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행정·정치관계의 개념정립
1. 공공행정의 정치적 환경? = 15
2. 행정·정치관계의 이론적 접근 = 18
1) 공공행정은 정치적 접근방법을 활용한다 = 18
2) 공공행정은 정책지향성을 갖고 있다 = 20
3) 체제모형으로서의 공공행정과 정치 = 24
4) 정치가와 행정가의 역할관계 : 유사성과 차이점 및 공생관계 = 27
3. 행정·정치관계의 구성요소 : 이 책의 구성 틀 = 29
제2장 공공행정과 정치의 본질적 이해
1. 공공행정의 규범적 모형 = 33
1) 해밀턴과 행정 유효성의 극대화 = 34
2) 제퍼슨과 대중에 대한 행정책임의 극대화 = 35
3) 해밀턴과 제퍼슨의 행정사상 비교 = 37
2. 행정, 경영 그리고 정치 = 38
1) 경영으로서의 행정개념 = 39
2) 정치활동으로서의 행정 = 40
3) 공공행정의 중요성과 가치 = 41
4) 공공행정의 연구방법 = 43
3. 정치는 만능의 해결사인가, 야누스의 얼굴인가? = 45
1) 정치와 인간 = 45
2) 정치는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이다 = 46
3) 정치적 가치는 원초적 인식으로부터 형성된다 = 49
4) 갈등해결로서의 정치와 공동체 형성으로서의 정치를 비교한다 = 50
5) 진정한 정치논리를 이해한다 = 59
제3장 공공행정과 권력정치의 이해
1. 권력은 왜 필요한가? = 63
2. 권력의 본질을 해부한다 = 65
1) 권력의 개념은 다의적이다 = 65
2) 권력의 원천과 속성 = 70
3) 권력의 형태 및 유사용어들의 개념정립 = 73
3. 권력은 누구에게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 79
1) 권력은 누구에게 있는가? = 79
2) 권력을 누가, 어떻게 활용하는가? = 81
제4장 정부형태와 정치·행정의 현상
1. 정부와 국가 = 91
1) 국가의 본질 = 92
2) 국가론에서 본 정부의 개념 = 94
3) 집행부의 정치적 권력과 삼권분립 = 95
2. 민주주의 '꽃' 의회제 정부형태 = 98
1) 영국과 일본의 의회제 정부형태 = 98
2) 의회제 정부의 특징 = 101
3) 각 국 의회의 분류 = 104
3. 권력분립인가, 제왕인가? : 대통령제 정부형태 = 106
1) 미국의 정부형태 = 106
2) 대통령제 정부의 특징 = 110
4. 어떠한 정부형태를 취할 것인가? = 113
제5장 관료제에 대한 정치적 지지
1. 관료제 : 두 얼굴의 정치 = 119
2. 관료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가? = 124
1) 내부적 요인의 힘 = 124
2) 외부적 요인의 힘 = 127
3) 관료제의 권력이 약화되어야 하는 이유 : 역기능의 관료정치 = 130
3. 관료활동의 정치적 성격 = 134
1) 정책결정과 정책참모 = 134
2) 정책집행의 권한 = 136
4. 일선관료도 정책결정자다 = 138
1) 일선관료의 개념 및 특성 = 138
2) 일선관료의 재량권과 자율성 : 정책결정자 = 140
5.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진다 : 대표관료제 = 143
6. 관료정치의 통제 = 147
1) 입법통제 = 148
2) 사법통제 = 149
3) 민중통제 = 150
제6장 집단정치와 공공행정
1. 집단정치의 의의 = 157
2. 정당의 정치·행정활동 = 159
1) 정치활동의 기능 = 161
2) 행정활동의 기능 = 163
3. 정당체제의 유형과 정책이념 = 164
1) 일당체제 = 165
2) 헤게모니 정당체제 = 165
3) 양당체제 = 166
4) 다당체제 = 167
4. 정당정치의 문제 = 168
5. 다원주의적 민주주의와 이익집단의 발전 = 171
1) 이익집단의 정치·행정적 의의 = 171
2) 이익집단은 정부를 어떻게 움직이게 하나? = 174
제7장 시민참여와 정치·행정
1. 민주주의는 시민참여를 통해 실현된다 = 183
2. 시민참여의 필요성과 한계 = 185
1) 시민참여의 중요성 = 186
2) 시민참여의 한계와 문제점 = 188
3. 어떻게 참여하는가? = 189
1) 국민(주민)투표 = 190
2) 국민(주민)발안 = 191
3) 국민(주민)소환 = 192
4) 시민단체의 활동 = 193
4. 시민참여를 어떻게 활성화시킬 것인가? = 196
1) 제도적 개선 = 197
2) 민주적 시민의식과 참여동기의 강화 = 199
3) 민주적으로 건전한 참여 : 공공선의 추구 = 201
제8장 정치·행정의 리더십
1.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203
2. 리더십의 기능들 = 206
1) 과업지향 기능 = 206
2) 집단유지 기능 = 207
3. 리더십의 접근방법 : 리더십 이론 = 208
1) 지도자의 특성과 기술 : 특성(자질)론 = 208
2) 리더의 행동양상 : 행태이론 = 210
3) 리더행동에 대한 상황적 영향 : 상황이론 = 215
4) 카리스마적 리더십 = 216
5)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 218
4. 훌륭한 지도자 뒤에는 누군가 있다 = 220
1) 팔로어십의 의의 = 220
2) 팔로어십의 유형과 특성 = 222
5. 우리나라 정치·행정 리더십의 과제와 발전방향 = 224
1) 민주적 리더십 = 224
2) 도덕적 리더십 = 225
3) 쇄신적·미래지향적 리더십 = 227
4) 리더십의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 = 228
5) 슈퍼 리더십의 함양 = 229
제9장 전자정부와 민주정치
1. 정보통신기술과 정치·행정의 변화 = 233
2. 전자민주주의의 의의와 특성 = 236
1) 전자민주주의란? = 236
2) 전자민주주의의 낙관론과 비관론 = 240
3. 전자정부와 공공행정 = 245
1) 전자정부의 개념 = 245
2) 전자정부의 구성요소 = 246
3) 전자정부의 구축과 행정변화 및 개혁 = 248
4. 정보화시대의 행정과 정치관계 = 251
제10장 도시 및 지방정부의 정치·행정
1. 지방자치가 중요한 이유 = 255
1) 민주주의의 실현 = 256
2) 주권의 보장과 증진 = 257
3) 참여민주주의 확대 = 257
4) 갈등해결 능력의 제고 = 258
2. 지방(도시)정치의 개념과 특성 = 260
1) 지방정치의 개념 = 260
2) 도시(지방)정치의 특성 = 261
3. 지방자치와 정치·행정관계 = 274
1) 정책결정의 정치·행정영역 = 275
2) 정책집행의 정치·행정영역 = 275
제11장 거브넌스와 정치·행정의 미래
1. 지는 해와 뜨는 해 = 279
1) 거브넌스 등장의 의의 = 279
2) 거브넌스의 주체는 누구인가? = 282
2. 거브넌스의 분류 = 285
1) 국가중심의 거브넌스 = 285
2) 시장중심의 거브넌스 = 288
3) 시민사회 중심의 거브넌스 = 293
3. 거브넌스와 공공행정의 미래 = 296
1) 거브넌스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 296
2) 거브넌스 체제하에서 공공행정의 미래 = 298
찾아보기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