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편 조직의 일반이론
제1장 조직의 기초이론 = 23
제1절 조직의 의의 = 23
1. 조직의 개념 = 23
2. 조직의 구성요소 = 25
제2절 행정조직의 의의 = 26
1. 행정조직의 개념 = 26
2. 행정조직의 특성 = 27
제2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 29
제1절 조직이론의 변천경향 = 29
제2절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 30
1. 조직이론 전개의 개요 = 30
2. 고전적 조직이론 = 31
3. 신고전적 조직이론 = 45
4. 현대적 조직이론 = 51
제3장 조직유형론 = 79
제1절 조직유형론의 중요성 = 79
1. 조직유형론의 의의 = 79
2. 조직유형론의 일반적 기준 = 79
제2절 조직의 유형 = 82
1. A. Etzioni의 분류 = 82
2. P. M. Blau와 W. R. Scott의 분류 = 84
3. T. Parsons의 분류 = 85
4. 행정조직의 유형 = 86
제4장 조직의 목표 = 89
제1절 조직목표의 의의 = 89
제2절 조직목표의 기능 = 89
1. 조직활동 지침 제공 = 89
2. 정당성의 근거 = 90
3. 조직의 성공도 = 90
제3절 목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0
1. 조직구조적 요인 = 90
2. 목표설정자가 지닌 요인 = 90
3. 환경적 요인 = 90
제4절 조직목표의 유형 = 91
1. 공식과 실질을 기준으로 하는 유형 = 91
2. 대상을 기준으로 하는 유형 = 92
제5절 조직목표의 수 = 93
1. 단일목표 = 93
2. 복수목표 = 93
제6절 조직목표의 변동 = 94
1. 목표의 대치 = 94
2. 목표의 승계 = 94
3. 목표의 확장ㆍ다원화 및 축소 = 95
제7절 목표관리(MBO) = 95
1. 목표관리의 의의 = 95
2. 목표관리의 기본적 과정 = 95
3. 목표관리의 장단점 = 97
제8절 조직의 효과성 = 98
1. 전통적 접근방법 = 98
2. 현대적 접근방법 = 101
제5장 조직과 개인 = 105
제1절 조직과 개인의 상호작용 = 105
제2절 인간관과 조직관리 전략 = 105
1. 합리적ㆍ경제적 인간관 = 106
2. 사회적 인간관 = 106
3. 자기실현적 인간관 = 106
4. 복잡한 인간관 = 107
제3절 조직내 개인의 성격유형 = 107
1. Presthus의 성격유형 = 107
2. 기타의 성격유형 = 109
제4절 조직에 있이서 개인의 동기부여이론 = 110
1. 의의 = 110
2.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 112
3. Herzberg의 욕구충족요인 이원론 = 114
4. McGregor의 X이론ㆍY이론 = 115
5. Argyris의 미성숙-성숙 이론 = 117
6. Likert의 관리체제이론 = 118
7. 과정이론 = 119
제5절 조직내의 집단 = 127
1. 집단의 의의 = 127
2. 집단형성의 이유 = 128
3. 집단의 유형 = 129
4. 집단의 기능 = 131
5. 집단역학 = 132
제6장 조직의 구조 = 137
제1절 조직구조의 의의 = 137
제2절 구조형성의 기초요인 = 137
1. 역할 = 137
2. 지위 = 139
3. 규범 = 139
4. 권력과 권한 = 140
제3절 구조적 특성을 결정하는 변수 = 142
1. 규모 = 142
2. 복잡성 = 143
3. 공식화 = 144
제4절 구조형성의 원리 = 145
1. 계층제의 원리 = 145
2. 명령통일의 원리 = 147
3. 통솔범위의 원리 = 147
4. 분업(전문화)의 원리 = 148
5. 조정의 원리 = 149
6. 예외의 원리 = 150
제5절 현대적 조직구조 = 150
1. 애드호크라시의 특징 = 150
2. 애드호크라시의 유형 = 151
3. 애드호크라시의 장ㆍ단점 = 154
제6절 반관료제적 모형 = 155
1. Bennis의 이론 = 155
2. Kirkhart의 이론 = 155
