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거시경제학 : 이론·현실·정책 제4판

거시경제학 : 이론·현실·정책 제4판 (Loan 17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기화
Title Statement
거시경제학 : 이론·현실·정책 / 김기화 저.
판사항
제4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弘 ,   2002.  
Physical Medium
xxv, 782 p. : 삽도,챠트 ; 26 cm.
ISBN
8955170629
General Note
색인수록  
부록수록  
000 00605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95827
005 20100805044001
007 ta
008 021202s2002 ulkad 001a kor
020 ▼a 8955170629 ▼g 93320 : ▼c \27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31437 ▼f 개가 ▼l 111231438 ▼f 개가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2
100 1 ▼a 김기화 ▼0 AUTH(211009)68498
245 1 0 ▼a 거시경제학 : ▼b 이론·현실·정책 / ▼d 김기화 저.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弘 , ▼c 2002.
300 ▼a xxv, 782 p. : ▼b 삽도,챠트 ; ▼c 26 cm.
500 ▼a 색인수록
500 ▼a 부록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9 2002 Accession No. 111231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2 Accession No. 1112314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9 2002 Accession No. 1511473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9 2002 Accession No. 111231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2 Accession No. 1112314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9 2002 Accession No. 1511473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1장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1.1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4

   한국경제에 관한 몇 가지 논점 = 4

   일본의 장기불황과 디플레이션 = 4

   신경제·생산성·경제성장 = 7

   물가안정과 통화정책 = 9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 11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12

