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12c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795122 | |
005 | 20100805042059 | |
007 | ta | |
008 | 021011s2002 ulk 001a kor | |
020 | ▼a 8988315316: ▼g 93360 : ▼c \18,000 | |
035 | ▼a KRIC08159938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49 | 1 | ▼l 111221378 ▼f 개가 ▼l 111221379 ▼f 개가 |
082 | 0 4 | ▼a 346.5190134 ▼2 21 ▼a 346.530134 |
090 | ▼a 346.530134 ▼b 2002a | |
100 | 1 | ▼a 서거석 ▼0 AUTH(211009)124801 |
245 | 1 0 | ▼a 여성과 법 / ▼d 서거석 ; ▼e 김대정 ; ▼e 홍춘의 공저. |
260 | ▼a 서울 : ▼b 학우 , ▼c 2002. | |
300 | ▼a 522 p. ; ▼c 25 cm. | |
500 | ▼a 부록: 여성관련법령 | |
500 | ▼a 참고문헌(p. x-xi) 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대정 ▼0 AUTH(211009)101936 |
700 | 1 | ▼a 홍춘의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6.530134 2002a | Accession No. 1112213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6.530134 2002a | Accession No. 1112213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서거석(지은이)
서거석 전주에서 태어나 전주신흥중, 전주고, 전북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전북대 교수로 재직했다. 전북대 법대학장 시절 제자들을 사법고시에 대거 합격시킨 바 있고, 전북대 총장 재임 당시 총체적 위기에 빠진 전북대를 변화와 혁신으로 이끌어 명문 국립대로 위상을 높였다. 이런 성과가 대학혁신의 모범사례로 꼽혀 중앙 일간지로부터 ‘혁신의 아이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현재 학생중심 미래교육 청사진으로 전북교육대전환을 구상 중이다. 저서로는 “위기의 대학, 길을 묻다.” “사람이 바뀐다 미래가 바뀐다. 서거석의 敎育立道論” 등이 있다. •제15·16대 전북대학교 총장 •제19대 한국 국립·사립대학교 총장협의회장 •더불어교육혁신포럼 이사장 •국가아동정책조정위원회 위원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전북후원회장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정부지원위원회 위원 •한국 소년법학회 회장 •한국 비교형사법학회 회장 •미국 프린스턴대학 visiting scholar •독일 막스프랑크 외국형법연구소 객원교수 •일본 도쿄대학 법학부 객원교수 •전북대 민주화 교수협의회원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좌교수
김대정(지은이)
⋅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법률학과, 동 대학원 졸업(민사법전공) ⋅ 법학박사(성균관대) ⋅ 전북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법과대학장 ⋅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 객원교수 ⋅ 사법시험․변호사시험․행정고시․외무고시․입법고시 등 출제위원 ⋅ 한국민사법학회 회장 ⋅ 현재 :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요저서 및 논문> ⋅ 민법총칙(2012) ⋅ 채권총론(2019) ⋅ 계약법(상)(2007) ⋅ 계약법(2019) ⋅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 계약교섭의 부당파기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 채무불이행법과 하자담보책임법의 통합 모색 ⋅ 특정물채무자의 현상인도의무에 관한 연구 ⋅ 채무불이행법체계의 재점검 ⋅ 변제의 법적 성질 및 구성요건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총유에 관한 민법규정의 개정방안 ⋅ 민법개정시안에서의 법인설립에 관한 입법주의의 전환 ⋅ 현행법상 이자제한에 관한 연구 ⋅ 계약해제의 본질 및 효과 ⋅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민법규정의 개정을 위한 일제언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법의 일반화이론과 여성법학의 과제 제1절 법의 일반이론 = 11 1. 