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00camcc2200349 c 4500 | |
001 | 000000795489 | |
005 | 20140423094812 | |
007 | ta | |
008 | 020412s2001 gbkj b 001c kor | |
020 | ▼a 8941901162 ▼g 94230 | |
020 | 1 | ▼a 8941901510 (세트) |
035 | ▼a KRIC08265427 | |
040 | ▼a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221248 ▼f 개가 |
082 | 0 4 | ▼a 270 ▼2 23 |
085 | ▼a 270 ▼2 DDCK | |
090 | ▼a 270 ▼b 2001c | |
100 | 1 | ▼a Franzen, August, ▼d 1912-1972 |
245 | 1 0 | ▼a 세계 교회사 / ▼d 아우구스트 프란츤 ; ▼e [Remigius Baumer, ▼e Roland Frohlich 편] ; ▼e 최석우 역 |
246 | 1 9 | ▼a Kleine Kirchengeschichte |
250 | ▼a 개정증보판 | |
260 | ▼a 칠곡군 : ▼b 분도출판사, ▼c 2001 ▼g (2010) | |
300 | ▼a 552 p. : ▼b 연표 ; ▼c 23 cm | |
440 | 0 0 | ▼a 신학 텍스트 총서 ; ▼v 2.1 |
504 | ▼a 참고문헌(p. 488-51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hurch history |
700 | 1 | ▼a Baumer, Remigius, ▼e 편 |
700 | 1 | ▼a Frohlich, Roland, ▼d 1937-, ▼e 편 |
700 | 1 | ▼a 최석우 ▼g 崔奭祐, ▼d 1922-, ▼e 역 |
900 | 1 0 | ▼a 프란츤, 아우구스트,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 2001c | 등록번호 1112212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 2001c | 등록번호 5110179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아우구스트 프란츤(지은이)
독일 부퍼탈-바르멘 출생했다. 본 대학에서 신학박사를 취득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2년 동안 바티간 고문서고에서 연구하면서 그레고리안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공부했다. 1951년 본에서 후베르트예딘의 지도로 교수 자격 취득(교회사 전공)헸고, 프라이부르크 대학 원외 교수. 교회사 정교수를 하였다. 1966부터 1972년까지 '가톨릭 저술가 문헌 출판협회'회장을 역임했으며, 1972년 3월 20일 프라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지은책으로 <세계교회사>가 있다.
래미기우스 보이머(지은이)
1918년 독일 게펠스베르크 출생, 본 대학에서 신학박사를 취득하고, 프라이 부르크 대학에서 프란츤의 지도로 교수 자격을 취득했으며, 파더본 신학대학의 교회사,교부학 교수,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중/근대 교회사 교수를 역임했다.
최석우(옮긴이)
1922년 황해도에서 태어나 1950년 성신대학 신학과를 졸업하고 사제가 되었다. 1956년 벨기에 루뱅 대학교에서 신학석사를, 1961년 독일 본 대학교에서 신학박사를 취득한 후 1961~72년 가톨릭대학 신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1962~75년 이문동·양화진·가회동·명동·삼각지 성당에서 사목했고 1975년부터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이사장·명예소장 등으로 봉직했다. 『한국 가톨릭 대사전』 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1987년에는 프랑스 국가 공로훈장 기사장을 수훈했다. 2001년 명지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5년 3월 10일 몬시뇰(명예 고위 성직자)에 서임되었다. 