  1.2 한국경제의 변천과정 = 13

   주요 거시경제변수의 변화 = 13

    경제성장률 = 13

    순환변동과 GDP 갭 = 15

    실업률 = 16

    인플레이션 = 17

    이자율 = 19

    통화증가율 = 20

    국제수지 = 21

   주요 거시경제 변수들간의 관계 = 23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율 = 23

    통화증가율과 경제성장률 = 23

    통화증가율과 인플레이션율 = 24

  1.3 거시경제학의 주요문제 = 25

   생산과 인플레이션율간의 관계 : 필립스 곡선 = 25

   생산과 고용간의 관계 : 오쿤의 법칙 = 27

   통화의 역할 = 28

   재정적자와 국가채무의 문제 = 28

   경기순환의 문제 = 28

   국제수지와 환율의 문제 = 29

  1.4 거시경제 안정화정책 = 30

   정책의 목표 = 30

   정책수단 = 30

   시기와 강도 = 31

   원칙과 자유재량 = 31

  1.5 거시경제이론의 변천과정 = 32

   논쟁의 핵심 = 32

   거시경제학의 변천과정 = 33

  1.6 경제이론과 현실 그리고 정책 = 36

  1.7 본서의 구성 = 37

 2장 거시경제활동의 측정

  2.1 상품시장 = 40

   국민총생산 = 40

    사례연구[2-1]지하경제 = 41

    생산국민소득 = 42

    지출국민소득 = 43

    분배국민소득 = 44

   GDP 항등식 = 44

    지출면에서 파악한 GDP = 45

    소득의 처분면에서 파악한 GDP = 45

    저축과 투자의 일치 = 46

   실질GDP = 46

    국민총소득 = 47

   물가 수준 = 48

    GDP 환가지수 = 48

    생산자물가지수 = 48

    소비자물가지수 = 48

    논점[2-1] 지역내총생산(GRDP) = 49

  2.2 금융시장 = 50

   금융시장이란 무엇인가? = 50

    수요자와 공급자 = 51

    금융기관 = 51

    금융증권 = 51

   화폐 = 52

    화폐의 존재이유 = 52

    화폐의 기능 = 52

    화폐의 가치 = 54

    한국의 화폐 : 통화지표 = 54

   포트폴리오 = 56

   이자율 = 56

    수익률과 자산가격간의 역관계 = 56

    시장이자율 = 57

    논점[2-2] 화폐와 신용 = 57

    논점[2-3] 이자율의 결정 = 60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61

    논점[2-4] 고금리가 고물가의 원인인가? = 62

   증권시장 = 64

   민간부문의 순부 = 64

  2.3 노동시장 = 66

   경제활동인구 = 66

   실업률 = 67

   임금 = 68

   노동생산성 = 68

  2.4 외환시장 = 69

   환율 = 69

  부록 = 71

   실질 국민총소득(GNI) = 71

2편 거시경제모형

 3장 가격신축성과 거시경제모형

  3.1 거시경제학의 두 흐름 = 78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 = 78

    사례연구[3-1] 대공황은 다시 올 것인가? = 80

    가격변수의 신축성 = 82

    단기와 장기 = 83

    정보의 불확실성 = 83

    기대변수의 역할 = 84

    기대형성방식 = 84

    경제정책의 효과 = 84

    원칙과 자유재량 = 85

  3.2 모형의 기본구조 = 85

   총공급 = 86

   총수요 = 87

   경제의 균형 = 88

   총공급의 변화 = 89

   총수요의 변화 = 89

    논점[3-1] 거시경제모형들의 비교 = 91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93

  3.3 총공급과 노동시장 = 94

   생산함수 = 94