3. White의 이론 = 156
4. Thayer의 이론 = 156
제7절 조직의 재구성 = 157
1. 재구성의 필요성 = 158
2. 재구성의 원칙 = 159
3. 재구성의 기법 = 159
제8절 정부조직의 재창조 = 161
1. 촉진적 정부 = 162
2.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정부 = 162
3. 경쟁적 정부 = 162
4. 사명지향적 정부 = 163
5. 결과중심적 정부 = 163
6. 고객지향적 정부 = 164
7. 기업가적 정부 = 164
8. 미래에 대비하는 정부 = 165
9. 분권적 정부 = 165
10. 시장중심적 정부 = 165
제7장 조직과 기술 = 167
제1절 기술의 개념 = 167
제2절 기술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모형 = 167
1. Woodward의 연구 = 167
2. Perrow의 연구 = 168
3. 기술과 조직구조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 명제 = 171
제8장 조직의 관리 = 173
제1절 의사전달 = 173
1. 의사전달의 의의 = 173
2. 의사전달이론의 변천 = 174
3. 의사전달의 원칙과 기능 = 177
4. 의사전달망 = 179
5. 의사전달의 유형 = 183
6. 의사전달의 장애와 극복방안 = 187
제2절 리더십 = 189
1. 의의 = 189
2. 기능 = 192
3. 리더십이론의 변천 = 193
4. 리더십의 유형 = 196
5. 한국에 요청되는 리더십 = 211
제3절 조정 = 213
1. 의의 = 213
2. 중요성과 유형 = 214
3. 조정의 저해요인 = 215
4. 조정의 효율화 방안 = 216
제4절 행정 PR = 218
1. 행정 PR의 의의 = 218
2. 행정 PR의 과정 = 220
3. 행정 PR의 성격과 한계 = 221
4. 행정 PR의 기능 = 223
5. 우리나라 행정 PR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25
제9장 조직과 환경 = 229
제1절 조직환경의 의의 = 229
제2절 조직환경의 유형 = 229
1. 조직의 일반적 환경 = 229
2. 환경적 특성에 관한 유형론 = 231
제3절 조직과 환경의 상호작용 = 232
1. 조직의 환경에 대한 반응 = 232
2. 조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234
3. 구체적 환경 : 조직간 관계 = 234
제10장 조직개혁 = 235
제1절 조직개혁 일반론 = 235
1. 조직개혁의 의의 = 235
2. 조직개혁의 접근방법 = 236
3. 조직개혁의 과정 = 239
4. 조직개혁에 대한 저항과 극복 = 241
제2절 조직발전 - 조직개혁의 행태적 접근방법 = 253
1. 조직발전의 의의 = 253
2. 조직발전의 기본적 과정 = 254
3. 조직발전의 기법 = 256
4. 조직발전의 제약성 = 260
5. 한국 행정조직에서의 조직발전의 효용 = 261
제Ⅱ편 한국의 행정조직
제1장 한국행정조직의 기본원리 = 265
제1절 행정조직법정주의 = 265
제2절 지방분권주의 = 265
제3절 능률행정주의 = 266
제2장 한국행정조직의 법률적 체계 = 267
제1절 헌법 = 267
제2절 정부조직법 = 267
1. 행정기관의 설치와 조직 = 268
2. 행정기관의 직무와 권한 = 268
제3절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 268
1. 조직과 정원의 관리목표 = 269
2. 행정기관 설치기준 = 269
3. 기능의 배분과 정원의 배정원칙 = 269
제4절 직제 = 271
1. 직무 = 271
2. 하부조직 = 271
3. 공무원의 정원 = 272
제5절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 272
1. 목적 = 272
2. 행정기관간 위임ㆍ위탁 = 273
3. 민간위탁 = 273
제6절 위임전결규정과 사무분장규정 = 273
1. 위임전결규정 = 273
2. 사무분장규정 = 274
