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선사시대 및 고대의 한일교류
제1장 선사시대의 교류
1.1. 구석기 및 신석기시대의 교류 = 4
1.2. 야요이시대의 교류 = 5
1.2.1. 농경문화의 전래 = 5
농경문화의 공통성 = 5
농경문화인의 고향 = 7
1.2.2. 일본민족의 형성 = 8
1.2.3. 청동기문화의 전래 = 10
세형동검·동모·동과 = 12
동탁(銅鐸)과 다뉴세문경 = 13
청동기 재료의 원산지 = 15
1.2.4. 묘제의 전래 = 15
옹관묘 = 15
지석묘 = 17
1.2.5. 한반도의 야요이토기 = 18
요약 = 19
연습문제 = 21
심화학습 = 22
주요 용어 및 해설 = 24
참고문헌 = 26
제2장 철기와 토기 제작기술의 전래
2.1. 철의 전래 = 28
2.1.1. 제철기술 = 28
2.2.2. 철의 전래와 금관가야 = 28
2.1.3. 철정(鐵釘) = 30
2.2. 토기 및 제작기술의 전래 = 32
2.3. 철기 및 수혜기 전래의 의의 = 35
요약 = 37
연습문제 = 38
심화학습 = 39
주요 용어 및 해설 = 40
참고문헌 = 41
제3장 삼국과 왜의 관계
3.1. 백제와 왜의 관계 = 44
3.1.1. 칠지도 = 44
3.1.2. 아화왕(阿華王)의 대왜외교 = 48
3.1.3. 백제의 왕족외교 = 51
3.1.4. 백제 멸망과 백강(白江)전투 = 53
3.1.5. 산성(山城)의 축조 = 55
3.2. 신라와 왜의 관계 = 57
3.2.1. 『삼국사기』의 왜에 대한 기사 = 57
3.2.2. 우로전승(于老傳承)를 통해 본 왜 = 63
3.2.3. 박제상설화(朴堤上說話)를 통해 본 왜 = 65
3.2.4. 6세기 이후의 신라와 왜 관계 = 68
3.3. 고구려와 왜의 관계 = 70
3.3.1. 적석총의 전파 = 70
3.3.2『일본서기』속의 고구려 = 71
3.3.3. 다카마쓰총(高松塚) = 76
요약 = 78
연습문제 = 79
심화학습 = 82
주요 용어 및 해설 = 82
참고문헌 = 83
제4장 무령왕을 중심으로 본 대왜관계
4.1. 무령왕의 출세에 대한『일본서기』의 기록 = 85
4.2. 무령왕의 계보 = 86
4.3. 무령왕과 우전팔번 화상경(隅田八幡畵象鏡) = 89
4.4. 무령왕릉의 목관 = 91
요약 = 92
연습문제 = 93
심화학습 = 95
주요 용어 및 해설 = 96
참고문헌 = 98
제5장 불교의 전래
5.1. 불교의 전래 = 100
5.1.1. 성왕과 불교의 전래 = 100
5.1.2. 사찰의 건립 = 102
5.1.3. 불교전래의 의의 = 106
5.2. 불교문화의 개화 = 109
5.2.1. 아스카문화(飛鳥文化) = 109
5.2.2. 광륭사(廣隆寺)의 반가사유상 = 110
5.3. 각종 선진문물의 전래 = 111
5.3.1. 왕인과 금래재기 = 111
5.3.2. 오경박사 = 114
5.3.3. 선진문물 전래의 배경 = 115
요약 = 116
연습문제 = 116
심화학습 = 119
주요 용어 및 해설 = 121
참고문헌 = 121
제6장 가야 제국(伽倻諸國)의 멸망과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
6.1. 6세기 가야 제국의 시대적 상황 = 123
6.2. 가야의 멸망과정 = 124
6.3. 가야와 왜의 외교관계 = 129
6.4. 임나일본부 = 131
요약 = 133
연습문제 = 133
심화학습 = 135
주요 용어 및 해설 = 136
참고문헌 = 137
제7장 통일신라·발해와 일본
7.1. 통일신라와 일본 = 139
7.1.1. 대당전쟁기의 신라와 일본의 관계 = 139
7.1.2. 교역을 위주로 한 신라와 일본의 관계 = 140
7.1.3. 신라 상인 = 143
7.1.4. 정창원(正倉院)의 신라 물품 = 143
7.1.5. 신라 해적 = 146
7.1.6. 동아시아 속의 신라와 일본 = 147
7.2. 발해와 일본의 관계 = 148
7.2.1. 발해 사신의 발자취 = 148
7.2.2. 양국의 교섭 = 150
요약 = 153
연습문제 = 153
주요 용어 및 해설 = 156
참고문헌 = 157
제2부 고려시대의 한일관계
제8장 10세기초~12세기 중엽까지의 고려·일본관계
8.1. 고려와 일본의 외교적 접촉 = 162