법의 개념 = 11 1) 법의 규범 = 11 2) 이상적인 법과 현실의 법 = 13 2. 법의 목적(이념) = 15 1) 정의 = 16 2) 합목적성 = 17 3) 법적 안정성 = 17 3. 법의 체계 = 18 1) 서론 = 18 2) 국내법과 국제법 = 19 3) 공법과 사법 = 19 4) 사회법 = 20 4. 소송절차 = 20 1) 소송법의 의의 = 20 2) 민사소송 = 21 3) 형사소송 = 22 4) 특별형사소송절차 = 23 5) 행정소송 = 24 5. 법원의 조직과 관할 = 25 제2절 여성법학의 과제 = 26 1. 한국여성의 현실상황 = 26 1) 가정에서의 종속적 지위 = 26 2) 노동환경에서의 차별대우 = 27 3) 정치현실에서의 미약한 역할 = 28 2. 여성관련 법률의 현상황 = 29 1) 가족생활에서의 법상황 = 29 2) 근로관계에서의 법상황 = 29 3) 정치현생활에서의 법상황 = 30 4) 사회보장 내지 사회복지의 법상황 = 31 3. 여성 법학의 과제 = 32 1) 여성법학의 필요성 = 32 2) 여성법학의 이념으로서의 남녀평등 = 33 3) 여성법학의 범위 = 33 제2장 여성의 헌법상 지위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선언 = 35 1. 헌법원리로서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 35 2. 여성해방사에 있어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원리 = 36 제2절 헌법상의 남녀평등의 이념 = 36 1. 헌법상의 평등조항 = 37 1) 헌법전문 = 37 2) 일반적 평등권의 보장과 차별대우의 근지 = 37 3) 교육의 기회균등 = 40 4) 근로관계에 있어서의 성차별금지 = 40 5) 혼인과 가족관계에 있어서의 남녀평등 = 41 6) 선거와 선거운동(참정권)에 있어서의 남녀평등 = 41 2. 남녀평등의 헌법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제도 = 42 1) 남녀차별금지법의 제정목적 = 42 2) 남녀차별금지의 원칙의 적용범위 = 43 3) 남녀차별개선위원회에 의한 남녀차별개선사무의 수행 = 48 제3절 여성을 위한 사회보장 및 사회복지 = 61 1. 여성발전기본법 = 62 1) 제정목적과 기본이념 = 62 2) 여성정책기본계획 등의 수립 = 63 3) 여성정책의 기본시책 = 66 4) 여성발전기금의 설치 = 71 5) 여성단체의 지원 등 = 72 6) 기타 = 74 2. 기타 법률에 의한 여성보호와 여성의 복지향상 = 75 1)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편의보장에관한법률 = 75 2) 영유아보육법 = 78 제3장 근로관계에 있어서 여성의 법적 지위 제1절 근로관계에서의 남녀평등의 보장 = 86 1.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목적과 적용범위 = 86 1) 남녀고용평등법의 제정목적 = 86 2) 남녀고용평등법의 적용범위 = 87 3) 남녀고용평등 실현을 위한 관계자의 책무 = 90 4) 남녀고용평등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타 대책 = 92 2. 고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보장 및 대우 = 93 1) 모집 및 채용에 있어서 남녀의 평등한 기회보장 및 대우 = 93 2) 임금에 있어서 남녀차별의 금지 = 94 3) 교육, 배치 및 승진에 있어서 남녀차별의 금지 = 95 4) 정년, 퇴직 및 해고에 있어서 남녀차별의 금지 = 96 제2절 여성근로자의 보호를 위한 제도 = 97 1. 여성근로자의 사용이 금지되거나 제한되는 경우 = 97 1) 도덕성 또는 보건상 유해·위험한 사업에의 사용금지 = 97 2) 야업 및 휴일노동의 제한 = 99 3) 산후 1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여성의 시간외근로 제한 = 100 4) 여성의 갱내근로금지 = 100 5) 여성의 생리휴가 = 100 2. 