반에 취입한 영남 여류명창 = 562
5. 맺음말 : 새로운 유성기음반의 이해 = 577
〈부록 Ⅳ-1〉 영남 여류명창의 유성기음반 목록 = 579
第3章 大邱地域 初·中·高等學校의 校歌 檢討
1. 머리말 : 교가 연구의 필요성 = 600
2. 학교의 음악교육과 교가의 인가제 = 602
3. 대구지역 초·중·고등학교의 교가 점검 = 611
4. 맺음말 : 새로운 교가 창작을 위하여 = 649
〈부록 Ⅳ-2〉 대구지역 초·중·고등학교 교가내용 = 654
第4章 『포토 慶北』의 音樂資料 出處 -대구 : 慶北日報社, 1991(창간호)∼1993(통권25호)- = 683
第5章 『한국가톨릭교회음악사료집』 索引 - 조선우 외. 부산 : 부산가톨릭음악원, 1994(권1)·1995(권2) - = 690
참고문헌 = 797
영문초록 = 811
찾아보기 = 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