   노동에 대한 수요 = 95

   노동의 공급 = 99

    임금조정의 비신축성 = 102

    정보의 불완전성·화폐착각·노동공급 = 104

   노동시장의 균형과 생산량의 결정 = 106

    임금의 신축성과 자발적 실업 = 106

    임금경직성과 비자발적 실업 = 108

   총공급곡선의 도출 = 108

    화폐착각과 총공급곡선 = 111

    장기와 단기 = 112

  3.4 총수요와 IS/LM 모형 = 113

   재화시장의 균형과 IS 곡선 = 114

    재화시장의 균형 = 114

    IS곡선의 도출 = 116

    IS곡선의 의미 = 117

   화폐시장의 균형과 LM 곡선 = 119

    화폐시장의 균형 = 119

    LM 곡선의 의미 = 121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122

    수요측 균형 = 122

    경제의 조정과정 = 124

   경제정책의 효과 = 126

    통화정책의 효과 = 126

    재정정책과 구축효과 = 128

    논점[3-2] 절약의 역설 : 내가 돈을 써야 경제가 돌아간다? = 130

    사례연구[3-2] 불황 뚫는 해결사 전쟁의 딴 얼굴 = 131

    수용적 통화정책 = 133

    GDP의 구성과 정책혼합 = 134

    규제의 부작용 = 135

   총수요곡선의 도출 = 139

    총수요곡선의 이동과 경제정책 = 141

   IS/LM 모형의 문제점 = 141

   화폐수량설 = 142

    물가수준의 결정 = 143

    실질잔고에 대한 수요 = 144

    총수요의 결정 = 146

    인플레이션의 결정 = 147

  3.5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151

   경제의 균형 = 151

   경제의 조정과정 = 151

    석유파동과 정책대응 = 151

    생산성 증가의 영향 = 154

  3.6 경제정책의 효과 = 156

   통화정책의 효과 = 156

    재정정책과 구축효과 = 159

    수용적 통화정책 = 162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의 비교 = 163

    가격조정의 신축성 = 164

    장기와 단기 = 165

  부록 = 168

  3A.1 비자발적 실업에 관한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간의 논점 = 168

   케인즈학파의 비판 Ⅰ : 고전학파이론은 '특수이론'이다 = 168

   케인즈학파의 비판 Ⅱ : 임금이 신축적이라 해도 완전고용균형이 항상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 170

   고전학파의 반론 : 케인즈의 「일반이론」은 '특수이론'에 불과하다 = 171

   피구효과의 문제점 = 172

   최근동향 = 173

   사례연구[3-3] 피구효과는 존재하는가? : 일본의 물가하락과 고통 = 174

  3A.2 세이의 법칙과 왈라스 법칙 = 175

   세이의 법칙 = 175

   저축과 투자의 균형 = 176

   왈라스의 법칙 = 177

 4장 기대변수의 역할과 중요성

  4.1 기대변수의 중요성 = 180

  4.2 총공급 : 기대가 첨가된 필립스곡선 = 183

   필립스곡선 = 183

   자연실업률가설 = 186

    논점[4-1] 한국의 필립스 곡선 = 188

   기대가 첨가된 필립스 곡선 = 189

   단기총공급곡선 = 190

   장기총공급곡선 = 193

   인플레이션기대와 총공급 : 요약 = 194

  4.3 총수요 = 195

   IS/LM 모형의 문제점 = 196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이자율 = 196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수요 = 197