8.2. 도이(刀伊)의 습격 = 163
8.3. 고려의 의사 파견 요청 = 166
8.4. 연평도(延坪島)사건 = 171
요약 = 173
연습문제 = 174
주요 용어 및 해설 = 176
참고문헌 = 178
제9장 12세기말에서 13세기 중엽까지의 고려·일본관계
9.1. 진봉관계의 성립과 그 내용 = 180
9.2. 대마도의 진봉관계가 지니는 의의 = 181
9.3. 진봉관계 성립의 시대적 배경 = 182
9.4. 다이라노기요모리(平淸盛)의 국내 항로 정비 = 185
9.5. 진봉관계의 종언 = 186
요약 = 187
연습문제 = 187
심화학습 = 189
주요 용어 및 해설 = 190
참고문헌 = 192
제19장 13세기말에서 14세기 전반까지의 고려·일본관계
10.1. 몽고·고려 연합군의 일본침공 = 195
10.2. 고려의 매응 = 196
10.3. 조이(趙彛) = 198
10.4. 일본초유책(日本招諭策)과 고려조정의 대응 = 198
10.5. 삼별초와 몽고의 일본침공 = 200
10.6. 돌아오지 못한 외교관-김유성(金有成)과 곽린(郭隣) = 201
10.7. 일본의 대응 = 202
10.8. 전투 상황 = 203
10.9. 일본침공 이후의 양국관계 = 207
10.9.1. 고려의 일본에 대한 경제 = 207
10.9.2. 일본의 경계태세 = 208
요약 = 209
연습문제 = 210
주요 용어 및 해설 = 212
참고문헌 = 213
제11장 14세기 후반에서 고려 멸망까지의 고려·일본관계
11.1. 왜구의 실상 = 216
11.2. 일본인들은 왜구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 221
11.2.1. ‘왜구는 무장상인단(武裝商人團)’설 = 221
11.2.2. ‘왜구발생의 원인은 삼도(三島)지역의 경제적 빈곤’설 = 222
11.2.3. ‘왜구는 고려’조선인 주체’설 또는 ‘왜구는 고려·일본인 연합’론 = 223
11.3. 왜구와 대마도 = 225
11.4. ‘경인년의 왜구’의 주체 = 227
11.5. 왜구와 악당 = 230
11.6. 고려조정의 왜구 대책 = 233
11.6.1. 외교적 대응 = 233
11.6.2. 군사적 대응 = 235
최영(崔營)의 홍산대첩(鴻山大捷) = 235
최무선(崔茂宣)의 진포대첩(鎭浦大捷) = 236
이성계(李成桂)의 황산대첩(荒山大捷) = 236
정지(鄭地)의 관음포 대첩(觀音浦大捷) = 238
박위(朴위)의 대마도정벌 = 239
11.7. 왜구의 진정(鎭靜) = 239
요약 = 240
연습문제 = 242
심화학습 = 244
주요 용어 및 해설 = 245
참고문헌 = 248
제3부 조선시대의 한일관계
제12장 조선 전기의 한일관계
12.1. 교린체제와 국교성립 = 252
12.1.1. 동아시아 국제정세 = 252
12.1.2. 국교성립 = 253
12.1.3. 교린체제(交隣體制)의 성격 = 254
책봉(冊封)과 교린 = 254
교린체제의 성격 = 255
12.2. 대왜구 정책과 대마도정벌 = 256
12.2.1. 조선초의 왜구실태 = 256
12.2.2. 왜구 금압 정책의 강화 = 257
12.2.3. 대바도정벌과 의의 = 259
12.3. 삼포왜관과 대일통제책 = 260
12.3.1. 삼포왜관 설치 = 260
12.3.2. 대일통제책 = 263
수도서제(授圖書制) = 263
서계(書契) = 264
행장(行狀)·노인(路引)·문인(文引) = 264
12.3.3. 계해약조(癸亥約條)와 통교규정 정비 = 265
계해약조 = 265
통교규정 정비 = 266
12.4. 외교와 무역 = 268
12.4.1. 사절 왕래와 유형 = 268
조선에 파견된 일본 사절 = 268
일본에 파견된 조선 사절 = 269
유구와 조선의 사절 왕래 = 270
12.4.2. 위사(僞史) 출현과 대장경(大藏經) 수출 = 271
위사출현 = 271
대장경 수출 = 271
12.4.3. 무역 유형과 무역품, 무역상인 = 273
무역 유형 = 273
수출품과 수입품 = 274
요약 = 275
연습문제 = 276
주요 용어 및 해설 = 278
참고문헌 = 279
제13장 조선 중기의 한일관계
13.1. 왜변의 발발과 양국의 대응 = 281
13.1.1. 삼포왜란에서 을묘왜변까지 = 281
발생 배경 = 281
삼포왜란 = 282
사량진왜변·을묘왜변 = 282