『병인박해 자료 연구』(1968)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1982) 『한국 교회사의 탐구』 I,II,III(1982~2000) 등을 짓고 土屋吉正의 『미사』(1990) A. Franzen의 『세계 교회사』(2001) H. Jedin의 『세계 공의회사』(2005)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개정증보판의 머리말 = 6 제1부 고대 그리스도교 제1기 : 1∼311년 교회의 창설부터 콘스탄티누스 전환까지 제1절 역사적 예수와 교회 설립 = 17 예수의 역사적 실재 = 17 예수 그리스도에 의한 교회 설립의 역사성 = 19 신앙의 신비로서의 교회 = 21 제2절 원시교회와 사도시대 = 24 예수 승천 후의 제자 공동체 = 24 원시 그리스도교 시대의 교회상 = 27 제3절 예루살렘부터 로마까지 신생 교회의 승리의 전진 = 29 예루살렘의 원시교회 = 29 안티오키아의 교회 = 32 로마교회의 시작 = 33 제4절 3세기까지의 그리스도교 전파 = 37 제5절 그리스도교 최초의 정신적 발전 = 42 사도시대 교부 = 42 초기 그리스도교의 호교가 = 47 교회의 교부들 = 49 제6절 알렉산드리아 그리스도교 학교의 기원 = 52 제7절 내적 위기 : 분열과 이단 = 56 유대 그리스도교적 이단 = 56 그노시스적 체계 = 57 마니교 = 59 마르치온 주의 = 60 엔크라트주의 = 60 몬타누스주의 = 61 이단과 분열의 의미 = 61 제8절 로마 제국에서의 그리스도인 박해 = 64 박해의 원리 = 64 박해의 경과 = 67 제2기 : 312∼604년 콘스탄티누스 대제부터 그레고리오 대교황까지 제1절 콘스탄티누스 전환 = 77 콘스탄티누스의 개종 = 77 제국교회화 = 80 전환기의 문제성 = 83 제2절 교의논쟁과 동방에서의 공의회들 = 89 삼위일체론 = 89 그리스도론 = 95 제3절 서구의 신학 - 아우구스티노 및 의화논쟁과 은총논쟁 = 105 암브로시오 = 106 아우구스티노 = 107 예로니모 = 112 그레고리오 1세 대교황 = 113 제4절 고대교회에서의 수덕과 수도생활 = 116 문제의 역사 = 116 수도생활의 본질 = 117 위대항 창시자들 = 121 제5절 로마와 동방의 총대주교, 수위권 문제 = 124 로마 교회 = 124 수위권 문제 = 125 구 로마와 신 로마 = 128 제2부 중세 그리스도교 개관 : 서구 중세의 구분과 기본 구조 = 133 시대 구분과 특징 = 133 고대, 그리스도교, 게르만 민족 = 135 중세의 본질적 특성 = 139 제1기 : 500∼700년 제1절 유럽 형성의 개척자인 교회 = 141 제2절 게르만 민족과 교회의 최초 만남 = 146 제3절 아일랜드·스코틀랜드의 교회와 대륙선교 = 150 아일랜드의 그리스도교화 = 150 아일랜드인의 대륙선교, 소 골룸바노 = 152 제4절 영국의 그리스도교와 앵글로색슨족의 대륙 선교 = 155 영국의 복음화 = 155 앵글로색슨족의 대륙 선교 = 156 제2기 : 700∼1050년 제1절 빈프리트 보니파시오와 그리스도교적 유럽의 건설 = 159 제2절 교황권과 프랑크 왕국의 동맹 = 163 동서에서의 교황권, 이슬람교 = 163 새로운 사명 앞에 선 프랑크 왕국 = 166 제3절 카를 대제와 서양 황제권의 창건 = 171 카를의 생애와 활동 = 171 카를의 제국 이념 = 174 카를의 교회정책 = 177 카를의 황제 이념 = 178 황제 대관과 그 문제점 = 182 제4절 카롤링커 제국의 멸망과 로마 교회의 "암흑 세기" = 185 제국 = 185 교회 = 188 제5절 오토 대제와 서구 황제권의 갱신 = 193 오토의 제국정책과 교회정책 = 193 962년 황제권의 쇄신 = 196 오토 대제의 황제 이념 = 197 제6절 신성 로마 제국, 1046년까지의 오토 왕조와 잘리에르 왕조 = 198 제3기 : 1050∼1300년 중세 중기 교회의 전성 제1절 클뤼니와 수도원의 개혁운동 = 204 제2절 그레고리오 개혁과 성직 서임권 논쟁 = 207 교회의 자유 = 207 성직 서임권 투쟁 = 208 해결의 시도 = 212 성과 = 213 제3절 1054년의 동방 대이교 = 215 제4절 서구의 새 정신 = 217 수도생활의 새 양식 = 217 재속 성직자의 개혁 = 220 평신도의 개혁 = 223 제5절 십자군 운동 = 224 십자군 = 224 기사 수도회 = 228 십자군 운동의 의의 = 229 제6절 청빈운동, 이단과 이단 신문 = 230 성서주의와 예수를 따름 = 230 카타리파 = 232 이단 신문 = 234 제7절 대 탁발 수도회 = 237 프란치스코와 그의 수도회 = 237 도미니코와 그의 수도회 = 239 제8절 신학과 대학 = 241 스콜라학과 그 대표자들 = 241 대학의 기원 = 244 제9절 인노첸시오 3세부터 보니파시오 8세까지의 교황직 = 246 인토첸시오 3세 = 246 교황권과 슈타우펜 제국 사이의 결전 = 250 보니파시오 8세 = 252 제4기 : 1300∼1500년 서구 통일 붕괴 시대의 교회 제1절 "아비뇽 유배"와 서구 대이교 = 255 아비뇽의 교황직 = 255 서구 대이교 = 258 제2절 콘스탄츠 공의회와 공의회 우위설 = 262 전사 = 262 콘스탄츠, 일치 공의회 = 264 요한 후스와 콘스탄츠에서의 그의 재판 = 267 공의회에서의 개혁 문제 = 270 교황의 선거 = 271 공의회 이후, 바젤의 공의회 우위설 = 271 제3절 르네상스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사보나롤라 = 273 르네상스 교황 = 274 알렉산데르 6세와 사보나롤라 = 277 율리오 2세 = 279 제3부 근대의 교회 제1기 : 1500∼1700년 종교개혁과 가톨릭 개혁 제1절 종교개혁의 전제들 = 283 중세 후기 교회의 폐해 = 283 긍정적인 가치 = 285 종교와 생활의 합일 = 286 개혁의 요구 = 287 유명론 = 288 인문주의와 성서주의 = 289 제2절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와 인문주의 = 290 제3절 마르틴 루터, 종교개혁가로의 발전 = 293 가톨릭적 루터상 = 293 루터의 경력 = 295 대사大赦논쟁과 첫 대결 = 299 교회와의 절교 = 301 제4절 독일에서 종교개혁의 발전 = 304 보름스의 제국의회 = 304 보름스에서 아욱스부르크까지 1521∼1530년 사이의 발전 = 307 1530년의 아욱스부르크 제국의회 = 311 일치 토론회부터 아욱스부르크의 강화조약까지 = 314 요약 = 318 제5절 울리히 츠빙글리와 재세례파 = 321 츠빙글리의 생애와 활동 = 321 재세례파의 역사 = 326 제6절 칼뱅과 제네바에서의 종교개혁 = 329 생애 = 329 칼뱅의 교리 = 333 전파 = 335 제7절 헨리 8세와 영국의 교회분열 = 337 제8절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 교회의 개혁 노력 = 341 제9절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 = 347 서언 = 347 공의회의 경과 = 349 제10절 위대한 공의회 이후의 재건 = 353 교황직 = 354 주교직 = 355 수도회 = 356 이냐시오와 예수회 = 359 제11절 반종교개혁 : 이단 신문, 이단자 박해와 마녀 신앙 = 364 서언 = 364 교파의식의 형성과 반종교개혁의 정신 = 365 이단 신문 = 366 마녀 신앙 = 368 제12절 세계 선교의 새 시대 = 370 중세의 상황 = 370 지리상의 대발견 시대 = 371 인도와 중국의 선교, 적응 주의 논쟁 = 373 제13절 바로크 시대에서 계몽주의 시대로 = 377 교황청의 중앙집권에 대한 교회의 반대 사조 = 377 계몽주의 = 380 제2기 : 1789∼1918년 프랑스 혁명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제1절 프랑스 혁명과 교회 재산의 국유화 = 383 혁명 = 383 교회 재산의 국유화 = 385 제2절 19세기 독일 교회의 재건 = 387 독일 교회의 개혁 = 387 내적 건설 = 387 제3절 교황들과 교황령 = 390 제4절 제1차 바티칸 공의회 = 393 전사 = 393 공의회의 경과 = 397 제5절 공의회 이후 : 독일의 구 가톨릭교 문화투쟁 = 401 독일 내의 반대 = 401 문화투쟁 = 403 제6절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교황들 = 405 제3기 : 1918∼2000년 제1차 세계대전부터 현재까지 제1절 귀양살이에서의 귀환과 새로운 출발 = 412 독일의 게토적 상태 = 412 새 교회의식 : 전례운동과 교회일치 운동 = 414 프랑스·이탈리아·영국·미국에서의 발전 = 417 제2절 교황 비오 11세와 비오 12세 = 420 제3절 제3제국에서의 교회 = 427 히틀러의 정치 = 427 교회의 저항 = 433 제4절 교황 요한 23세와 바오로 6세 = 436 요한 23세 = 436 바오로 6세 = 439 제5절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그 성과 = 440 제6절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와 요한 바오로 2세 = 452 제7절 1990년대 이후의 발전 = 456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회 지도 = 456 교회 안에서의 발전 = 470 교회와 정치 = 480 교황 일람표 = 483 참고문헌 = 488 연표 = 511 색인 = 527 역자후기 =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