   총수요곡선의 도출 = 200

  4.4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203

   단기균형과 조정과정 = 203

    경제의 균형 = 203

    경제의 조정과정 = 204

   경제의 장기균형 = 206

  4.5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결정방식 = 207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결정방식 = 207

    완전예견 = 207

    정태적 기대 = 208

    적응적 기대 = 208

    합리적 기대 = 210

  4.6 합리적 기대와 거시경제학 = 210

   합리적 기대의 개념 = 210

   합리적 기대의 중요성 = 213

   합리적 기대 거시경제학 = 214

    주요내용 = 214

    사례연구[4-1] 즉흥적 채권시장 대책 = 245

   물가신축성과 합리적 기대 = 219

  4.7 정책효과분석 = 220

   기본모형 = 220

   예상한 정책의 효과 = 221

    신축적 물가모형 : 신고전학파 거시경제학 = 221

    논점[4-2] 합리적 기대인플레이션율의 계산 = 223

    비신축적 물가모형 : 신케인지언 거시경제학 = 224

    기대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 225

   예상하지 못한 정책의 효과 = 225

   잘못 예상한 정책의 효과 = 227

   인플레이션 억제정책의 효과 = 228

    신축적 물가모형 = 228

    비신축적 물가모형 = 229

    기대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 230

    사례연구[4-2] 성공적인 인플레이션 억제정책 : 볼리비아의 초인플레이션 = 230

   정책수행에 관한 시사점 : 요약 = 231

  부록 : 기타의 거시경제모형 = 234

   중복세대모형 = 234

   현금선불모형 = 236

   불균형모형 = 238

   공급경제학 = 240

3편 경제활동의 순환변동과 장기성장

 5장 순환변동의 특징적 현상

  5.1 경기순환의 정의 = 246

   경기순환의 정의 = 246

   순환변동 = 247

   경기순환의 국면 = 250

    수축국면 = 251

    확장국면 = 251

  5.2 순환변동의 특징 = 252

   자기상관 = 252

   공동변화 = 254

    경기순응적 변화와 경기역행적 변화 = 254

    경기순환의 선행 - 후행관계 = 255

    경기순환의 진폭 = 256

    순환변동의 대응성 = 257

    사례연구[5-1] 경기종합지수 = 257

    경기순환의 대칭성 = 258

  5.3 경기순환의 인식 = 259

   논점[5-1] 경기순환은 존재하는가? = 262

  5.4 경기순환과 후생 = 263

  5.5 경기순환이론 = 265

 6장 한국의 경기순환

  6.1 한국경제의 기준순환일 = 269

  6.2 경기순환의 특성 = 269

   공동변화 = 269

    경제성장률과의 관계 = 269

    통화량과의 관계 = 271

    인플레이션율과의 관계 = 272

   경제활동의 순환변동성 = 273

    순환변동의 감소 = 273

    경기순환의 지속성 = 274

    시차구조 = 274

    대칭성 = 274

   경기순환의 규칙성 = 274

  6.3 경기순환의 원인 = 275

   필립스곡선은 존재하는가? = 275

  6.4 경기순환과 통화정책 = 277

   경기순응적인 통화정책 = 278

   수용적 통화정책 = 281

   평가 = 282

  6.5 특징적 현상 = 283

 7장 신고전파 거시경제학

  7.1 균형경기순환이론 = 286

   배경 및 전제 = 286

   화폐적 순환이론과 실물적 순환이론 = 286

  7.2 화폐적 경기순환이론 = 288

   화폐와 경기순환 = 288

   화폐적 균형경기순환이론 = 289

    루카스 공급함수 = 289

    예상못한 화폐적 충격과 경기순환 = 291

    경기순환의 특징 = 292

   이론과 현실 = 292

  7.3 실물적 경기순환이론 = 293

   배경 = 293

   기간간 대체원리 = 294

   실물적 충격과 경기순환 = 300

    실물적 충격 = 300

    경기순환 = 301

    역의 인과관계 = 303

    정부정책의 역할 = 304

   경기순환은 지속적 현상인가? = 304

    임의보행과정 = 305

   성장이론과 순환이론의 결합 = 307

   이론과 현실 = 307

 8장 신케인지언 거시경제학

  8.1 가격의 비신축성 = 311

   신케인지언 경제이론의 특징 = 312

    논점[8-1] 조화의 실패 = 314

   가격의 비신축성 = 316

    조정비용 = 316

    재고의 역할 = 317

    장기계약 = 317

    시장구조 = 317

    불확실성 = 318

    시장의 이질성 = 318

  8.2 명목 비신축성 = 319

   임금의 비신축성 = 319

    장기계약이론 = 319

    장기계약의 필요성 = 321

   가격의 비신축성 = 322

    메뉴비용이론 = 322

    사례연구[8-1] 가격의 경직성 = 326