제3장 국가행정조직 = 275
제1절 중앙행정기관 = 275
1. 현재의 정부형태 = 275
2. 현행 정부기구도 = 276
3. 대통령 = 278
4. 국무회의 = 285
5. 국무총리 = 287
6. 국무총리직속 중앙행정기관 = 291
7. 행정각부 = 292
8. 청 = 296
9. 합의제 중앙행정기관 = 296
10. 독립중앙행정기관 : 선거관리위원회 = 300
제2절 중앙행정기관의 부속기관 = 301
1. 부속기관의 의의 = 301
2. 부속기관의 유형 = 301
제3절 중앙행정기관의 하부조직 = 305
1. 개설 = 305
2. 차관 = 305
3. 차관보 = 305
4. 기획관리실 = 306
5. 기획관리실 외치 실 = 307
6. 본부제 = 307
7. 국ㆍ과조직 = 308
8. 담당관 = 309
제4장 자치행정조직 = 311
제1절 자지단체의 장 = 311
1. 지위 = 311
2. 권한 = 311
3. 선임방식 = 313
제2절 보조기관 = 314
1. 부단체장 = 314
2. 행정기구 = 315
제3절 소속기관과 하부기관 = 320
1. 직속기관 = 320
2. 사업소ㆍ출장소ㆍ합의제 행정기관 = 320
3. 하부행정기관 = 321
제4절 한국자치행정조직의 문제점과 개편방향 = 321
1. 지방행정조직의 문제점 = 321
2. 지방행정조직의 과제와 개편방향 = 322
제5장 중앙과 지방의 관계 = 327
제1절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관계 모형 = 327
1. 관치 모델-수직적 행정통제 모델-포괄권위 모델 = 329
2. 자치 모델-분리ㆍ분권 모델-대등권위 모델 = 329
3. 상호의존 모델 = 330
제2절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배분 = 331
1. 중앙과 지방사무의 법적 분류 = 332
2. 중앙과 지방간 사무배분 현황 = 338
3. 우리나라 사무배분의 문제점 = 341
제6장 합의에 의한 정책결정조직 = 345
제1절 단독에 의한 정책결정의 문제점 = 345
제2절 합의에 의한 정책결정조직의 주요 내용 = 346
1. 국무회의와 차관회의 = 347
2. 경제장관간담회와 경제차관간담회 = 350
3. 국가안전보장회의 = 350
4. 통일관계 장관회의와 실무조정회의 = 351
5. 합의적 최고정책결정기구의 역할과 기능 = 352
제7장 한국의 행정문화 = 355
제1절 행정문화의 개념 = 355
제2절 행정문와의 주요내용 = 357
1. 구미의 행정문화 = 357
2. 한국의 행정문화 = 359
3. 한국 행정문화의 특징 = 361
제3절 한국행정문화의 변화방향 = 364
1. 국민과 행정간의 거리감의 축소 = 365
2. 정치로부터 자율성의 확보 = 366
3. 행정을 문제해결과정으로 인식 = 366
4. 사실정향적 사고의 확립 = 367
5. 원초적 집단의식의 지양 = 367
6. 자기역할에 대한 한계성의 인식 = 367
7. 과업중심적 사고의 구축 = 368
제8장 한국정부의 조직개혁 = 369
제1절 행정개혁론 = 369
1. 의의 = 369
2. 행정개혁론의 유형 = 369
3. 한국 정부조직개혁의 모형화 = 373
제2절 한국정부조직개혁사 = 375
1. 제 1공화국의 조직개혁 = 375
2. 제 2공화국의 조직개혁 = 382
3. 제 3공화국의 조직개혁 = 385
4. 제 4공화국의 조직개혁 = 389
5. 제 5공화국의 조직개혁 = 393
6. 제 6공화국의 조직개혁 = 398
7. 김영삼 정부의 조직개혁 = 402
8. 김대중 정부의 조직개혁 = 409
제9장 정부조직관리의 과제 = 415
제1절 정부조직관리의 목표 = 415
1. 실질적 합리화 = 415
2. 사회환경에의 적응과 사회변동의 유도 = 416
3. 사기의 앙양 = 416
제2절 행정환경의 변화 = 416
제3절 정부조직관리의 주요 과제 = 418
1. 민주화ㆍ인간화 과제 = 418
2. 효율화 과제 = 423
3. 정보화 과제 = 427
4. 행정기능의 전환 = 428
참고 문헌 = 431
사항 색인 = 450
인명 색인 =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