여성근로자의 모성보호 및 직장과 가정생활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 = 101 1) 임신중인 여성근로자의 보호 = 101 2) 산전후의 보호휴가의 보장 = 101 3) 육아시간의 보장 = 104 4) 육아휴직의 보장 = 104 5) 직장보육시설이 설치 = 110 6) 여성근로자를 위한 복지시설의 설치 = 111 3. 성희롱으로부터 여성근로자의 보호 = 111 1) 성희롱의 개념과 구체적 유형 = 114 2) 직장내 성희롱 예방교육 = 116 3) 성희롱 상담지원 = 119 4) 직장내 성희롱의 발생시 조치의무 = 120 4. 여성의 직업능력개발 및 고용촉진 = 126 1) 여성에 대한 작업지도 = 126 2) 여성의 직업능력개발 = 126 3) 여성의 고용촉진을 위한 시설 및 사업에 대한 지원 = 126 제3절 여성근로자의 고충처리 등 분쟁의 해결 = 127 1. 분쟁의 자율적 해결 = 128 1) 분쟁의 자율적 해결의 원칙 = 128 2) 명예고용평등감독관제도 = 129 3) 고충처리기관에 의한 분쟁의 해결 = 131 4) 고충처리의 절차 = 132 2. 고용평등위원회에 의한 분쟁의 해결 = 133 1) 고용평등위원회의 설치 = 133 2) 고용평등위원회의 구성 = 134 3) 고용평등위원회의 회의 = 136 4) 고용평등위원회에 의한 조정절차 = 137 5) 지방노동행정기관의 장에 대한 의견제출 = 139 제4장 여성과 범죄 제1절 가정폭력의 방지 및 처벌 = 141 1. 가정폭력의 예방과 피해자보호를 위한 제도 = 142 1) 가정폭력의 의의 = 142 2) 가정의 보호와 유지를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 143 3) 상담소 또는 보호시설 운영자의 의무 = 149 2. 가정폭력범죄에 대한 처벌의 특례 = 149 1) 가정폭력범죄의 의의 = 150 2) 가정폭력범죄에 대한 형사처벌절차에 관한 특례 = 151 3) 가정보호사건의 처리절차 = 153 4) 가정보호사건과 일반형사사건의 처리절차상 차이점 = 167 제2절 성관련범죄등으로부터 여성의 보호 = 169 1. 형법상의 여성관련범죄 = 170 1) 성적 자유에 관한 죄 = 170 2) 성풍속에 관한 죄 = 188 3) 낙태의 죄 = 200 4) 약취와 유인의 죄 = 208 5) 기타 범죄 유형 = 214 2. 윤락행위등방지법 = 216 1) 총설 = 216 2) 선도보호 = 217 3) 요보호자를 위한 복지시설 및 여성복지 상담소 = 219 4) 처벌 = 220 5) 윤락행위방지법의 문제점 = 222 6) 공창제도입에 대한 논의 = 222 7) 윤락행위방지법의 대체입법에 대한 논의 = 223 3.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 224 1) 총설 = 224 2)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 226 3)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절차에 관한 특례 = 226 4.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228 1) 총설 = 228 2) 처벌대상 = 229 3) 신상공개 = 232 4) 선도보호 = 233 5) 청소년 성보호법 시행 이후의 과제 = 235 5. 형사절차상 성폭력범죄 피해자보호방안 = 236 1) 수사단계에서의 보호방안 = 236 2) 재판단계에서의 보호방안 = 237 3) 원상회복과 손해전보의 보장 = 238 제3절 여성범죄 = 238 1. 여성범죄의 특징 = 239 1) 여성범죄의 양적 특징 = 239 2) 여성범죄의 질적 특징 = 239 2. 우리 나라 여성범죄의 동향 = 240 1) 여성범죄의 유형 = 241 2) 여성범죄자의 요인별 특성 = 241 제5장 가족관계에서의 여성의 법적 지위 제1절 부부관계의 형성 = 245 1. 약혼 = 245 1) 약혼의 의의 = 245 2) 약혼의 성립 = 246 3) 약혼의 효과 = 247 4) 약혼의 해제 = 248 2. 혼인 = 252 1) 혼인의 의의와 성립요건 = 252 2) 혼인의 무효와 취소 = 266 3) 혼인의 효과 = 271 4) 혼인의 재산적 효과-부부재산제 = 278 5) 사실혼 = 285 6) 동성간의 혼인 = 294 제2절 부부관계의 해소(이혼) = 296 1. 협의이혼 = 296 1) 이혼의 의의 = 296 2) 협의이혼 = 300 2. 재판상 이혼 = 308 1) 재판상 이혼의 의의 = 308 2) 이혼청구설의 법적 성질 = 309 3) 재판상 이혼원인 = 309 4)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권 = 317 5) 재판상 이혼의 절차 = 320 3. 