    재고의 역할 = 327

    사례연구[8-2] 가격조정의 비대칭성 = 330

   이자율의 비신축성 = 331

    금융시장의 불안정성과 신용할당 = 331

  8.3 실질 비신축성 = 335

   임금의 비신축성 = 336

    묵시적 계약이론 = 336

    효율적 임금가설 = 337

    사례연구[8-3] 헨리포드의 일당 5달러 = 338

    사례연구[8-4] 임금과 직장이동 = 339

    사례연구[8-5] 퇴직사원 찾습니다 = 339

    내부자-외부자 모형 = 340

   가격의 비신축성 = 342

    단골시장과 마크업 가격결정 = 342

 9장 경제의 장기성장

  경제성장 과정의 특징적 현상 = 346

  성장이론의 변천과정 = 346

  9.1 성장요인의 분해 = 348

  9.2 신고전파 성장모형 = 350

   기본모형 = 350

   장기균형상태의 결정 = 351

   저축률증가의 영향 = 355

   인구증가의 영향 = 356

   기술진보의 영향 = 357

  9.3 내생적 성장모형 = 359

   신고전파 성장모형의 문제점 = 359

    수렴가설 = 359

    외생적 성장모형 = 363

   내생적 성장모형의 일반적 특징 = 365

    AK 모형 = 365

   대표적 모형과 특징 = 368

    지식과 자본의 축적 = 368

    연구개발투자와 기술진보 = 370

    교육투자와 인적자본축적 = 370

   정책적 시사점 = 371

   평가 = 371

  9.4 경제개방과 장기성장 = 372

  9.5 경제정책과 장기성장 = 373

   저축과 투자의 확대 = 373

   생산성 향상 = 374

   제도의 개혁 = 374

4편 거시경제문제와 경제안정화정책

 10장 실업

  10.1 문제의 성격 = 380

  10.2 실업의 정의와 측정 = 380

   측정상의 문제 = 382

  10.3 노동시장의 구조와 실업의 유형 = 382

   스톡과 플로우 = 382

   실업의 유형 = 384

    실업의 유형 = 384

    실업률의 변화 = 385

    사례연구[10-1] 직장상실 비용 = 385

   균형실업률 = 386

    사례연구[10-2] 직장이동과 직업선택 = 387

    자연실업률 = 387

  10.4 실직기간과 실업의 분포 = 388

   실직기간 = 388

   실업의 분포 = 390

    사례연구[10-3] 40대 실직자 급증 = 390

  10.5 자연실업률 = 391

   개념 및 결정요인 = 391

   감소방안 = 392

   평가 = 393

  10.6 실업의 피해와 이득 = 393

   실업의 피해 = 393

   실업으로 인한 이득 = 395

   사례연구[10-4]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와 비정규직 노동시장 = 394

  10.7 정책 = 396

   사례연구[10-5] 한국과 외국의 실업률 및 실업정책 = 396

  부록 : 직업탐색이론 = 399

   비자발적 실업 = 399

    임금의 비신축성 = 399

    비신축성의 원인 = 399

   자발적 실업 = 399

   직업탐색이론 = 400

    기본개념 = 400

    정보경제학 = 400

    노동자의 탐색활동 = 401

    기업의 탐색활동 = 403

    균형임금과 탐색기간의 결정 = 404

    필립스곡선의 도출 = 404

    자연실업률가설 = 405

    정책적 시사점 = 406

    평가 = 406

 11장 인플레이션

  11.1 문제의 본질 = 408

   상대가격체계의 혼란과 불확실성 = 408

    논점[11-1] 인플레이션과 성장잠재력 = 410

    논점[11-2] 인플레이션에 관한 몇 가지 오류 = 411

  11.2 인플레이션의 원인 = 412

   수요측 인플레이션 = 413

    통화증가와 인플레이션 = 413

    정부지출증가와 인플레이션 = 414

   공급측 인플레이션 = 416

    사례연구[11-1] 공급측 요인과 물가상승 = 418

   기대인플레이션 = 419

  11.3 통화팽창과 인플레이션 = 419

   각국의 경험 = 419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인가? = 421

   통화증가의 원인 = 423

    성장위주의 경제정책 = 423

    수용적 통화정책 = 423

    재정적자 = 424

   인플레이션 조세 = 424

    사례연구[11-2] 통화증발을 통한 정부의 수입 = 426

   초인플레이션 = 428

    원인 = 429

    사례연구[11-3] 초인플레이션 = 429

    특징 = 430

    제거 = 431

    실증적 증거 = 434

  11.4 재정적자와 인플레이션 = 434

   통화증발로 충당하는 경우 = 434

    일시적인 재정적자 = 434

    지속적인 재정적자 = 435

   국채발행으로 충당하는 경우 = 435

    일시적인 재정적자 = 436

    지속적인 재정적자 = 437

   중앙은행의 독립성 = 438

    행정부가 주도권을 갖는 경우 = 438

    중앙은행이 주도권을 갖는 경우 = 439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 = 439