13.1.2. 약조 체결과 통교 축소 = 283
임신약조 = 283
정미약조 = 284
정사약조 = 284
13.1.3. 일본 막부 장군의 사절 파견 = 285
13.2. 임진왜란의 발생과 경과 = 286
13.2.1. 일본 국내정세와 명 정복 계획 = 286
일본 국내정세 = 286
명 정복 계획 = 288
13.2.2. 임진왜란의 발발·경과와 조선측 대응 = 290
임진왜란의 발발·경과 = 290
조선의 대응 = 293
13.2.3. 강화교섭의 결렬과 정유재란 = 296
강화교섭 = 296
정유재란 = 297
13.3. 임진왜란의 영향과 성격 = 301
13.3.1. 조선의 피해·영향 = 301
인적 피해 = 301
경제적 피해 = 302
문화적 피해 = 302
개혁정책 = 303
사상적 영향 = 303
신분제 동요 = 304
13.3.2. 일본과 명 = 304
일본 = 304
명 = 306
13.3.3. 전쟁의 성격 = 307
요약 = 308
연습문제 = 309
주요 용어 및 해설 = 310
참고문헌 = 311
제14장 조선후기의 한일관계
14.1. 국교 재개와 기유약조 = 313
14.1.1. 국교회복 교섭 = 313
일본의 강화교섭 요청 = 313
대마도에 대한 기미정책 = 313
조선의 정탐사절 = 314
14.1.2. 국교 재개와 회답겸쇄환사 파견 = 315
강화 조건 = 315
일본국왕사 = 315
회답겸쇄환사 = 316
14.1.3. 기유약조의 체결과 의의 = 317
기유약조의 체결 = 317
기유약조의 의의 = 318
14.2. 외교사절 파견과 국서개작사건 = 319
14.2.1. 통신사행(通信使行) = 319
통신사행의 출발에서 도착까지 = 319
통신사행의 역할 = 323
14.2.2. 문위행(問慰行) = 324
문위행 파견과 구성 = 324
문위행 역할 = 325
14.2.3. 연례송사(年例送使)와 차왜(差倭) = 325
연례송사 = 325
차왜 = 326
14.2.4. 국서개작사건(國書改作事件) = 327
14.2.5. 표류민 = 329
14.3. 경제교류 = 330
14.3.1. 목면에서 쌀로 바뀐 무역품 = 330
14.3.2. 개시무역의 발전 = 331
백사(白蛇)·인삼(人蔘)·은(銀)이 중심이 된 개시무역 = 331
대일무역을 이끈 조선 상인들 = 332
왜관 개시와 국내 유통권 = 334
14.3.3. 개시무역의 쇠퇴와 무역품 변화 = 334
14.4. 문화교류와 상호인식 = 336
14.4.1. 유학 = 336
강항과 일본 유학 = 336
이퇴계와 일본 유학 = 337
14.4.2. 문학 = 339
통신사와 일본 문사의 필담창화(必談唱和) = 339
금강산·후지산 우열 논쟁 = 340
부산 왜관에서의 필담창화 = 341
14.4.3. 예술 = 341
통신사 수행하원의 활동 = 341
조선 그림의 이·수출 = 343
일본 그림의 이입 = 344
14.4.4. 의학 = 345
14.4.5. 조선 학자의 대일 인식 = 348
실학자의 일본관의 특징 = 347
시기별 특징 = 347
14.4.6. 일본 학자의 조선 인식 = 348
막부 유학자의 인식 = 348
지방 유학자의 인식 = 350
국학자의 인식 = 352
14.5. 부산 단일왜관의 성립과 생활 = 353
14.5.1. 두모포왜관에서 초량왜관으로 = 353
왜관과 부산 = 353
절영도 임시왜관 = 353
두모포왜관 = 354
14.5.2. 초량왜관의 규모와 모습 = 355
14.5.3. 왜관의 일본인 생활 = 356
14.5.4. 왜관 주변의 조선인 생활 = 358
14.6. 교린체제의 변질과 붕괴 = 360
14.6.1. 교린체제의 변화와 역지빙례 = 360
통신사 파견 연기 = 360
1811년 대마도 역지빙례 = 361
오사카(大坂) 역지빙례 교섭 = 362
14.6.2. 침한론의 전개 = 363
1863~1864년의 침한론 = 363
1870년의 침한론 = 364
1873년의 침한론 = 365
14.6.3. 왜관의 침탈과 대일관계의 변화 = 366
왕정복구 서계 거부 = 366
왜관 침탈 = 367
조일수호조규의 성립 = 368
요약 = 370
연습문제 = 371
주요 용어 및 해설 = 373
참고문헌 = 374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