이혼의 효과 = 321 1) 일반적 효과 = 321 2) 자에 대한 효과 = 322 3) 손해배상청구권 = 325 4) 재산분할청구권 = 326 제3절 친자관계의 설정과 해소 = 333 1. 자연친자관계 = 333 1) 혼인중의 출생자(혼중자) = 333 2) 혼인외의 출생자(혼외자) = 339 2. 의료보조에 의한 친자관계 = 347 1) 인공수정에 의한 출생자 = 347 2) 체외수정에 의한 출생자 = 348 3) 대리모에 의한 출생자 = 349 3. 인위적 친자관계(양자관계) = 350 1) 양자제도의 의의와 발전 = 350 2) 입양의 성립 = 350 3) 입양의 효과 = 353 4) 입양의 무효와 취소 = 354 5) 파양 = 355 6) 친양자제도 = 356 제4절 친자관계의 내용(친권) = 357 1. 친권의 의의 = 357 2. 친권관계의 당사자 = 358 1) 친권자로 되는 자 = 358 2) 친권에 복종하는 자 = 359 3. 친권의 내용 = 360 1) 자의 신분에 관한 권리·의무 = 360 2) 자의 재산에 관한 권리·의무 = 362 3) 이해상반행위와 친권의 제한 = 364 4. 친권의 상실·회복과 소멸 = 366 1) 친권의 상실 = 366 2) 실권회복 = 367 3) 친권의 소멸 = 368 5. 후견제도 = 369 1) 후견제도의 의의 = 369 2) 후견인의 권리·의무 = 369 6. 친족회 = 371 1) 친족회의 의의 = 371 2) 친족회의 구성 = 371 제5절 상속관계 = 372 1. 상속제도의 의의 = 372 2. 상속인 = 372 1) 상속인의 순위 = 372 2) 배우자 상속권 = 374 3) 대습상습 = 374 4) 특별연고자에 대한 분여과 국가귀속 = 377 5) 상속인의 자격과 결격 = 377 3. 상속분 = 379 1) 상속분의 의의 = 379 2) 법정상속분 = 379 3) 특별수익자의 상속분 = 380 4) 구체적 상속분의 산정방법 = 382 5) 기여상속인의 상속분 = 383 6) 상속분의 양수 = 387 4. 상속의 효력 = 388 1) 상속재산의 범위 = 388 2) 공동상속 = 390 3) 공동상속재산의 관리·처분 등 = 393 5. 상속재산의 분할 = 394 1) 분할의 의의 = 394 2) 분할의 요건 = 394 3) 분할방법 = 395 4) 상속재산 분할의 효과 = 397 5) 상속재산 분할과 사해행위취소 = 398 6) 분할 후의 피인지자 등의 청구 = 399 6. 상속의 승인 및 포기 = 399 1) 서설 = 399 2) 단순승인 = 400 3) 한정승인 = 402 4) 상속의 포기 = 403 7. 상속재산의 분리 = 404 1) 상속재산분리의 의의 = 404 2) 재산분리의 청구 = 405 3) 재산분리의 절차 = 405 4) 재산분리의 효과 = 405 5) 변제절차 = 406 8. 상속회복청구권 = 406 1) 의의와 기능 = 406 2) 성질 = 407 3) 상속회복청구권의 당사자 = 408 4) 상속회복청구권의 행사 = 409 5) 상속회복청구권의 행사기간 = 410 9. 유언 = 410 1) 유언제도의 의의 = 410 2) 유언의 요건 = 411 3) 유언의 방식 = 412 4) 유언의 효력 = 414 5) 유증 = 415 6) 유언의 집행 = 418 7) 유류분 = 419 부록 여성관련법령 = 425 Ⅰ. 여성발전기본법 = 27 Ⅱ. 여성발전기본법시행령 = 431 Ⅲ. 남녀차별금지및구제에관한법률 = 435 Ⅳ. 남녀차별금지및구제에관한법률시행령 = 442 Ⅴ. 남녀차별금지기준 = 447 Ⅵ. 영유아보육법 = 452 Ⅶ. 남녀고용평등법 = 457 Ⅷ. 남녀고용평등법시행령 = 464 Ⅸ. 남녀고용평등법시행규칙 = 469 Ⅹ. 가정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 474 XI. 가정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시행령 = 477 XII. 가정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시행규칙 = 479 XIII. 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 481 XIV.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 492 XV.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시행령 = 499 XVI.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시행규칙 = 501 XVII. 윤락행위등방지법 = 505 XVIII. 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 = 511 부록 찾아보기 = 517