  11.5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440

   피셔관계식 = 440

   통화증가율과 이자율 = 440

    깁슨의 역설 = 442

   먼델-토빈효과 = 442

  11.6 인플레이션과 성장 = 443

  11.7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피해 = 444

   예상한 인플레이션 = 444

    제도의 조정이 즉각 이루어지는 경우 = 444

    제도의 조정이 불완전한 경우 = 445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 = 445

   상대가격의 변동과 불확실성 = 445

  11.8 정책 = 446

   총수요억제정책 = 446

   소득정책 = 447

    논점[11-3] 꺾기 : 가격통제의 부작용 = 448

   물가연동제 = 449

   공급확대정책 = 450

 12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12.1 문제의 성격 = 454

  12.2 인플레이션 억제정책 = 455

   점진적 정책 = 455

   급속냉각 정책 = 456

   평가 = 456

   정책신뢰성 = 457

    논점[12-1] 인플레이션 억제와 희생비율 = 458

    사례연구[12-1] 인플레이션 억제 : 주요국의 경험과 시사점 = 459

  12.3 선거와 경기순환 = 460

   집권당의 최적정책 = 460

 13장 거시경제안정화정책 : 총론

  13.1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 = 465

   충격과 불확실성 = 466

   가격변수의 신축성 = 467

   장기와 단기 = 467

   개입이 또 하나의 교란요인인가? = 468

  13.2 경제정책의 목표 = 468

  13.3 정책수단과 정부예산제약 = 469

   정부예산제약 = 469

   리카도 등가정리와 민간의 부 = 469

    리카도 등가정리 = 469

    리카도 등가정리와 민간의 부 = 471

   민간의 부와 정책수단간의 관계 = 472

    리카도 등가정리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 = 472

    리카도 등가정리가 성립되는 경우 = 472

   정책수단간의 상호제약 = 473

  13.4 원칙과 자유재량 = 474

   개념 = 474

    고정원칙 = 474

    상황원칙 = 474

   자유재량의 근거 = 476

    자격변수의 조정이 비신축적이다 = 476

    단기적인 조정과정도 중요하다 = 476

    정부의 지식과 정보 = 476

   원칙의 근거 = 477

    가격의 조정은 신축적이며 경제는 안정적이다 = 477

    급격한 경제활동 변화의 주원인은 정부의 실패이다 = 477

    정책시차가 길고 가변적이다 = 477

    루카스 비판 = 478

   최적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 478

    개념 = 478

    정책의 일관성과 비일관성 = 479

    일관성 있는 정책의 비최적성 = 479

    최적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 = 482

    자유재량보다는 원칙 = 483

   원칙의 유형 = 485

    통화정책의 원칙 = 485

    재정정책의 원칙 = 486

    원칙의 문제점 = 486

  13.5 정책의 유효성 = 487

   불확실성 = 488

   정책시차의 문제 = 489

    내부시차 = 489

    외부시차 = 489

    사례연구[13-1] 금리인하 효과 부동산 파급 시일 걸려 = 491

   기대의 역할 = 491

   정책신뢰성 = 492

 14장 재정정책

  14.1 정부와 재정정책 = 495

  14.2 공공부문의 규모 = 497

  14.3 정부지출과 구축효과 = 499

   물가변화와 구축효과 = 499

    물가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 499

    물가변화를 고려한 경우 = 499

   정부예산제약과 구축효과 = 500

    조세를 통한 보전 = 500

    통화증발을 통한 보전 = 500

    국채발행을 통한 보전 = 500

   부의 효과와 구축효과 = 501

    불안정한 경우 = 501

    상승효과 = 502

   물가예상과 구축효과 = 502

   요약 = 503

  14.4 재정적자의 문제 = 503

   재정적자의 측정 = 503

    완전고용 재정적자 = 504

    재정충격지수 = 505

   재정적자와 경제활동 = 508

    재정적자와 통화팽창 = 508

    재정적자와 인플레이션 = 509

    재정적자와 이자율 = 510

    재정적자와 국제수지 = 511

    사례연구[14-1] 국·공채발행 금리압박 = 512

    재정적자와 정책선택의 제약 = 513

    사례연구[14-2] 선진국 재정적자 세계경기 발목 = 514

  14.5 재정의 경기조절기능 = 515

  14.6 국가채무의 문제 = 517

   국가채무의 규모 = 517

    국가채무와 국채 = 517

    국가채무의 규모 = 518

    국가채무와 경제활동 = 519

   국가채무의 부담 = 520

    국가채무는 부담이 아니다 = 520

    국가채무는 부담이 된다 = 520

  14.7 정부의 규모 = 521

 15장 통화정책

  15.1 정책수행방식 = 524

   중간목표 방식 = 525

  15.2 정책수단 = 526

   간접수단 = 526

    공개시장조작 = 526

    지급준비율 = 527

    재할인율 = 527

   직접수단 = 528

    사례연구[15-1] 최종대부자 : 한국은행 특별융자 = 528

  15.3 중간목표 = 529

   중간목표 변수의 조건 = 529

   중간목표 선정의 어려움 = 530

    이자율의 조절 = 530

    통화량의 조절 = 530

    화폐시장에서 불확실성이 큰 경우 = 531

    실물시장에서 불확실성이 큰 경우 = 532

    장기와 단기 = 532

   이자율목표 = 533

   통화증가율목표 = 535

   명목GNP목표 = 537

   환율목표 = 539

    논점[15-1] 달러통용제 = 540

  15.4 인플레이션 목표정책 = 542

   개념 및 운용방식 = 542

   도입배경 = 543

   실행상의 문제점 = 545

   논점[15-2] 0% 인플레이션? = 546

  15.5 통화정책의 전달과정 = 547

   통화중시견해 = 547

    포트폴리오 재조정 과정 = 548

    부의 효과 = 550

    기대인플레이션 효과 = 551

    환율 및 국제수지경로 = 551

    공시효과 = 552

   신용중시 견해 = 552

    신용이용가능성 = 552

    신용경로의 조건 = 555

    논점[15-3] 신용경색 = 554

    통화중시 견해와 신용중시 견해의 비교 = 556

    논점[15-4] 통화량과 대출간의 관계 = 557

   요약 = 558

  15.6 통화정책의 유효성 = 559

   논점[15-5] 화폐의 중립성 = 560

  15.7 한국의 통화정책 = 561

   사례연구[15-2] 한국은행의 역할 = 561

   정책수단 : 공개시장조작 = 562

   운용방식 : 물가안정목표제 = 563

   경기조절 기능 = 564

   사례연구[15-3] 80년 이후의 주요 경제정책 = 565

 16장 금융과 거시경제활동

  16.1 금융과 거시경제활동 = 569

   금융중개기능의 중요성 = 569

    정보비대칭성과 금융중개의 기능 = 569

   금융요소와 거시경제활동 = 572

    신용의 이용가능성 = 572

    차입자의 대차대조표상태 = 574

    이자율격차와 경제활동 = 575

    자산가격 변화와 거시경제활동 = 575

    사례연구[16-1] 자산가격 하락과 일본의 장기불황 = 576

  16.2 금융위기 = 577

   금융위기의 원인 = 578

    금융위기의 개념 = 578

    금융시장 내부적 요인 = 578

    사례연구[16-2] 금융사고 = 580

    사례연구[16-3] 예금인출사태 = 580

    시장 외부적 요인 = 581

   금융위기에 관한 가설 = 581

    통화주의자의 견해 = 581

    부채-디플레이션 과정 = 582

    금융불안정성 가설 = 583

    사례연구[16-4] Ponzi금융, Ponzi게임 = 583

    정보 비대칭성 가설 = 585

   금융위기와 실물경제활동 = 586

    금융위기의 특징 = 586

    금융위기의 국가간 파급 = 586

    사례연구[16-5] 멕시코의 금융위기·중남미 감염 = 587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활동 = 588

   금융위기의 종식 = 589

    시장내부의 조절작용 = 589

    공적기구의 개입 = 589

  16.3 한국의 금융위기 = 591

   진행과정과 특징 = 592

    외환위기 : 환율의 급격한 상승 = 592

    위험과 불확실성의 증가 = 594

    금융기관 퇴출 = 595

    자산가치 하락과 이자율 상승 = 596

    불황의 심화 = 597

    공적기구의 개입 = 598

    요약 = 598

   원인 = 599

    금융적 측면 = 599

    실물적 측면 = 599

    해외요인 = 599

5편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17장 소비와 저축

  17.1 소득과 소비 = 606

   절대소득가설 = 606

   소비에 관한 세 가지 수수께끼 = 607

  17.2 동태적 최적화원리 = 608

  17.3 생애소득가설 = 610

   사례연구[17-1] 소비와 부의 효과 = 612

   시사점 = 613

  17.4 항상소득가설 = 614

   시사점 = 616

  17.5 합리적 기대와 소비 = 617

   합리적 기대와 항상소득가설 = 617

   정책적 시사점 = 617

   유동성제약과 소비 = 618

  17.6 상대소득가설 = 619

  17.7 이자율과 소비 = 620

  17.8 소비와 IS/LM 모형 = 620

   사례연구[17-2] 저축률의 국제비교 = 622

 18장 투자

  18.1 투자의 중요성 = 626

  18.2 고정투자의 결정이론 = 629

   투자수익의 현재가치법 = 629

   투자의 한계효율법 = 631

    내부수익률 = 631

   신고전파이론 = 633

    적정자본량과 투자 = 633

    적정자본량의 결정 = 633

    자본생산성의 결정 = 634

    자본의 사용자비용 = 635

    적정자본량의 결정 = 636

    투자의 결정 = 636

   가속도원리 = 637

   토빈의 q이론 = 637

  18.3 재고투자 = 640

   재고보유의 동기 = 640

   재고투자의 결정 = 641

   재고투자와 경기순환 = 641

  18.4 금융제약과 투자 = 643

   신용이용가능성과 투자 = 644

   현금흐름과 투자 = 645

  18.5 경제정책과 투자 = 646

 19장 화폐에 대한 수요와 공급

  19.1 문제의 제기 = 650

  19.2 화폐수요의 중요성 = 651

   중요성 = 651

   화폐수요의 기본개념 = 651

    화폐의 의미 = 651

    자산들의 특성 = 652

    화폐보유의 동기 = 653

  19.3 거래적 화폐수요 = 654

   재고보유이론 = 654

  19.4 예비적 화폐수요 = 657

  19.5 투기적 화폐수요 = 658

   사례연구[19-1] 자산선택의 원리 : 위험과 수익성 = 659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이론 = 660

    기본가정 = 660

    개인의 화폐수요 = 661

    경제전체의 화폐수요 = 663

    평가 = 664

   토빈의 자산선택이론 = 665

    기본가정 = 665

    자산선택이론 = 666

    화폐수요함수의 도출 = 669

    평가 = 669

  19.6 신화폐수량설과 통화주의 = 670

   신화폐수량설 = 670

    부의 제약조건 = 670

    가격 제약조건 = 671

    화폐 수요함수 = 671

   통화주의 = 672

    평가 = 674

  19.7 화폐에 대한 수요 : 요약 = 676

  19.8 통화량의 구성 = 677

  19.9 본원통화 = 678

  19.10 통화승수와 통화량의 결정 = 680

   지급준비제도와 신용창조 = 680

   통화량의 결정 = 680

    통화량과 대출간의 관계 = 681

  19.11 통화승수의 결정 = 683

   통화승수의 크기 = 683

   현금과 요구불예금의 비율 = 684

    사례연구[19-2] 통화의 계절성 : 설과 현금통화 = 685

   지급준비와 요구불예금의 비율 = 686

  19.12 통화량은 정책변수인가? = 689

   국제수지와 통화공급 = 690

   자본시장 발달의 필요성 = 691

   이자율의 역할 = 691

  19.13 화폐시장의 균형 = 692

  19.14 정책적인 시사점 = 693

   화폐수요와 경제정책 = 693

   통화공급과 경제정책 = 694

6편 경제개방과 국가간 상호의존

 20장 개방경제의 문제와 정책

  20.1 고정환율제도에서의 경제의 조정과 정책 = 702

   국내균형과 국제수지의 균형 = 702

    국제수지의 개념 = 702

    개방경제의 IS/LM 모형 = 704

    사례연구[20-1] 美, '쌍둥이 적자' 왜 문제인가? = 703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706

    국제수지 조정정책의 효과 = 707

    정책혼합과 종합균형의 달성 = 708

   균형소득과 물가수준의 결정 = 710

    개방경제의 총수요·총공급모형 = 710

    경제의 균형과 조정과정 = 710

    통화정책의 효과 = 711

    평가절하의 효과 = 713

   국제수지조정에 관한 통화주의적 접근 = 714

    통화주의적 접근 = 714

    IMF의 정책권고 = 715

  20.2 변동환율제도에서의 경제의 조정과 정책 = 716

   변동환율제도의 특징 = 716

   균형소득과 환율의 결정 = 716

    통화정책의 효과 = 717

    재정정책의 효과 = 718

   환율의 변화 = 718

    구매력평가설과 통화주의적 접근 = 718

    이자율재정과 환율변화 = 720

    통화팽창과 환율의 overshooting = 720

    사례연구[20-2] 美·日 금리차 확대 : 일 자금유출 가속 = 721

    사례연구[20-3] 달러 약세로 유로貨 채권 인기 = 722

    변동환율제 평가 = 722

    환율변동의 불확실성 증대 = 722

    환율변동의 목표대 설정 = 723

  20.3 국가간 상호의존과 정책협조 = 723

   사례연구[20-4] 국가간 정책협조의 갈등 = 725

부록 : 연습문제 및 도움말 = 731

찾아보기 = 77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